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피지포토닉스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실시간 용접 모니터링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아이피지포토닉스는 1990년 창립 이후 재료 가공·의료 절차·첨단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고성능 레이저 및 레이저 시스템을 제공하며,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레이저 기술로 비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 제조 시설, 응용 연구소,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30개국 이상의 입지를 확장했고, 레이저를 기반으로 다양한 전극 필름 가공에서부터 배터리 트레이 구조 용접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생산 단계 전반에 걸쳐 배터리 제조 솔루션을 제공한다. 아이피지포토닉스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실시간 용접 모니터링 솔루션에 적용된 LDD(Laser Depth Dynamics) 기술은 용접 깊이를 직접 측정해 정밀한 품질 관리를 지원한다. 기존 포토다이오드 기반의 간접
비앤비테크놀러지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공압 비례 밸브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비앤비테크놀러지는 1995년 창립 이래 압력제어 기술과 공압비례밸브, 공압서보밸브 분야에서 신기술과 신제품을 선보여왔다. 반도체, IT, 자동차 제조 및 부품, 타이어, 식품, 섬유, 시험기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공압비례밸브 및 서보밸브 제품을 국내 특허를 기반으로 높은 정밀도와 반복성을 갖춘 자체 생산 제품으로 확보했다. Electro-Pneumatic Proportion&Servo MECA 기술을 기반으로 솔루션 고도화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 비앤비테크놀러지는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PSV1 공압 비례 밸브는 정밀한 압력 제어와 높은 응답성을 갖춘 자동화 솔루션이다. 아날로그 명령값(010V, 420mA) 및 RS485 통신을 지원하며 출력 압력의 아날로그 및
한국체인모터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자동화솔루션 모토바리오 감속기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한국체인모터는 1989년 설립 이후 전문성을 바탕으로 동력전달 장치와 자동화 핵심 부품을 공급했다. 현재 30여 개의 국내외 브랜드와 협력해 SERVO SYSTEM, 고·저압 전동기, 기어모터, 중·대형 기어박스, BALL SCREW, LINEAR GUIDE, 고·저압 인버터 등 다양한 자동화 부품을 제공하고 있다. 이 부품들은 2차전지 설비, 물류 장비, 수처리 장비, 포장 기계,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이탈리아 모토바리오와 대리점 계약을 맺고 웜 감속기, 헬리컬 감속기, 프리미엄 전동기 등 고품질 제품을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한국체인모터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모토바리오의 헬리컬베벨 감속기는 낮은 백래쉬, 고효율, 고강성, 고토크 성능을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인덕션 기어드 AC 모터를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브라더 공업의 한국 지사로 프린팅 부문과 기어 모터 부문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인 NISSEI Corporation은 브라더 GTR 제품을 제조·생산하며 기어 모터 사업과 기어 사업으로 구성된 브라더 그룹의 기계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브라더 GTR은 기계·FA 산업에 인덕션 기어 모터, IPM 모터, BLDC-DC 모터, 감속기 및 정밀 기어 제품을 GTR 브랜드로 공급한다.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에너지 효율성과 안정성이 높은 고효율 인덕션 기어드 AC 모터를 선보였다. 해당 솔루션은 CE·UL·CCC 등 국가별 인증을 통합 취득해 글로벌 시장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ISO 9001/14001 인증을 획득한 이
가스디엔에이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2차전지 리크 감지기를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가스디엔에이는 2004년 창립 후 가스 측정기 및 적외선 온도계 솔루션을 지원하는 정밀 계측기 전문 기업이다. 국내 최초 적외선 온도계를 선보인 이래 특수가스, SMOKE&ODOR 경보기, IAQ 측정용 가스경보기, 휴대용 가스 검지기 등 다양한 산업용 안전장비를 개발 및 제조해 전 세계 20여 개국 대상으로 수출하고 있다. 가스디엔에이는 이번 전시회에서 2차전지 리크 감지기 ‘BLD-1000’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비분산적외선(NDIR) 방식으로 최대 100PPM까지 배터리 누액을 감지할 수 있으며, 0.1PPM의 정밀한 해상도를 제공한다. 자동 흡입(Auto Suction) 방식으로 작동해 응답 시간은 7초 이내로 빠른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7인치 TFT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측
우리종합계측기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테스트 장비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우리종합계측기는 전기·전자·환경계측기기를 수입 유통 및 제조하는 기업으로 50개 유통망을 보유해 METREL, DV POWER, TESTOOL 등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를 취급한다. 전력품질분석기, 전기차 충전기 시험기, 열화상카메라 등 다양한 제품군을 제공하며 3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리종합계측기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BLU-C 시리즈는 니켈 및 리튬 기반 배터리의 용량 시험과 온도 조절 시험이 가능한 고성능 장비다. 특히, 최대 300A 및 42kW의 방전 전력을 지원하 3.0~800Vdc의 배터리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하다. 7인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셀 및 셀간 전압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 중단 시에도 데이터
