헬로티 이동재 기자 | 뉴로클(대표 이홍석)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뉴로클은 SF+AW 2021에서 AI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제품을 전시한다. 뉴로클은 손쉽게 딥러닝 기반의 비전 검사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는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뉴로클의 Auto Deep Learning Vision Software인 뉴로티&뉴로알(Neuro-T&Neuro-R)은 ▲오토 딥러닝 알고리즘(클릭과 드래그만으로 딥러닝 모델 자동생성) ▲데이터 관리 시스템(체계적인 학습 데이터 관리 구조)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전기/전자/반도체/PCB/배터리/자동차부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기술 지식에 관계없이 손쉽게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제품이다. 뉴로클은 인공지능 딥러닝 비전 기술을 바탕으로, 기술 사용이 어려웠던 일반 사용자까지 자유롭게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의 효용을 누릴 수 있도록 GUI 기반의 딥러닝 비전 학습 소프트웨어(Neuro-T & Ne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오즈레이(대표 백홍기)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오즈레이는 SF+AW 2021에서 머신비전용 CMOS 카메라와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SWIR) 제품을 전시한다. 오즈레이의 산업용 카메라는 CMOS 이미지 센서와 고속의 영상 획득으로 정밀한 영상처리 솔루션에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 탄탄한 내구성과 합리적인 비용을 자랑하며 고품질의 이미지를 수집해 각종 검사에서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오즈레이의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는 옅은 안개, 스모그, 반도체 웨이퍼 등 일부 매질을 투과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인간의 시력으로는 보이지 않는 영역대의 영상을 획득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다. 1984년에 앤아이피로 시작한 오즈레이는 MATROX Frame Grabber를 비롯해 산업용 카메라를 국내 시장에 공급해오고 있으며, 급변하는 국내 머신비전 시장에서 한발 빠른 기술 지원과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산업용 단파장 적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마크베이스(대표 김성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마크베이스는 SF+AW 2021에서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엣지마스터, 인공지능솔루션 등 제품을 전시한다. 마크베이스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는 급증하는 IIoT기기의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 및 모니터링 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저장능력뿐만 아니라 분석과 통계가 가능한 새로운 관리방법이 대두되는 시점에 매우 적절한 제품이다. 엣지마스터는 마크베이스의 초고속 데이터 프로세싱 기술과 다년간 축적된 엣지 노하우가 결합된 솔루션으로 엣지를 단순히 게이트웨이로 활용하는 타 솔루션들과 달리 시계열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해 로컬 기반의 압도적인 데이터 입력 속도와 실시간 추출 성능을 구현하는 제품이다. 인공지능 솔루션 AIoT Suite은 산업용 IoT에 최선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결합해, 설비의 상태를 단순 모니터링하는 수준에서는 불가능했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지엠아이티(대표 한양희)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지엠아이티는 SF+AW 2021에서 무선 IoT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시한다. 지엠아이티는 무선 IoT 기반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무선 IoT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해 고객사에 적용,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기여하려 하고 있다. 기존에 수천개의 감지기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대규모의 통신케이블 공사가 필요했으며, 대부분의 케이블 공사는 높은 곳 작업과 환기구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자의 추락, 전도, 감전과 같은 위험 요소가 상존했다. 또 케이블 생산할 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사용 후 폐기할 때 환경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도 있다. 지엠아이티가 개발한 무선 IoT 모니터링 시스템은 통신케이블이 필요 없어 작업자의 안전과 환경을 지키는 ESG 경영의 모범 사례로 주목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현재 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세인플렉스(대표 한창수)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세인플렉스는 SF+AW 2021에서 자기식 인코더 제품을 전시한다. 세인플렉스는 지난 20년간 축적한 다극착자 기술을 바탕으로 IC-Haus에 적용되는 MU시리즈의 인코더 마그넷 다극자석 라인업을 완성했다. 세인플렉스의 인코더용 마그넷 라인업 종류는 IC-Haus Chip의 MU, MU150, MU200 총 3종이며 현재, 3가지 라인업이 모두 양산 중이다. 