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아이에스는 2024년 매출액이 5085억 원, 영업이익은 593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64%, 52% 증가했다고 13일 공시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창사 이래 최대 실적에 해당하는 수치다. 씨아이에스는 신개념 전극 공정 장비 개발과 차세대 배터리 소재 기술 확보를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과 시장 대응력을 갖췄으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2차전지 시장의 일시적 수요 둔화(캐즘)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씨아이에스는 신개념 전극공정 장비인 ‘하이브리드 건조 코터’를 출시하며 기술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해당 장비에는 레이저 건조 기술을 접목해 생산 속도를 기존 대비 두 배로 높이고 소비 전력을 절반 가까이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 탑재됐으며, 이를 통해 전극공정 장비 분야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더욱 확고히 하고 있다. 차세대 배터리 기술인 전고체 배터리 소재 및 장비 시장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최근 일본과 유럽의 유명 자동차 제조사 및 북미 에너지 기업과 전고체 배터리 관련 비밀유지계약(NDA)을 체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아울러 고체전해질 대량 양산을 위한 시범생산
네오오토는 13일 공시를 통해 2024년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네오오토의 2024년 연간 매출액은 2179억 원, 영업이익은 122억 원, 당기순이익은 173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 18%, 45% 증가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설립 이래 최대 실적이다. 회사는 이번 실적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고객사의 완성차 판매 증가로 인한 부품 수요 확대와 유연생산시스템을 꼽았다. 네오오토 관계자는 “고객사의 인기차종인 HEV(하이브리드 차량)와 SUV(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판매량이 증가했고 다양한 차종의 부품을 추가적인 설비투자 없이 생산이 가능한 유연생산시스템을 통해 높은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네오오토는 2010년 설립 이후 정밀 가공 기술을 기반으로 내연기관 및 전동화 부품 시장을 선도해 왔다. 2016년부터 북미 시장에 변속기 핵심 부품을 공급했고 2018년부터는 스텔란티스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용 부품을 공급하며 고객을 다변화했다. 2022년부터는 전기차용(EV) 부품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는 전방시장 수요 증가에 따라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신규 생산시설도 확충할 계획이다. 총 413억 원을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는 보일러 및 환기 시스템을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 신제품 ‘testo 318’을 14일 공개헀다. 내시경 카메라는 굴뚝, 보일러 및 연소가스 배관 구성요소를 검사하고 손상을 감지하거나, 에어컨, 환기 시스템의 시스템 내 이물질이나 침전물을 감지하는데 활용되는 산업용 카메라다. testo 318은 연소, 보일러, 에어컨 및 환기 시스템을 비용 대비 매우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제품으로 문제 원인을 간단하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제품은 2.4인치 컬러 LCD 디스플레이(480×234 픽셀)가 탑재되어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하며 직경 9mm(0.35인치)의 회전 카메라를 통해 180도 이미지 회전 기능과 최대 2배의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한다. 배터리 수명은 밝기 40% 기준으로 8시간 사용 가능하며 실시간 라이브 뷰(>24 FPS)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1m 길이의 유연한 방수형 구즈넥을 통해 손이 닿기 힘든 좁은 곳이나 접근이 어려운 곳에서도 침전물을 손쉽게 확인하고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의 편리함을 위한 다양한 액세서리(후크, 거울, 자석)도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nRF54L15-DK’ 개발 키트를 공급한다고 14일 밝혔다. nRF54L15-DK는 노르딕의 새로운 nRF54L 블루투스 LE 시스템온칩(SoC)을 기반으로 사전 인증을 획득한 단일 보드 평가 및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이다. 블루투스 LE의 모든 기능과 주요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nRF54L15-DK는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과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AR/VR), 자산추적, 스마트 홈 제품 및 의료 애플리케이션 등을 비롯해 다양한 무선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다. nRF54L SoC를 탑재한 nRF54L15-DK는 블루투스 LE를 비롯해 블루투스 메시, 스레드, 지그비, 2.4GHz 독자적 프로토콜(최대 4Mbps) 및 매터(Matter)를 지원한다. 매터는 산업 자동화, 소비자 가전, 스마트 농업 등을 위한 다양한 에코시스템의 원활한 통합을 가능하게 하면서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는 IP 기반 연결 프로토콜이다. nRF54L15-DK는 포괄적인 nRF 커넥트 툴 세트와 nRF 커넥트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 SDK)를