케이시시정공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ACS 원형 실린더 및 다양한 공압 실린더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케이시시정공은 1992년 설립 이후 자동화 부품 국산화를 목표로 피팅, 스피드 콘트롤러를 비롯해 유공압 실린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공압 부품을 개발 및 출시해왔다. 지속적인 R&D 투자로 기술력을 인정받아 현재 포스코, 현대제철, 삼성전자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케이시시정공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ACS 원형 실린더 및 다양한 공압 실린더는 ACS4(AL TUBE)와 ACS5(STS TUBE) 표준 러버 쿠션형을 기본으로 경쟁사 제품과 호환성 및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또한 에어 쿠션형 제품도 함께 출시돼 사용자의 선택 폭을 넓혔다. 해당 제품들은 무급유 패킹을 적용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부식 개선을 위해 로드 표면을 최적화했다. 특히 자
한국케이앤에스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기계식 및 전자식 포지션 인디케이터를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한국케이앤에스는 자동화 솔루션 분야에서 반도체, 배터리, OLED, CNC 기계, 제약, 조선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최적화된 자동화 제품을 공급하며 고객의 요구사항과 예산에 맞춘 맞춤형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 1999년 설립 이후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케이앤에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기계식 및 전자식 포지션 인디케이터, 액추에이터 등 스마트 공정 지원을 위한 제품군을 선보였다. 기계식 포지션 인디케이터는 최대 30mm까지 다양한 샤프트 크기에 대응하며 높은 수명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해 생산 현장의 유연성을 높인다. 특히 회전값과 샤프트 및 표시 방향을 선택할 수 있어 편의성을 더했다. 전자식 포지션 인디케이터는 위치값 피드백으로 정밀한
하이윈코퍼레이션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단축 로봇, 모터, 드라이브를 포함해 맞춤형 조합이 가능한 원스톱 토탈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하이윈테크놀로지는 볼스크류·리니어 가이드웨이·산업용 로봇 등 정밀 핵심 부품을 연구개발 및 제조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공작기계, 의료기기, 자동화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1997년 전기 계열사 ‘HIWIN 마이크로시스템’을 설립해 서보모터, 리니어 엑츄에이터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했다. 현재 다관절 로봇과 의료용 로봇을 포함한 첨단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지능형 로봇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하이윈코퍼레이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모션 컨트롤 및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토탈 솔루션은 볼스크류 및 싱글축 로봇 제품군으로 다양한 산업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볼스크류 솔루션은 서포트 유닛, 베어링, 모터, 드라이
에이티엠아이엔씨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파워서플라이, 멀티미터,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로 구성된 스마트 벤치 에센셜 시리즈 실험실습용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에이티엠아이앤씨는 계측장비 분야에서 오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구축한 기업으로,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의 국내 공인대리점이다. 전기·전자, 이동통신, 방송, 반도체 분야의 측정장비 공급뿐만 아니라 5G 이동통신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첨단 계측장비 판매,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에이티엠아이엔씨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EDU36311A 삼중 출력 DC 전원 공급기는 정밀한 전력 공급과 다채널 모니터링 기능을 갖췄으며 EDU34450A 5.5 디지트 디지털 멀티미터는 고해상도 측정을 지원해 정밀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EDU33211A/EDU33212A 20M
아이엠피티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초음파 음향카메라 및 열화상카메라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아이엠피티는 1987년 설립이후 전기전자 계측장비, 생산설비, 신뢰성 및 비파괴 검사장비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왔다. 미국 Fluke사의 국내 총판점 및 공인대리점으로서 설비관리, 에너지관리, 예방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전문 계측장비와 시스템을 제공하며 최상의 종합 솔루션을 목표로 한다. 본사 정품 장비만을 취급하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위해 현장 데모 및 전문가 추천 서비스를 지원한다. 