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손실이 5606억 원으로, 전년(2조5102억 원)과 비교해 적자 폭이 2조 원 가량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2일 공시했다. OLED 중심의 사업 성과가 가시화하고 전사적으로 원가 절감 활동과 운영 효율화 활동에 집중한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매출은 26조6153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전체 매출 내 OLED 제품 비중은 전년 대비 7%포인트 증가한 55%를 기록했다. 순손실은 2조4093억 원으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4조5650억 원(이익률 17.2%)으로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831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LG디스플레이가 분기 흑자를 기록한 것은 2023년 4분기(1317억 원) 이후 1년 만이다.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7조8328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4분기에는 스마트폰용 OLED 패널 출하가 늘어나며 OLED 제품 비중이 역대 최대치인 60%를 기록했다. 제품별 판매 비중(매출 기준)은 TV용 패널 22%, 모니터·노트북 PC 등 IT용 패널 28%,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
센스톤과 앤앤에스피가 운영기술망(OT) 프로그래밍 제어장치(PLC) 통합인증 및 접근통제 보안 강화를 위한 인증 게이트웨이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업무협약으로 PLC 기기 변경 없이 인증 고도화를 구현해 안전한 OT 보안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대다수 PLC 기기는 고정값 기반 비밀번호 사용으로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으며 시스템 패치 업데이트를 통해서만 대응 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양사는 PLC 기기 자체를 수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인증 환경을 강화하는 게이트웨이를 개발한다. 센스톤은 글로벌 PLC 제조사와 협업하여 검증된 OTAC(One-Time Authentication Code) 기술을 활용한다. 이 기술은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고 보안 수준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 앤앤에스피는 OT 보안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OTAC 기반 인증 게이트웨이를 설계하며, 국내 최초로 ICS/OT 보안 연구소를 설립한 경험을 바탕으로 관련 기술을 고도화한다. 양사는 이번 제휴를 토대로 향후 PLC 제조사로부터 자유로운 PLC 보안 환경을 구축코자 하는 국내외 기관 및 기업들에 대해 공동 대응한다. 아울러 글로벌 PLC 제조사들과의 긴밀한
HPE 아루바 네트워킹은 전미소매협회(NRF)가 주최하는 ‘리테일즈 빅 쇼(Retail's Big Show)’에서 소매유통업에 최적화된 네트워킹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새롭게 발표된 네트워킹 포트폴리오는 유통분야 환경을 최신화하는 데 필요한 안정적인 연결성과 고성능 엣지 컴퓨팅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경험과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새로운 솔루션은 소매유통 환경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구축을 통해 엣지에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과 워크로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확장된 포트폴리오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 100 시리즈 셀룰러 브리지는 쉽게 구축할 수 있는 기본 WAN(primary WAN) 또는 백업 WAN 액세스로, 광섬유나 브로드밴드 WAN 회선을 사용할 수 없거나 장애가 발생했을 때 안정적인 연결성을 제공한다. 셀룰러 브리지는 고객에게 신용카드 처리와 같은 중요한 서비스에 대한 복원력을 강화해주며 광섬유 대신 무선 접속을 지원한다. 또한, 브로드밴드 WAN 연결의 배선 지연이나 고비용이 문제될 경우, 키오스크나 팝업 매장과 같은 새로운 임시 장소에 신속히 구축할 수 있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 CX 8325H은 좁은 공
에스티씨랩의 클라우드 효율화 솔루션인 ‘웨이브오토스케’일이 아마존웹서비스(AWS)의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인 아마존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 서비스 레디 프로그램(SRP) 파트너로 선정됐다. AWS의 SRP는 특정 소프트웨어 제품이 AWS의 다양한 환경에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프로그램이다. AWS의 사전 검증을 통과했다는 것은 고객사가 해당 제품을 신뢰할 수 있다는 의미다. AWS SRP 인증은 AWS 환경에서의 기술적 호환성과 AWS 파트너 솔루션 아키텍트 기술 심사를 거쳐야 한다. ‘운영 우수성’,‘보안’,‘안정성’,‘성능’,‘비용 최적화’,‘지속 가능성’이 평가 요소로 작용한다. 웨이브오토스케일은 쿠버네티스 클라우드 환경에서 오토스케일링 및 리소스 최적화 등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 자동화 솔루션이다. 