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뉴스레터

[헬로티 부동산 전략 마스터 (4) ] “신도시를 살 것인가, 또 한 번 속을 것인가”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9-12 08:49:46
  • 조회수 : 23
  • 추천수 : 0

2025. 09. 12 Vol 4 NEWSLETTER
신도시를 살 것인가, 또 한 번 속을 것인가
과거와 현재, 그 사이에서 길을 묻다
정부가 다시 신도시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매년 하나씩, 5년간 수도권에 135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과거와 달리 '계획'이 아니라 '착공'을 기준으로 삼겠다는 점에서 강한 의지를 보여주지만, 과연 이번엔 다를까요? 진짜 삽을 뜰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 정책은 실수요자와 투자자에게 어떤 선택을 요구하는 걸까요?

1기 신도시: 먼저 산 자의 승리
1989년, 1기 신도시가 처음 등장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반반이었습니다. "너무 멀다, 집값 떨어진다, 교통도 없다"는 우려가 컸지만, 분당과 일산을 중심으로 신도시는 빠르게 도시의 형태를 갖추었고 지금은 서울 강남권의 확장선이 됐습니다. 당시 분당에 집을 샀던 사람들은 10년 안에 두세 배의 자산 상승을 경험했습니다. 일산과 중동, 산본도 안정된 주거지로 자리 잡았죠. 1기 신도시는 '산 사람'과 '안 산 사람'의 차이를 명확히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집을 산 사람은 시세차익과 안정된 주거를 얻었지만, 기다렸던 사람은 몇 년 후 더 높은 가격으로도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2기 신도시: 기다린 자의 보상
2000년대 들어 정부는 2기 신도시를 통해 한 걸음 더 나아간 실험을 했습니다. 자족 기능, 교통, 산업단지 유치까지 함께 고려한 도시를 만들겠다는 것이었죠. 하지만 이상과 현실의 간극은 컸습니다. 광교, 동탄, 운정 등 일부 신도시는 서울과의 연결성이 떨어졌고, 자족 기능은 기대보다 늦게 자리 잡았습니다. 그렇다고 실패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동탄은 광역 교통망 확충과 기업 유치를 통해 뒤늦은 반등을 이루었고, 판교는 강남 IT벨트의 중심지로 성장했습니다. 2기 신도시는 결국 기다릴 수 있었던 사람에게는 보상을, 기회를 놓친 사람에게는 후회를 안겼습니다.

3기 신도시: 기다림이 만든 후회
2018년 이후 등장한 3기 신도시는 아직 입주조차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왕숙, 창릉, 교산 등은 발표된 지 7년이 다 되어가지만 실제 착공이 진행된 곳은 많지 않습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3기 신도시 나오니까 좀 기다려 보자"고 했지만, 그 기다림 속에서 집값은 수억 원씩 올랐고, 실거주자와 투자자 모두 타이밍을 놓쳤습니다. 3기 신도시는 '공급 신기루'라는 비판 속에서 정부 정책의 실행력에 대한 회의감을 심어주었고, 사지 않았던 사람들은 지금도 여전히 전세나 월세에 머물고 있습니다.

9·7 대책: 이번엔 다를까?
이제 다시 9·7 대책입니다. 정부는 이번엔 다르다고 말하며 LH가 직접 시행하고 공공청사나 학교 부지, 노후 임대단지까지 공급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과거 1기 신도시처럼 속도감 있게 밀어붙이겠다는 의지도 보이죠. 하지만 현실은 만만치 않습니다. LH의 재정 여력은 빠듯하고, 서울과 수도권 내 유휴지는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지자체 협의, 주민 반발, 정치적 리스크도 상존합니다. 과거처럼 택지개발촉진법으로 단숨에 밀어붙이던 시절과는 환경이 다릅니다.

실수요자와 투자자의 선택
시장은 더 똑똑해졌고, 사람들은 단순히 정부 발표를 믿지 않습니다. 공급의 숫자보다 중요한 건 공급의 질과 시간입니다. 과거의 교훈은 우리에게 분명하게 말합니다. **'먼저 산 사람이 결국 웃었다'**는 사실을 말이죠.

투자자들은 이번에도 패턴을 봅니다. 정부의 강한 공급 시그널은 곧 시장의 숨고르기를 뜻하며, 저평가된 지역과 향후 교통 개선이 예고된 곳, LH의 직접 시행 대상지를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실수요자에게는 조금 다른 기준이 필요합니다. 청약을 기다릴 것인지, 지금 매수할 것인지의 기로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안정성입니다. 무기한으로 기다리라는 말은 틀릴 수 있습니다. 주거 안정과 미래 가치, 인프라 확장 가능성까지 냉정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과거는 반복된다
1기 신도시 때 분당을 샀던 사람들은 지금도 그 선택을 후회하지 않습니다. 동탄을 10년 전 분양가로 잡았던 사람들은 지금의 시세표를 보며 미소 짓습니다. 반면 기다렸던 사람들, 더 떨어질 거라며 주저했던 사람들은 여전히 같은 고민 속에 있습니다.