세인플렉스는 기존 외산 수입 제품으로 의존하고 있던 인코더 마그넷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했으며, 국산화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부품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작년 대비 상반기 인코더 매출이 향상됐으며, 2020년 한 해 성장이 고무되고 있다. 또한 중간정지에 의한 장비 안전성 확보 및 다점 위치결정이 가능하며 반복 위치정도의 정밀도가 높고(±20μm) 다양한 MOTOR(Servo, Step, BLD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캐디언스시스템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캐디언스시스템(대표 이형복)은 Siemens사의 NX, Solid Edge, SIMCENTER, TECNOMATIX, TEAMCENTER, POLARION, OPCENTER, Mendix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자체개발 솔루션인 MOLDream 시리즈를 개발 공급해, 스마트 공장 및 클라우드 공급 기업으로써 Digital Twin 및 Digital transformation를 전 산업에 걸쳐 고객에게 혁신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있다. 캐디언스시스템은 SF+AW 2021에서 지멘스의 제품수명주기관리, 제조운영시스템, 디지털매뉴팩처링 솔루션을 선보인다. 제품수명주기관리(Teamcenter)는 구축 프로세스에서 추측에 의존하는 업무 방식을 없애 PLM을 간소화한다. Siemens Digital Industry Software는 각 기업에 적합한 방식으로 PLM 발전 단계를 전략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게 구성된 유연한 전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엠티에스이(대표 이봉호)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엠티에스이는 SF+AW 2021에서 스마트 엑추에이터, 티엠로봇 등 제품을 전시한다. 엠티에스이의 스마트 엑추에이터는 공압 Cylinder 대비, Co2 배출량이 70% 격감되며, 소비전력도 70% 절감효과가 있다. 유공압 시스템 등과 같이 힘이 필요한 경우에도 대체할 수 있는 고추력용 Actuator로서 기능도 가능하다. 또한 중간정지에 의한 장비 안전성 확보 및 다점 위치결정이 가능하며 반복 위치정도의 정밀도가 높고(±20μm) 다양한 MOTOR(Servo, Step, BLDC)의 취부로 속도변동 등 가감속 구현이 용이하며 다축의 동기 운전도 가능하다. 티엠로봇은 인간과 기계의 협업에 높은 호환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고성능 생산 도구다. 엄격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한 기존 산업용 로봇에 비해 비교적 번거로움 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엠티에스이는 2000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이엔지글로벌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아이엔지글로벌(대표 이병구)은 SF+AW 2021에서 레이저마킹기, 2D,3D Vision Bin picking System, 설비통합관리시스템을 선보인다. 레이저마킹기는 자동차부품 기타 다양한 업종에 정확한 마킹을 제공한다. Fiber Laser, Foundry fiber MOPA, UV Laser, O2 Laser 등 다양한 구성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사양의 제품을 공급한다. 2D,3D Vision Bin picking System은 딥러닝 기반의 AI 스마트 비전 시스템이다. 원스톱 토탈 솔루션 서비스로 Bin picking 현실화 구축을 돕는다. 인력 문제, 공간 문제를 해결해준다. 또한 복잡한 (언)로딩 장치를 간편하게 해결한다. iCMMS(설비통합관리시스템)은 빅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제조 데이터를 통합 분석 모니터링 하는 플랫폼이다. 디지털 인터페이스 기반의 생산, 품질, 에너지, 설비에 대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미쿠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아미쿠스(대표 이상범)는 SF+AW 2021에서 전동그리퍼, 픽잇 3D 비전, AMICUS를 선보인다. 아미쿠스는 산업현장에 필요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판매하는 회사다. 스마트팩토리에 필요한 가성비 좋은 협동로봇, 3D 비전, 전동그리퍼, AGV, AGV 구동휠 등을 취급하고 있다. DH-Robotics는 산업용 로봇그리퍼, 능숙한 로봇핸드 및 암, 가변강성액츄에어터, 촉각센서 등 다양한 제품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자체개발하고 있다. 또한 제조, 물류, 서비스 로봇, 교육용 로봇 등 분야에 필요한 지능형 인식 그리핑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픽잇 3D 비전은 로봇을 여러가지 응용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픽 앤 플레이스 작업하는데 도움을 주는 플러그 앤 플레이 제품이다. 3D 카메라와 Pick-it 소프트웨어는 로봇이 작업할 물체의 정확한 3D 위치, 방향, 그리고 치수를 인식한다. Pick-it은 조도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이엘티(대표 안상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이엘티는 SF+AW 2021에서 데스크탑 로봇, MRC 다축 로봇 제어기, 스카라 로봇 등 제품을 전시한다. 이엘티의 데스크탑 로봇은 3축~4축 탁상형 로봇으로 공간 활용도 및 설치가 좋은 로봇이다. 간단한 오퍼레이팅으로 사용자가 쉽게 접근이 가능하며, 고 강성 구조의 설계 기술과 고 성능 로봇 컨트롤러의 모션 제어 기술이 결합돼 고속, 고정밀 구현이 가능하다. 3차원의 직선 및 원호 보간, 정밀 cornerring motion 기능, 다양한 MMI 기능이 있다. 또한 비젼 시스템 및 Tip Align과 연동하여 보정이 가능하고, Hight Sensor, Graphic Panel등과 연결이 가능하다. servo motor & ball screw type과 step motor & belt type이 있다. MRC는 이엘티에서 개발한 로봇 제어기로 최대 16축, 4대의 복수 로봇을 동시에 제어 가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나온웍스(대표 이준경)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나온웍스가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산업용 프로토콜 변환 게이트웨이, 산업용 프로토콜 심층분석 솔루션, 인터넷 보안전화 게이트웨이 등이다. 