보그워너가 최신 하이브리드 및 가솔린 엔진에 적용되는 최첨단 가변 캠 타이밍(VCT) 기술을 공급해 동아시아 주요 OEM과의 오랜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기술이 적용된 엔진은 2026년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될 예정이다. 이사벨 맥켄지 보그워너 드라이브트레인 및 모스 시스템 부문 사장 겸 총괄 책임자는 “우리의 VCT 기술은 고객이 최신 배기가스 배출 기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차량의 성능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며 “고객과의 장기적인 파트너십은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의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당사의 노력을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보그워너의 가변 캠 타이밍 기술은 흡기 및 배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최적화해 연소 효율을 극대화하고 배기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킨다. 보그워너 관계자는 “이 시스템은 다수의 차세대 엔진에 적용될 예정”이라며 “동아시아 지역의 OEM 하이브리드 및 내연기관 차량에 탑재돼 연비를 향상시키고 환경 영향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의 ‘AD-GMSL2ETH-SL’ 엣지 컴퓨팅 플랫폼을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 첨단 싱글 보드 컴퓨터(sing-board computer, SBC)는 8개의 GMSL(Gigabit Multimedia Serial LinkTM) 인터페이스에서 10Gb 이더넷 링크로 저지연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AD-GMSL2ETH-SL은 자율로봇 및 자율주행차량을 비롯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머신 비전 및 실시간 센서 융합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현재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ADI의 AD-GMSL2ETH-SL은 2개의 MAX96724 쿼드 터널링(Quad Tunneling) GMSL2/1-대-CSI-2 디시리얼라이저를 탑재하고 있어 8대의 GMSL 카메라와 연결할 수 있다. 각 카메라는 채널당 최대 6G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는 MIPI CSI-2 인터페이스를 통해 MAX96724 디시리얼라이저에서 AMD의 KV26 SOM(System on Module)로 전송된다. AMD의 SOM은 8대의 모든 GMSL 카메라에서 수집한 영상 데이터를 집계한 후 10Gb 이더넷 링크를 통해 CPU로 전
HPE는 인공지능(AI) 기반 관리 기능으로 생산성을 강화한 새로운 HPE 프로라이언트 컴퓨트 Gen 12(HPE ProLiant Compute Gen12) 서버 8종을 출시했다. 새로운 서버에는 곧 출시될 데이터센터 및 엣지 환경을 위한 인텔 제온 6(Intel Xeon 6) 프로세서 가 탑재될 예정이다. 크리스타 새터웨이트 HPE 컴퓨트 수석 부사장 겸 총괄은 “현재 고객들은 데이터 집약적이고 갈수록 복잡해지는 워크로드를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새로운 HPE 프로라이언트 컴퓨트 Gen12 서버는 정부, 기업, 금융,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의 조직이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도 필요한 성능과 운영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하이브리드 환경에 최적화된 최신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인 이 서버는 혁신적인 보안 및 제어 기능을 갖춰 기업들이 기존 하드웨어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위협과 성능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덧붙였다. HPE 프로라이언트 컴퓨트 Gen12 포트폴리오는 칩에서 클라우드까지, 모든 레이어와 서버 라이프사이클의 전반에 걸쳐 내장된 보호 기능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보안의 새로운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리미날 인사이트(Liminal Insights)와 협력해 전기차(EV) 배터리 제조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내연기관(ICE) 차량의 판매를 단계적으로 중단하는 정책이 확대되면서, 2030년까지 글로벌 EV 배터리의 판매 비중이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수요는 향후 10년간 1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제조업체들은 빠른 생산 확대와 비용 절감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현재 안정된 생산 공정을 갖춘 배터리 공장에서도 품질 문제로 인해 생산량의 6~15%가 폐기되고 있으며, 신규 공장 및 신생 제조업체의 경우 이보다 높은 폐기율을 기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배터리 리콜로 인해 업계가 입은 손실은 30억 달러(약 4조 원)에 달했다. 초기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폐기율을 1%만 줄여도 10GWh 생산 규모 공장에서 연간 약 1000만 달러(약 134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리미날 인사이트는 배터리 제조업체가 품질 문제를 조기에 감지해 대규모 리콜 사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검사 솔루
