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프로토텍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프로토텍은 SF+AW 2021에서 스트라타시스 F123 시리즈, 스트라타시스 H350, 아텍 에바를 선보인다. 프로토텍(대표 신영문)은 3D프린팅 토탈솔루션 Stratasys의 국내 최대 파트너사다. FDM, PolyJet, SAF, P3, Metal 방식의 3D프린터 판매와 기술지원을 책임지며 초소형부터 광대역 3D스캐너와 역설계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 F123 시리즈는 강력한 FDM 기술과 디자인 투 프린트(Design-to-print)기반의 GrabCAD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다재다능하고 스마트한 솔루션이다. 컨셉 검증, 설계 검증, 성능 테스트를 위해 매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시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최소한의 셋업, 자동 캘리브레이션, 빠르고 쉬운 재료 교체 등의 특장점으로 누구나 손쉽게, 사무실 내에서 사용 가능하며 ABS, PLA, ASA, PC-ABS, TPU 92A 5가지 재료옵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디알드라이브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디알드라이브(대표 강성민)는 SF+AW 2021에서 감속기 시리즈를 선보인다. DR117은 감속비 1:17의 1단 감속기다. 물류로봇(AGV, AMR) 일체형 구동부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DRE series는 큰 힘을 가진 소형 감속기다. 고강성, 저비용, 소형화, 저소음을 자랑하며, 재활치료용로봇, 웨어러블로봇, 일반 기계 등 적용할 수 있다. DRG series는 소형에서도 정밀함과 강한 힘을 가지는 감속기다. 반복정밀도 1 arcmin. 이하이며,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힘이라고 디알드라이브는 밝혔다. 산업용로봇, 협동로봇 등 로봇 관절부에 적용 가능하다. 인간의 삶의 많은 부분이 로봇으로 대체되고 있다. 로봇은 인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형태로 발전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로봇들이 우리의 삶으로 들어오게 될 것이다. 디알드라이브는 새로운 형태의 로봇들을 위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맥스트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맥스트(대표 박재완)는 SF+AW 2021에서 맥스워크 스마트 팩토리를 선보인다. 맥스워크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현황 모니터링, AR 설비점검, AR 원격지원, AR 설비 매뉴얼 등 설비 관리에 특화된 모든 기능을 보유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다. 맥스트는 지난 10여 년 동안 증강현실 기술 한 분야에만 집중해 연구개발해 온 AR 기술 회사다. AR이 가져올 삶의 혁신을 예상하며, 창업 초기부터 AR 핵심기술을 개발하게 되었고, 이 기술을 전 세계의 회사가 사용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AR은 단순히 현실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덧입혀서 보여주는 기술이 아니라, 앞으로 세상의 모든 정보를 검색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텍스트에서 이미지 중심으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기술이 될 것을 확신하며 AR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ationW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스타시스코리아(대표 서종호)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스타시스코리아는 SF+AW 2021에서 정전기 제거장치 실시간 측정 장비를 선보인다. 정전기 제거장치 실시간 측정 장비는 그 동안 장비 안의 정전기 제거장치를 장비를 멈추고 수동으로 C.P.M을 사용해 측정했던 것을 장비가 가동중에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며,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지난 데이터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정전기 제거장치 실시간 모니터링 장비는 알람이 발생해 신호가 왔을 때만 확인해 조정하면 되고, 값이 틀어졌을 경우 자동으로 값을 맞추는 기능도 있다. 따라서 여러 방면에서 자원 절감이 가능하다. 스타시스코리아는 정전기 관련 전문 업체로서 미국의 Simco-Ion사의 국내 총판이다. 관련 분야는 반도체 F/E, B/E, OSAT, OEM&LCD와 전자 및 필름 산업으로서 20년의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맞춤형 컨설팅 및 서비스를 해왔으며, 지속적인 Sim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훔멜에이지코리아(대표 김용철)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훔멜에이지코리아는 SF+AW 2021에서 케이블그랜드, 원형커넥터 등 제품을 선보인다. 훔멜의 대표 모델인 HSK 시리즈의 케이블그랜드는 폴리아미드, 니켈 플래이트 브라스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져, 수십년간의 다양한 시험을 거쳤다. 안정적인 클램핑 세그먼트 시스템을 통해 확실히 고정되며, 정확한 설치를 보장한다. ▲RoHS 및 REACH/SVHC 준수 ▲충돌 물질 없음 ▲할로겐 및 인 없음 ▲UL 94에 따른 방화 등급 V0 ▲UL 746C f1(HSK-K 블랙)에 따른 실외 저항성 폴리아미드 ▲DIN EN 60529에 따른 보호 클래스 IP 66, IP 68 최대 10bar 및 IP 69K ▲유니온 너트의 진동 보호 ▲빠른 장착 및 최적의 실드 연결(EMC 버전) 등 특징이 있다. 훔멜의 원형커넥터는 소형 M8부터 대형 M40까지 다양한 제품군이 있다. 