머신러닝을 활용해 클라우드 기본 기능 한계를 극복하고 리소스를 자동 조정해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를 용이하게 했다. 이에 비용 절감과 성능 최적화를 지원해 AWS SRP 기술 심사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당 솔루션은 아마존 EKS 사용 기업의 쿠버네티스 운영 자동화를 지원해 리소스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는 겨울철 난방 설비의 에너지 효율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연소가스분석기 ‘testo 300’과 열화상 카메라 ‘testo 868’을 선보였다. 환경 문제와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다. 난방 설비는 많은 건물에서 에너지 소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설비의 효율적인 관리는 필수적이다. 특히 겨울철 난방비 급증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정밀한 측정 장비를 통해 난방 설비를 점검하고 최적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testo 300’과 ‘testo 868’은 고성능 계측 장비로 각각 연소가스 분석과 열화상 이미지 촬영을 통해 에너지 효율과 관련된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testo 300은 스마트 연소가스 분석기로, 연소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산소(O2), 일산화탄소(CO) 및 질소산화물(NO)과 같은 연소 가스 성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UCO(산소 비 포함 일산화탄소), 공기 비 확인을 통해 보일러 등 난방 설비의 연료가 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KT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를 실시간으로 찾아내 경고하는 ‘AI 보이스피싱 탐지·알림서비스’를 상용화했다고 22일 밝혔다. KT의 AI 보이스피싱 탐지·알림서비스는 AI가 통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보이스피싱 여부를 판단하고, 고객에게 즉시 주의하라고 알려 통화를 차단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사후 피해 복구 중심의 보이스피싱 대응에서 더 나아가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도록 한 능동적 보안 솔루션이다. 최신 음성인식 및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해 AI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자주 쓰이는 특정 키워드나 패턴을 학습하고 더욱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또 금융기관 사칭이나 개인정보 요구 등 다양한 유형의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KT는 상용화에 앞서 약 100여 명의 사내 전문가와 고객이 참여하는 베타 서비스를 진행했고, 여기서 얻은 반응을 통해 안정성을 검증하고 서비스 정확도와 사용자 경험을 더욱 개선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 서비스로 KT는 지난해 10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규제샌드박스’에서 실증특례 승인을 받았다. 회사는 올해 2분기에 기존에 특정된 보이스피싱 범죄자의 목소리를 탐지하고
세이지는 자사의 AI 기반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가 GS(Good Software)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GS인증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국내 우수 소프트웨어 제품을 대상으로 기능성, 신뢰성, 효율성, 사용성, 유지 보수성 등 다양한 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국가 공인 인증 제도다. 특히 1등급 획득은 해당 제품이 최고 수준의 품질을 갖췄음을 의미한다. 이번 GS 인증을 획득한 세이지 세이프티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요소를 기존에 설치된 CCTV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AI 기술을 이용해 자동으로 탐지하는 안전 솔루션이다. 안전모·안전대·안전조끼 미착용, 화재, 연기, 쓰러짐, 침입, 중장비 협착과 같이 대형 산업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찾아내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알림을 제공하는 중대재해처벌법 특화 솔루션이다. 또한 세이지 세이프티는 배회, 침입, 쓰러짐 분야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지능형 CCTV 성능을 공식 인증받은 바 있다. 지난 12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융합 혁신품목에 선정됐다. 홍영석 세이지 대표는 “세이지 세이프티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다양한