미국 텍사스 댈러스 소재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사인 액트아이온(ACT-ion)이 벤처투자가 위축된 시기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투자자들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Pre-Series A 투자를 유치했다. 독일의 BASF Venture Capital의 주도로 국내 미래에셋캐피탈과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참여하고, 미국의 Arosa Capital Management와 Hunt Energy Enterprises가 투자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액트아이온은 자사의 양극재 연속제조공정 기술의 스케일업 및 검증을 계획하고 있다. 임진명 대표를 중심으로 미국 에너지 기업인 Hunt Energy Enterprises에서 창업 및 스핀오프된 액트아이온은 연속제조공정을 통해 기존 양극재 제조공정의 난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종류의 고성능 단결정 양극재를 고속 고효율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해왔다.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다수의 서포트를 받을 뿐만 아니라 ‘R&D 100 2024 Winner’로 선정되는 등 차세대 양극재 및 제조공정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한화모멘텀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산업기술협력사업에 선정되는 등 국내외 활동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액트아이온은 연속제조
비츠로셀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519억1219만4765원으로 전년대비 37.7% 증가했다고 1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9.6%와 41.5% 상승해 2107억7936만 원과 510억2025만 원을 기록했다. 회사는 “스마트 그리드 및 군수용 전지 수요 확대가 성장세를 이끌었다”며 “달러 환율 강세와 리튬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의 안정화 등 호의적인 외부 환경으로 인해 전년에 이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고 올해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계속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비츠로셀은 이날 열린 이사회에서 회사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제외한 보통주 주당 460원의 현금배당을 결의했다. 배당금총액은 103억3494만 원으로 배당성향은 20.3%, 시가배당율은 2.2%이다. 배당금은 오는 3월 예정된 주주총회 승인 후 1개월 내 지급될 예정이다. 회사는 지난해 주당 250원을 현금 배당했고, 올해는 주당 460원으로 84% 증액했다. 지난 6월에는 당기순이익의 20% 이상을 향후 3년간 현금배당하겠다는 배당성향을 공시하는 등 적극적인 주주친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장승국 비츠로셀 대표는 “앞으로도 비츠로셀은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주주가치를 극대화
포브스 "인수 논의, 이르면 2월 안에 끝날 수도 있어"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이 한국의 AI 칩 팹리스인 퓨리오사AI 인수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경제매체 포브스는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며, 인수 논의가 이르면 이달 안에 끝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퓨리오사AI는 데이터 센터 서버용 AI 추론 연산 특화 반도체를 개발하는 반도체 설계 전문 스타트업이다. 삼성전자와 미국 반도체 기업 AMD의 엔지니어 출신인 백준호 대표가 2017년 설립했다. 퓨리오사AI는 2021년 첫 번째 AI 반도체 '워보이(Warboy)'를 선보인 데 이어 작년 8월에는 차세대 AI 반도체 '레니게이드(RNGD)'를 공개했다. 퓨리오사AI는 현재 여러 기업으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으며, 메타도 이런 기업 중 하나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메타가 이 스타트업에 눈독을 들인 것은 자체 AI 칩 개발을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메타는 현재 막대한 비용을 들여 엔비디아의 AI 칩을 구매하고 있다. 이에 브로드컴과도 협력해 자체 맞춤형 AI 칩을 개발 중이다. 메타는 이를 위해 올해 AI와 대규모 신규 데이터 센터 구축 등을 위해 최대 650억 달러(93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