오버몰딩이 가능하고 자유롭게 구성할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엑센솔루션(대표 오세곡)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엑센솔루션은 SF+AW 2021에서 제조실행시스템, 품질경영시스템, PCB업종 MES 솔루션 등 제품을 선보인다. 엑센솔루션의 Visual FACTORY는 200개 이상 사업장에서 적용 및 검증된 제조현장 중심의 자동화 및 현장관리, 생산운영 지원 제조실행시스템(MES)이다. ▲제조현장의 실시간 Data를 수집(Controller, Sensor 등) ▲주문제품의 투입에서 출하까지 생산활동 최적화 지원 ▲제조현장의 Loss에 대한 Fact Open 및 4M 최적 운영 정보 제공 ▲변화에 신속한 대응 및 사전관리, 제조이력 추적 확보 ▲실시간 기업경영 지원 솔루션 등 특징이 있다. Visual Quality는 자동차부품 업종, 전기전자 부품업종을 대상으로 협력사 중심의 품질심사 및 Audit 대응력 향상을 위한 실시간 품질관리 및 품질보증 업무를 지원하는 통합 품질경영지원 시스템이다. ▲품질관리의 전체업무를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울랄라랩(대표 강학주)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울랄라랩은 SF+AW 2021에서 스마트팩토리 통합솔루션, 데이터 수집 플랫폼, 스타터킷 등 제품을 선보인다. 윔팩토리(Wimfactory)는 울랄라랩의 스마트팩토리 통합 솔루션이다. 고객 현장의 문제정의부터 데이터 요건 분석 그리고 최종 솔루션 도입까지의 모든 프로세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의사결정(판단)해 고객의 효율적인 스마트공장 도입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윔팩토리는 고객 현장 니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Wim-BI), 데이터 수집/분석/모니터링(Wim-X), 모터 구동계 예지보전 솔루션(IMSAS) 등, 약 10여종의 빅데이터/AI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스마트 공장 솔루션을 제공한다. 윔엑스는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이벤트 알림, 분석 리포트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효율적인 공장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간 모니터링 ▲주의/경고 이벤트 알림 ▲설비 가동현황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두성(대표 박성현)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한국두성은 SF+AW 2021에서 화상처리 유닛 탑재형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을 전시한다. 화상처리 유닛 탑재형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은 고속 라인 센서 카메라를 사용한 시트 소재 연속검사 및 시트 검사장치로 차세대 표준 검사장치다. 고기능/고성능 화상처리유닛이 탑재돼 있으며, 검사제어부는 연속 24시간 생산에도 문제없는 안정검사, 안심설계로 되어 있다. 병렬처리능력으로 경이적인 처리속도를 발휘하고, 터치패널이 있어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하며, 19인치 검사화면 표시용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검사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필름, 종이, 플라스틱, 유리, 부직포, 금소 소재, 그 외 시트 소재의 결함을 특징별, 사이즈별로 나눠서 MAP표시 및 결점화상을 표시한다. 한국두성은 일본 VESSEL社의 이오나이저(정전기 제거장치)와 핸드툴 및 비트, 일본 프런티어 시스템社의 광학 결점/이물 검사 장비, HARA
헬로티 이동재 기자 | KLT(대표 양윤종)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KLT은 SF+AW 2021에서 블루투스 자동 그리스 주유기, 기계식 자동그리스 주유기, IoT 그리스 시스템 등 제품을 선보인다. 블루투스 자동 그리스 주유기 Pulsarlube BT는 Bluetooth 통신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가 설치 장소에 접근하지 않고 근거리(5~20m)에서 사용자 모바일기기(단말기)를 이용해 주유기의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제품이다. ▲모바일 APP을 이용한 간편한 주유기 동작 제어 가능 ▲근접거리 내 모든 주유기 작동 상태 모니터링(실시간 페어링)/설비 작동 중 모드 설정 변경 가능 ▲모바일 기기와 서버간의 DB 공유 ▲위험한 지역 또는 관리가 쉽지 않은 적용처의 원격 모니터링 관리 ▲높은 토출 압력으로 6미터 이내 원격 설치 가능 / 다양한 용량과 유종 적용이 가능 ▲FCC, KC, CE 등 다수 인증 확보 / 생활 방진 방수 주유기(IP65) 등 특징이 있다. PLC 연동형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링크제니시스(대표 정성우)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링크제니시스는 모니터링 솔루션,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테스팅 RPA 솔루션 등 서비스들을 선보인다. 모니터링 솔루션 ‘LOOKAZ’는 설비/센서/공정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공장 구축 기반이 되는 솔루션이다. 생산 설비 데이터 수작업 운영의 자동화, 데이터 분석 및 누적 관리가 필요한 제조기업에 기존 설비의 교체없이 도입이 가능하며, 현장 진단 컨설팅부터 사후 유지보수까지 고객의 환경에 맞게 적용 가능한 맞춤형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VLAD(Vision Learning for Advanced Detection)’는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영상 분석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반도체 공정, 각 부품마다 다른 생산공정을 거치는 자동차 부품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전자, 이차전지, 식품, 보안, 의약 분야 등 다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이노메스(대표 송호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이노메스가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생산·제조 소프트웨어 ‘엘라디스(ELADIS)’, 센서 디바이스 ‘이노뷰(Innoview)’등이다. 