산업용 프로토콜 변환 게이트웨이 ‘VIPER-C’는 다양한 레거시 프로토콜들을 현장에서 필요한 표준 프로토콜로 손쉽게 변환하여 준다. VIPER-C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으로 현장을 SCADA 및 산업 제어 시스템과 MES, ERP 등의 관리 시스템으로 연동하여 스마트 팩토리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보안성이 결여되어 있던 레거시 프로토콜을 보안이 강화된 산업용 표준 프로토콜 OPC-UA로 바꾸어줌으로써 산업 현장 내 보안 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다. 산업용 프로토콜 심층분석 솔루션 ‘CEREBRO-DP’는 산업 현장의 제어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IT 영역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다루는 가치 있는 정보로 만들어 전달한다. 나온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컨셉션(대표 정구상)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컨셉션이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3D프린터 ‘CF-M2000’이다. ‘CF-M2000’은 최대 1,000 × 1,000 × 2,000(mm) 대형 출력이 가능하여 대형 구조물 및 조형물 제작이 편리한 M급 FDM 타입 3D프린터다. 내구성이 취약했던 기존 FDM 3D프린터와는 달리 냉간압연강판(SPCC)소재의 커버로 내부 온습도 유지와 안전사고 방지 기능이 있으며, IP카메라가 탑재되어 출력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컨셉션은 다년간 축적된 3D 응용기술을 기반으로 대형 3D프린터, 금속 3D프린터는 물론, 레이저 응용장비 및 3D 관련 소프트웨어 등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을 통해 R&D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1)는 오는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맥파이온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맥파이온(대표 박천호)은 SF+AW 2021에서 자율주행 네비게이션 모듈을 선보인다. 맥파이온은 2004년 설립하여 현재까지, 독일, 스위스, 미국등 해외기업의 최첨단 자동화 부품과 솔류션을 도입하여 자동차, 화학, 전자, 플라스틱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물류 시스템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luebotics사의 한국 총판인 맥파이온은 Bluebotics사의 축적된 AGV 네비게이션 제품군을 국내 AGV 수요 회사에 접목을 시킬 수 있도록 제품 뿐만 아니라 설계, 제작 및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기술 지원을 하고 있다. 2001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Bluebotics 사는 AGV를 더욱 쉽게 설치하고 작동할 수 있도록 ANT(자연 지형지물 탐색 기술)를 개발 및 개선하는데 20년을 보냈다. 별도의 마그네틱 테이프 또는 QR 마크, 3점 반사판 등이 필요치 않고 주변의 자연 지형 지물을 스캔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유라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유라(대표 엄대열)는 SF+AW 2021에서 IT솔루션인 유라솔루션, CADvizor, FabePLM을 선보인다. 유라솔루션은 다년간 제조업 지원 및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부품 제조기업 맞춤형 솔루션이다. CADvizor는 유라가 직접 사용하면서 설계부터 제조까지 가장 빠르게, 쉽게,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개발한 솔루션이다. OEM, 하네스 제조업체 혹은 하청업체 등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합리적인 ECAD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유라는 밝혔다. 또한 관련 엔지니어링 워크플로우를 효율적으로 개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CADvizor 는 웹 브라우저만으로 원활하게 설계를 할 수 있고, 다른 팀과도 협업할 수 있다. FabePLM은 기업의 업무 특성과 표준화된 프로세스 반영을 통해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업무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R&D업무 개선과 개발환경의 변화와 혁신을 주는 한국형 PLM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케이와이이엔지(대표 원경훈)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케이와이이엔지는 SF+AW 2021에서 큐씨매니저(QC MANAGER) 제품군을 전시한다. 케이와이이엔지의 큐씨매니저 제품군은 크게 큐씨매니저 싱글(QC MANAGER single), 큐씨매니저 멀티(QC MANAGER multi), 그리고 큐씨매니저 허브(QC MANAGER hub)로 구성된다. 큐씨매니저 싱글은 측정 기기와 1대 1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유무선 장비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측정기기에 연결하고 전송 버튼만 누르면 측정값을 유무선으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큐씨매니저 멀티는 최대 7대의 측정기기를 하나의 장비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된 장비에서 수집된 값은 큐씨매니저 싱글처럼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로 유무선 전송이 가능하다. 다양한 브랜드의 기기에서 전송하는 값을 인식할 수 있고, 여러 제품군의 측정 오차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값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