솔리비스가 124억 규모의 브릿지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2일 밝혔다. 솔리비스는 강원도 횡성 소재 고체전해질 양산공장 건설 및 운영자금으로 최근 124억7000만 원 규모의 브릿지 투자유치에 성공해 누적투자액이 400억 원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솔리비스는 이번 브릿지 투자가 기존 주주 및 투자사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진행됐으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솔리비스의 글로벌 성장가능성을 높게 평가해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솔리비스는 2020년 설립 이후 지금까지 총 422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솔리비스는 “어려운 국내 투자환경 속에서 제조 스타트업이 누적 투자금 422억 원이라는 대규모 자금 조달에 성공하게 된 것은 고무적인 성과”라며 “지난해 2월 2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유치 이후 양산공장 설립에 매진하면서 전고체 소재 양산모델 4종을 잇따라 발표하는 등 시장선도능력을 입증한 것이 기존 주주들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솔리비스는 브릿지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함에 따라, 올해 2분기 완공 예정인 강원도 횡성공장 대량생산 설비 설치와 양산준비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솔리비스 고체전해
엠오티가 이차전지 고객사의 설비투자 증가에 따라 2024년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엠오티의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8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65억 원, 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51%, 130% 증가했다. 회사는 이러한 실적의 핵심 요인으로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확대와 규모의 경제로 인한 제조원가 감소를 꼽았다. 엠오티 관계자는 “지난해 이차전지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글로벌 이차전지 고객사의 설비투자가 증가됐으며 동일 사양 제조설비 제작 및 납품하는 방식을 통해 규모의 경제로 인한 비용 절감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엠오티는 양극 및 음극에 탭을 접착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탭 웰딩 장비와 배터리 형태를 형성하고 밀봉하는 패키징 장비를 제작하는 이차전지 조립 설비 전문 기업이다. 최근 고객사가 전고체 배터리, LFP 배터리, 46파이(지름 46mm) 원통형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본격화함에 따라 엠오티도 관련 조립 설비 기술의 상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 개발라인을 납품했으며 올해는 파일럿 라인 개발에 직접 참여할 계획이다. 김충규 엠오티 부사장은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지원해 개발과 상용화 가속할 것으로 보여 윈드리버와 텔레칩스가 전략적 협력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발을 위한 SoC(시스템 온 칩)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공동 개발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 2월 11일 텔레칩스 판교 사옥에서 윈드리버 제이 벨리시모 사장, 텔레칩스 이장규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MoU 협약식을 체결했다. 이번 협업은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IVI),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디지털 콕핏 등 다양한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을 지원해 개발과 상용화를 가속하는 데 중점을 뒀다. 자동차 회사들은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드리버의 '헬릭스 가상화 플랫폼(Helix Virtualization platform)', VxWorks 실시간 운영 체제, 그리고 Yocto Linux 기반 범용 윈드리버 리눅스를 포함한 윈드리버의 엣지 소프트웨어를 텔레칩스의 고성능 SoC에서 활용할 수 있다. 양사는 고성능 소프트웨어, 전문성, 강력한 기술 지원 인프라를 활용해 긴밀한 협력 하에 공동 고객이 개발 주기를 단축하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보안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헬릭스 가상화
50Ohm의 안테나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태그로 구성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새로운 ST25R200 읽기/쓰기 IC를 탑재한 혁신적 개발 키트를 출시, 비접촉식 NFC(Near-Field Communication) 기술 기반의 창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탐색하도록 지원한다. ST의 최신 세대 ST25R200 NFC 트랜시버는 강력하고 명확한 무선 연결을 지원하는 첨단 설계와 함께 저전력 소비, 신호 품질 및 전력관리용 제어 기능까지 모두 겸비하여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이 리더 IC를 평가할 수 있는 STEVAL-25R200SA 키트는 전원만 공급하면 즉시 동작 가능한 초소형 ST25R200 보드와 단일 및 이중 안테나 등 유연한 설계를 지원하는 다중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다. 이 평가 키트는 50Ohm의 안테나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태그로 구성돼 있어 사용자가 쉽게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모듈형 키트는 기기 페어링, 설정 구성, 제품 인증을 통한 브랜드 보호를 위해 편리한 단거리 무선 통신을 신속하게 시연할 수 있는 개념 증명 모델을 빠르게 구축한다. 메인 보드와 안테나는 NFC 인증을 받았으며, 의료 기기와 전동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