엘라디스는 제조 공정 시 설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지능형 시스템으로 분석하는 제조 AI 빅데이터 플랫폼이다. 엘라디스는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설비 고장, 과부하 등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즉시 알려준다. 또한 제품 생산 시의 제조 데이터를 자동 집계하며, 수집된 데이터는 AI 분석을 통해 문제 발생 전 미리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노뷰는 센서 커넥티드 디바이스로, 장비의 실시간 가동 확인, 과부하 및 화재 예방 알림, 설비 및 장비 고장 예측, 생산량 및 생산 효율 예측 등에 사용된다. 이노메스는 스마트그리드의 고도화를 위해 산단 내 제품설비나 장비 상태, 나아가 개인의 건강과 의료에 관한 정보, 병원정보시스템, 각종 안전 시스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지상뉴매틱(대표 지상근)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지상뉴매틱이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공기정화살균기, 버스공간분사장치 등이다. 공기정화살균기는 대량의 공기를 흡입과 동시에 헤파 필터를 거쳐 0.3μm의 미립자를 99.7% 잡으며, UV-C(275nm) 기능을 갖춘 자외선 살균기를 통해 유해한 세균을 신속히 걸러준다. 또한 강력한 흡입 및 배출 구조가 방 안 전체의 공기를 순환시켜, 분당 17,000리터의 깨끗한 공기로 청정상태의 공간을 만들어 준다. 제품 한 대 당 132㎡(40평)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 버스공간분사장치는 스위치를 켜고 1분(대형버스 1분30초, 미니버스 40초)이면 자동으로 버스 공간을 방역할 수 있는 장치다. 이 장치는 건조한 버스 공간에 바이러스 소독 및 살균 효과는 물론 가습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압력으로만 작동되는 무전원 장치다. 지상뉴매틱은 구미공단과 인근공단 및 대학과 연구소에 공장자동화(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에이치에이치에스(HHS,대표 한형섭)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HHS가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생체신호처리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이다. HHS는 산업현장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로자의 안전모에 생체신호처리 장치를 부착한 스마트 안전모를 제안하게 되었고 근로자의 생체신호(뇌파, 심박, 가속도)를 취득하여 에이치에이치에스 관제 서버로부터 근로자의 위험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안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생체신호처리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손 안에서 안전사각지대 없이 떨어져 있는 근로자를 관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근로자는 개별적으로 장시간 측정되고 분석·통계화된 생체신호 정보를 가족들과 공유하며 근로자 개인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헬스케어 시스템이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1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인터엑스(대표 박정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인터엑스가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제조 빅데이터 분석 모니터링 서비스 ‘인터원(InterONE)’이다. 인터원은 공장의 여러가지 업무 영역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①공장 전체의 운영 효율 최적화 ②운영 손실 최소화 ③개선 활동을 통한 운영능력향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생산, 품질, 수불·재고, 설비, 에너지, 환경·안전 관련 데이터를 개별 단위에서 수집 및 분석하여 공장운영 효율화에 필요한 내용을 통합적이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 결과는 현상 분석, 원인 분석, 예측 분석, 최적화 분석, 제어 분석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인터원은 제조 빅데이터 분석 모델 개발을 위한 사전 단계(제조 빅데이터 수집 전략, 표준 데이터 모델, 데이터 수집, 데이터 품질 평가)와 적용단계(분석모델을 탑재한 서비스 개발 및 적용)까지 일련의 제조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장성테크(대표 박재영)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장성테크가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IoT(사물인터넷) 융합 천일염 채염장치다. IoT(사물인터넷) 융합 천일염 채염장치는 재래식 천일염 생산 공정에 IoT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분석 기반 자동화 생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을 통해 채염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원격으로 제어하는 등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장성테크는 선박 구성품 중 철의장품(Hand Rail, Grating)을 주력으로 생산 및 납품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스마트팩토리 사업으로 AI관리시스템, CNC 프라즈마 절단기를 도입한 바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1)는 오는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공장엑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