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기획특집

배너

[신재생에너지! 지자체가 이룬다] 경기도, 수소 경제 활성화 선두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이끈다

URL복사
[#강추 웨비나] 제조 산업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웨비나 시리즈 Autodesk 올인원 제조솔루션 Fusion 활용하기 - 1편: Fusion 소개 및 모델링 활용하기 (7/10)

[첨단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생존게임이다. 오염물질을 줄이지 못하면 모두가 죽는다. 어벤져스에 나왔던 타노스는 인류의 절반이라도 살려줬지만, 지구온난화는 그마저의 자비도 없다. 화석연료를 재활용하거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지구온난화와의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세계 각 국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우리 정부와 지자체도 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과 계획을 발표하며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번 기획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지자체의 활동을 조명했다. -편집자 주-

 

 

▲ 수원 화성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경기도는 수소를 활용한 수소 경제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도는 올해 초 AI·수소 경제·빅데이터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본격 육성한다고 밝히며 수소 경제 발전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평택시에 총 사업비 210억 원을 투입해 수소생산시설을 착공하기도 했다.


또, 경기도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를 위한 혜택과 주민참여를 이끌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경기도에 속한 시들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며 에너지 전환에 힘쓰고 있다.

 

2030년까지 ‘수소생산기지 10개소 발굴’ 등 5대 과제 달성 목표


경기도는 미래 청정에너지인 수소를 활용한 수소 경제 분야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도는 지난해 9월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생태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수소 산업을 ‘신미래 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에 나섰다.


수소생산기지와 배관망, 수소차, 충전소 등 각종 인프라를 확충해 ‘수소에너지전환을 통한 CO2·미세먼지 Free Zone 실현’이라는 비전을 이루겠다는 의지다.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생태구축 기본계획’은 크게 ‘5대 추진 목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5대 분야·20대 중점과제’로 구성됐다.


5대 추진 목표는 ▲수소생산기지 10개소 발굴 ▲수소배관망 100km 확대 ▲수소차 13만대 및 수소버스 4천대, 수소충전소 200개소 보급 ▲수소연료전지발전 1GW 구축 ▲주력사업융합형 수소클러스터 육성이다. 도는 2030년까지 이 과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도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소공급체계 구축 ▲누구나 수소를 사용하는 도민체감형 인프라 확대 ▲CO2-Free Zone 수소융합테마도시 ▲주력사업융합형 수소클러스터 조성 ▲안전한 수소에너지 지원기반 구축 등 20대 중점과제도 제시했다.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첫 걸음으로 경기도는 평택시에 총 사업비 210억 원을 투입해 수소생산시설을 착공했다. 이 시설에서는 하루 5톤 규모의 수소에너지가 생산된다. 대략 수소전기차 8천 대가 이용할 수 있는 양이다. 경기도는 이 시설에서 공급되는 수소에너지로 수소 공급가격을 6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경기도는 안산시 스마트허브 및 대부도 방아머리 일원에 수소 인프라를 종합 설치하는 수소시범도시 사업도 추진했다.

 

 

▲ 경기도는 2030년까지 수소차 13만대 및 수소버스 4천대, 수소충전소 200개소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진 : 현대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와 주민 혜택 높여


경기도는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에너지효율화 사업에 많은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도는 지난 3월, 1.76% 저금리 ‘에너지기금 융자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신재생에너지’ 분야 – 100kw 이하 태양광 전력을 생산하려는 사회적 협동조합 및 사업자 ▲‘에너지효율화’ 분야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설치사업 등으로 5% 이상의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업을 시행 중인 사업자다.


기존에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사업자만 융자 지원 대상이었으나, 올해부터는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에너지효율화’ 분야 사업자까지 지원을 확대했다. 도는 사업자 당 최대 2억 원 이내, 사업 당 설치자금의 최대 80%까지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도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주민참여도 이끌고 있다. 도는 4월 7일, ‘2020 경기도 스마트에너지 아파트 조성 사업’에 참여할 아파트 단지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에 선정된 단지에 도는 ▲기존 시설 에너지 효율성 진단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LED 등기구 등으로의 시설 교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세대별 디지털계량기 구입과 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 등에 단지 당 약 1억4000만 원 비용을 지원한다.


지난해는 안양 인덕원 대림2차와 안산 푸르지오9차 아파트가 지원 대상에 선정돼 단지 당 ▲에너지 고효율 기기로의 교체 ▲태양광 시설과 디지털전력계량기, 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 등에 1억5000만 원을 지원받았다. 사업 결과 아파트 전체 에너지 사용량 7%를 줄이는 성과를 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앞장선 경기도내 시(市)


경기도에 속한 시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안산시는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과 시민의 복지 증진을 위해 ‘2020년 안산시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 보급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시는 한국에너지공단의 2020년 신재생에너지보급(주택지원) 사업과 연계해 관내 약 170가구에 시비 1억 6200만 원을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의왕시는 지난 3월 23일, 시민햇빛발전소 1호기를 레솔레파크 주차장에 준공했다. 의왕 시민햇빛발전소 1호기는 전국 최초로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공원 주차장에 건립된 시민햇빛발전소다. 이 사업은 ‘경기도 에너지자립 선도사업 공모’에 선정돼 건립비용의 30%를 경기도가 지원하고, 의왕시가 20%, 나머지 50%는 조합원과 시민펀드를 통해 조성됐다.


516kW의 대규모 발전용량을 가진 햇빛발전소 1호기는 연간 발전량이 65만9천190kW로 183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고 연간 277.8t의 온실가스를 절감해 의왕시 기후위기와 미세먼지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광명시는 3월 1일, 광명시민햇빛발전소 건립을 위한 협약식을 개최하며 에너지 자립 도시로의 첫 디딤돌을 마련했다. 광명시민햇빛발전소 건립 사업은 공공기관 유휴부지를 광명시민에너지협동조합에 유상 임대 후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여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산하고 발전수익을 시민들로 구성된 조합원들과 함께 공유하는 사업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지금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공공기관 주도하에 이뤄졌는데 이 협약을 통해 민간이 주도하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진정한 시민 주도형 에너지 자립도시 광명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고양시는 3월 25일, ‘2020년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으로 10개 에너지자립마을을 추가 조성한다고 밝혔다.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은 에너지 취약지역에 마을단위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를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현재 고양시에는 19개의 에너지자립마을이 조성돼 있다.


에너지자립마을은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사업계획의 타당성, 자립마을 구성의 적정성, 사업취지 부합성 및 마을협동조합 구성의 구체성 등을 평가해 선정되며, 사업에 선정된 마을은 가구당 약 3kW 태양광발전설비 설치로 전기사용료의 획기적인 절감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을공동시설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시설로부터 발생한 전기를 한국전력공사에 판매해 마을복지를 위한 공동기금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고양시 관계자는 “올해 고양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해 작년대비 150%에 해당하는 예산 51억 원을 확보했다”며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외에도 미니(베란다형)태양광 지원 사업,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 사업으로 민간 태양광 설치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주차장 등 공공기관 유휴 부지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 설치 등을 통해 청정에너지 보급을 위해 앞장 서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경기도는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등 에너지 전환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