아이엠피티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Fluke사 최신 초음파 음향 카메라 시리즈인 Fluke ii915와 ii905모델은 SoundSight 기술을 활용해 소리를 시각적 이미지로 변환하며 압축 공기 및 가스 누출 감지, 기계적 이상 탐지, 전력 설비의 부분 방전 검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Criminal IP 기반 공격표면 관리와 위협 인텔리전스 활용 인사이트 공유 AI스페라가 6일 ‘Criminal IP Conference 2025 선제적 방어 : 공격 표면 관리와 위협 인텔리전스’를 서울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했다.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과 동시에 이를 악용한 사이버 공격이 날로 정교해지고 있다. 기업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안 전략을 보다 능동적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공격 표면 관리(ASM)와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를 결합한 접근법이 주목받는다. ASM을 통해 자산 노출 지점을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CTI 분석을 활용해 위협의 유형과 공격자의 전술을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방어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단순한 방어를 넘어 선제적 위협 차단 전략을 수립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AI 기술과 OSINT 기반 데이터 수집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150개국에서 서비스 중인 공격 표면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Criminal IP가 최신 보안 위협과 대응 전략을 다룬 컨퍼런스다. Criminal IP CEO, 창립자, 핵심 개발진, 실제 고객사가 공격 표면 관리와 위협 인텔리전스
LS ELECTRIC과 LS MnM을 비롯한 LS그룹 주요 계열사 6개 기업이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미래 전략 사업 역량을 선보인다. LS일렉트릭은 LS MnM, LS머트리얼즈, LS알스코, LS이모빌리티솔루션, LS티라유텍과 함께 3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공동으로 참가한다. 이번 전시에서 친환경 발전부터 배터리까지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반에 걸친 토털 솔루션을 공개할 예정이다. LS일렉트릭과 5개 계열사는 45부스(406sqm) 규모의 전시장을 마련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직류 솔루션’, ‘미래 소재’, ‘전기차(EV)’, ‘스마트공장’ 등 5개 테마를 중심으로 차세대 제품과 기술 역량을 강조한다. LS일렉트릭은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직류 패키지 솔루션 등 전략 신제품을 전면 배치한다. 올인원 ESS 플랫폼은 배터리와 PCS 등에 설치된 센서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해 전력사용량 예측, 고장 예방, 안전성 확보 등을 가능하게 한다. 산업용 모듈형 ESS솔루션 ‘LS일렉트릭 MSSP(Modular Scalable String Platform)’도 소개한다.
가트너가 2025년 주요 사이버 보안 트렌드를 발표했다. 생성형 AI 발전, 디지털 탈중앙화, 공급망 상호의존성, 규제 변화, 인재 부족 문제, 진화하는 위협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보안 및 위험 관리(SRM) 리더들은 혁신과 복원력을 내재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가트너는 ‘데이터 보안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생성형 AI’, ‘머신 ID 관리’, ‘전술 AI’, ‘사이버 보안 기술 최적화’, ‘보안 행동 및 문화 프로그램 가치 확장’, ‘사이버 보안 번아웃 문제 해결’을 2025년 사이버 보안 트렌드로 선정했다. 데이터 보안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생성형 AI는 기존 정형 데이터 보호를 넘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비정형 데이터 보호로 확장되고 있다. 생성형 AI가 보안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이해하고 우선순위를 조정해야 한다. 머신 ID 관리는 생성형 AI·클라우드 서비스·자동화·데브옵스 활용 증가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적절한 제어와 관리를 하지 않으면 공격 표면이 넓어질 수 있으며, 기업은 강력한 머신 ID 및 액세스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가트너 조사에 따르면 IAM팀이 기업 내 머신 ID의 44%만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스퍼스키가 발표한 2024년 보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웹 기반 사이버 위협 건수가 총 983만 7841건에 달했다. 국내 사용자의 21%가 웹 기반 공격의 대상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카스퍼스키는 클라우드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 인프라인 ‘카스퍼스키 시큐리티 네트워크(Kaspersky Security Network, KSN)’를 통해 전 세계 보안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해 위협을 탐지한다. 이를 기반으로 발간된 카스퍼스키 보안 보고서(Kaspersky Security Bulletin)는 지난해 대한민국에서 탐지된 인터넷 기반 사이버 위협 규모를 발표했다. 웹 기반 공격은 주로 악성 프로그램을 유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브라우저 및 플러그인의 취약점을 악용하거나 소셜 엔지니어링 기법을 사용한다. 사용자가 감염된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자동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파일리스 악성코드의 위험성이 높다. 파일리스 악성코드는 Windows 레지스트리나 WMI 구독을 이용해 지속성을 유지함으로써 탐지가 어려운 특징이 있다. 카스퍼스키는 이러한 위협을 탐지하기 위해 기계 학습(ML) 기반 모델과 행동 휴리스틱을 활용하는 ‘행동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