씨큐비스타가 2025년을 수출 도약의 해로 선언하고 글로벌 보안시장 확대에 나선다. 씨큐비스타가 22일 열린 ‘2025 비전 포럼’에서 차세대 NDR·FDR 보안솔루션 ‘패킷사이버’를 다양한 산업과 ICT 환경에 맞춰 강화해 해외 공급망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지난해 보안시장 동향과 국제 정세 변화가 보안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씨큐비스타 전덕조 대표와 주요 임원, 기존 및 신규 총판 관계자, 보안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글로벌 시장 확대와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씨큐비스타는 포럼에서 ‘패킷사이버 업그레이드’, ‘IoT 보안 제품 IoTCYBER 출시 준비’, ‘2026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PacketCYBER EVA와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CloudCYBER 계획’을 발표했다. 더불어 중장기 사업 비전과 협력 방안도 함께 공개했다. 씨큐비스타 ‘패킷사이버’는 최신 위협 탐지 기술과 고도화된 네트워크 분석 기능으로 실시간 사이버 위협에 대응한다. 금융·국방·공공 등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분야에서 활용돼 기존 솔루션보다 정교한 분석과 예측 능력을 제공한다. 이번 포럼에서 발표된 ‘
LG전자가 네이버클라우드와 손잡고 대화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LG 전자칠판’과 인공지능(AI) 회의록 작성 설루션 ‘네이버웍스 클로바노트’를 결합한 B2B(기업 간 거래) 구독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LG전자는 네이버클라우드와 ‘공동 구독 프로모션 및 기업 고객 맞춤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두 회사는 LG 전자칠판과 클로바노트를 구독으로 함께 제공해 B2B 고객에게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구독 고객은 최대 86인치 대화면에서 멀티스크린으로 한쪽에 회의 자료를 띄우고, 다른 한쪽은 AI가 실시간으로 회의록을 작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LG전자는 구독 기간 케어 전문가의 정기 방문을 통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상태 점검, 클리닝 등으로 제품을 관리해준다. 이번 협업으로 LG전자는 구독을 통한 LG 전자칠판 판매에 속도를 내고, 향후 다양한 B2B 제품으로 구독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박준성 LG전자 커머셜 기업담당은 “전자칠판 구독 서비스를 본격화하고 LG전자의 다양한 B2B 상품으로 구독사업을 확대해 기업 고객에게 제품 관리와 비용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줌 커뮤니케이션즈(이하 줌)가 AI-퍼스트 업무 플랫폼인 줌 워크플레이스(Zoom Workplace)내 줌 팀챗(Zoom Team Chat)에 새롭게 설계된 사이드바를 출시했다. 사용자는 이 사이드바에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탭 배열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고급 정렬 및 필터링 기능을 활용해 챗, 채널, 앱을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스미타 하심 줌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줌 팀챗은 줌 닥스, 줌 미팅, 줌 화이트보드와 같은 줌 워크플레이스의 AI-퍼스트 제품과 연동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며 “새롭게 설계된 팀챗 사이드바는 사용자가 더 스마트하게 협업하고 각자의 워크플로우에 맞춰 작업 공간을 구성하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유료 계정 사용자는 추가 비용 없이 AI 컴패니언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개선된 팀챗 정리 도구를 통해 메시지를 더 쉽게 분류하고 관리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하고 핵심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줌 고객은 이미 팀챗 사이드바의 이점을 경험하고 있다. 크리스티안 니드햄 워너엔터프라이즈 수석 UCaaS 엔지니어는 “새로운 사이드바는 사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것”이라며 “탭을 자유롭게 맞
레드햇이 레드햇 차량용 운영체제(Red Hat In-Vehicle Operating System)의 주요 하위 시스템 그룹인 혼합 임계성(mixed criticality) 기능 안전 인증을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레드햇은 “운영체제의 ISO 26262 자동차 안전 무결성 레벨(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이하 ASIL)-B 기능 안전 인증을 향한 중요한 성과이며 차량에 혁신적인 기본 리눅스(Linux) 기능 안전성을 제공하려는 레드햇의 노력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혼합 임계성은 단일 시스템 온 칩(System-on-Chip, SoC)과 단일 운영체제에서 품질 관리(QM) 소프트웨어와 ASIL-B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는 플랫폼의 능력을 입증한다. 이러한 혁신은 운영체제 계층 전반의 상호 간섭 배제(Freedom From Interference, FFI)에 대한 확고한 검증을 통해 실현되며, 차세대 자동차 시스템에서 안전 중요 애플리케이션과 비안전 애플리케이션의 간편한 통합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레드햇은 엑시다(exida)와 협력해 ISO 26262를 비롯한 기능 안전 표준 기준을 준수하고 복잡한 기존 오픈소스 소프
