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를 보면 전방십자인대파열 부상으로 경기 출전을 미루는 스포츠 선수들 소식을 종종 듣고는 한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 중 하나로써 스포츠 선수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쉽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요즘에는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전방십자인대파열 환자들 역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에 위치한 네 개의 인대 중 하나다. 이 중 무릎 앞쪽에 있는 것이 전방십자인대, 뒤쪽에 있는 것이 후방십자인대로 불린다. 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을 지지하고 무릎을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십자인대는 비교적 튼튼한 구조물에 속한다. 그렇지만 무릎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다리가 비틀리는 등의 부상을 당하면 십자인대가 파열되거나 끊어지는 등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은 파열 정도에 따라 치료가 달라진다. 전방십자인대가 절반 이상 파열되었거나 완전히 끊어진 상태라면 이를 재건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파열된 부분이 50% 미만이고, 무릎 안정성에 큰 문제가 없다면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통증 및 염증을 감소시키고 무릎 근력을 강화하여 무릎 안정성을 회복하는 물리치료 및 운동요법과 같은 방식을 적용한다. 그렇지만 파열된 부분이 50% 미만이어도 통증이 극심하고 무릎이 심하게 불안정하다면 수술을 고려하기도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뚝’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무릎에서 통증이 느껴지고 무릎이 부어오르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시간이 지나면 점차 가라앉아 질환을 오래 방치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고 설명한다.
김원장은 또 “전방십자인대파열은 오래 방치하면 무릎에 부담을 주어 반월상연골 손상 및 관절염과 같은 2차 질환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조속한 대처하는 게 좋다”면서 “전방십자인대파열은 이학적 검사와 함께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촬영 결과를 통해 전방십자인대 파열 정도 및 동반손상 유무 등을 확인하고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