스탠다드에너지·머카바파트너스와 3자 MOU 바나듐이온배터리(VIB)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용 무선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개발 ‘맞손’ 기술 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원스톱 협력 솔루엠이 스탠다드에너지·머카바파트너스와 함께 바나듐이온배터리(VIB)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용 무선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개발에 착수한다. 삼사는 도심에 배치 가능한 ESS 기술 혁신을 위해 각자의 역량을 융합한다. 이 과정에서 무선 BMS 기술을 고도화한다. 솔루엠은 저전력 설계, 고정밀 계측, 빅데이터 실시간 처리 등 기존 역량을 무선 BMS에 적용한다. 솔루엠은 초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 기술을 통해 안정적인 배터리 셀 제어를 목표로 한다. 스탠다드에너지는 VIB 기술, ESS 솔루션, BMS 시스템 등 원천기술을 제공한다. 이 중 VIB 기술은 스탠다드에너지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로, 수계 전해액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발화 위험 저감, 97% 이상 고에너지·고출력 효율 및 운영 안정성 확보 등이 가능하다. 머카바파트너스는 양사의 기술로 탄생한 차세대 BMS 기술을 전 세계에 전파하고 사업화한다. 동시에 제품 생산에 투입되는 원재료 조달도 담당한다. 향후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가 새로운 ‘DLAP Supreme’ 엣지 생성 AI 플랫폼 시리즈를 21일 발표했다. 이 시리즈는 Phison의 aiDAPTIV+ AI 솔루션을 통합해 엣지 생성 AI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메모리 제한 문제를 극복하고 엣지 디바이스의 AI 컴퓨팅 성능을 향상시켰다. 고가의 하드웨어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AI 성능 개선을 실현했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이 AI 배포의 비용 장벽을 낮추고 특히 엣지 컴퓨팅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생성 AI 채택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생성 AI가 다양한 산업에 확산됨에 따라 많은 엣지 디바이스는 대형 언어 모델을 실행할 때 DRAM 용량 부족으로 성능 병목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는 모델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토큰 길이 부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aiDAPTIV+ 기술을 활용한 DLAP Supreme 시리즈는 이러한 제한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컴퓨팅 성능을 높인다고 에이디링크는 강조했다. 또한 엣지 디바이스가 생성 언어 모델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AI 모델 훈련 기능을 제공하고 자율 학습 및 적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NVIDIA Jetson AGX Orin 32GB 구성
에이수스 코리아는 엔비디아 젯슨 오린(NVIDIA Jetson Ori) 플랫폼으로 구동되는 에이수스 IoT 엣지 AI 컴퓨터가 새로운 슈퍼(Super) 모드를 지원, 업그레이드됐다고 21일 밝혔다. 슈퍼 모드를 통해 최대 1.7배 향상된 AI TOPS을 제공해 LLM(대규모 언어 모델), VLM(시각 언어 모델), ViT(비전 변환기)를 포함한 광범위한 AI 모델을 지원한다. 엔비디아 젯슨 오린을 통해 Hugging Face Transformers, Ollama, Ilama.cpp, vLLM, MLC, NVIDIA TensorRT-LLM 등 다양한 머신 러닝 프레임 워크를 지원해 엣지 애플리케이션, 로봇 공학 및 멀티 모달 시스템에 적합하다. 컴팩트한 사이즈, 다양한 연결성 및 확장성을 가진 엔비디아 젯슨 오린 기반의 에이수스 PE1102N, PE1101N, PE1100N은 AI 작업을 더 빠르게 향상된 데이터 처리 성능으로 스마트 시티, 스마트 교통, 주차 및 교통 분석과 같은 분야를 포함해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지원한다. 향상된 성능으로 TCO 절감 효과를 제공하는 ASUS IoT 엔비디아 젯슨 시리즈는 발열 성능을 극대화하는 견고한 외관으로 극한의 야외
SAS코리아가 창립 35주년을 맞아 ‘2025년 비즈니스 전략과 계획’을 21일 발표했다. 올해 SAS코리아는 기업 고객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별 특화 솔루션 공급 ▲신뢰할 수 있는 생성형 AI 솔루션 ▲국내 파트너들과 협력 강화 ▲교육 및 연구 지원과 산학 협력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SAS코리아는 KB국민은행에 자산 및 부채 관리 고도화 솔루션을, 우리은행에 해외망 자금세탁방지(AML)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금융기관을 위한 핵심 솔루션 공급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얻었다. 또한 한국신용정보원 분석 모델 고도화 프로젝트를 포함해 제조, 교육 기관 등에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SAS코리아는 지난해 국내 대규모언어모델(LLM) 기업들과 협력해 생성형 AI의 실제 업무 적용 사례를 개발하는 성과도 거뒀다. 이밖에 개발자와 모델작업자(Modeler)를 위한 경량형 분석 플랫폼 ‘SAS 바이야 워크벤치(SAS Viya Workbench)’도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SAS 언어와 파이썬을 모두 지원해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모델을 구축하고 협업하도록 하며, 신뢰성과 안정성, 빠른 성능을 제공해 신속한 모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