지금 필요한 건 예측이 아닙니다. 이번 정부의 공급정책은 확실히 진화했지만, 시장도 똑똑해졌고 과거와는 다른 리스크들도 도사리고 있습니다. 공급은 숫자가 아닙니다. 삽이 뜨고, 철근이 올라가고, 가구가 분양될 때에야 비로소 시장은 바뀝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회는 늘 조용히, 그러나 빠르게 지나갑니다.

이번엔 어떻게 할 것인가. 지켜볼 것인가, 선택할 것인가. 과거를 안다면 답은 분명히 보입니다. 기다린 자가 아니라, 먼저 본 자가 시장의 주인이 된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작성자 부동산칼럼니스트 및 전문기자 이지윤

초보자도 알기 쉬운 NPL 이해하기,  5단계

NPL이란?
금융기관이 회수하지 못한 ‘빚(부실채권)’을 말해요.
이 ‘빚’을 할인된 가격에 사오는 게 NPL 투자입니다.

② 왜 싸게 살 수 있나요?
은행은 못 받은 돈을 빨리 정리하고 싶어 해요.
그래서 시세보다 훨씬 싸게 ‘채권’을 넘깁니다.

③ 수익은 어떻게 내나요?
1. 채권 배당 2. 부동산 매각차익 3.  협상 통한 권리양도로 수익을 얻어요.
잘하면 시세의 50~70% 수준에 부동산을 내 것으로 만들 수도 있어요.

④ 리스크는 어떤 게 있나요?
권리분석 실패, 점유자 분쟁, 협상 실패 등 초보자에게는 어려운 구간도 많아요.

⑤ 초보자는 어떻게 시작하나요?
소액 NPL부터 시작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실전 사례를 보며 권리분석을 연습해 보세요
감정가보다 200억 저렴한 강남 신축 부지
 보안 물건으로 사진은 비공개합니다 
1. 서울 강남구 역삼동  신축부지 

 감정가 : 570억 

NPL  매입가  370억 

현 상태 나대지로 건축 허가득

(9월 이내 수의 계약 조건)

금리 3%대,  80% 대출 가능
 토지 면적 :  858.50 ㎡ (260평)
 지상 7층 지하 4층 건물 신축 가능 

도로 현황 : 동측 40m, 남측 6m

 자세한 현황은 naya2797@naver.com으로 문의 바람 

오피스 수요는 '양극화', 중소형 오피스는 고전

대형 오피스는 안정적 수요 지속, 공실률 4% 내외 유지

반면, 중소형 오피스나 비역세권은 공실 증가 추세

→ 투자자는 '입지 중심' 선별 투자 필요


서울 프라임 오피스 임대료 연속 상승

여의도·강남·광화문 등 핵심 지역 임대료 3분기 연속 상승

최근 평균 임대료 25.1만 원/㎡로 전년 대비 3.4% 상승

→ 우량 자산 선호 심화, 장기 보유 전략 유효


상가 공실률 전국적 증가세

2025년 2분기 기준, 집합상가 공실률 12.4%로 전 분기 대비 0.9%p 상승

지역별로는 수도권 외곽과 지방 중소도시에서 특히 심각

→ 상가 투자, 철저한 수요 분석 필요


금리 인하 기대와 한계

한국은행 금리 동결 지속에도 하반기 인하 기대감 커져

다만, 상업용 부동산 투자 수요 회복은 제한적

→ 금리보다 '섹터별 수익성'이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


물류·호텔은 회복, 리테일·상가는 정체

물류센터: 신축 중단 및 가동률 회복

호텔: 관광 수요 증가로 평균 가동률 85% 이상

리테일: 소비 위축으로 공실률 증가세

→ 섹터별 ‘회복력’ 구분하여 전략 수립 필요


데이터센터 등 뉴 이코노미 자산 주목

AI·클라우드 수요로 데이터센터 투자 문의 증가

코리빙, 시니어 레지던스 등 틈새 자산 투자 수요 확대 중

→ 장기 트렌드 반영한 포트폴리오 구성 필요


글로벌 CRE 시장 회복세 모멘텀

미국 CRE,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투자 심리 반등

유럽 대형 오피스 수요도 회복 조짐

→ 국내 투자자들, 해외 상업용 부동산도 재검토 중

조용히 거래되는 진짜 급매물, 모른다면 당신만 손해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전문가가 큐레이션한 매물 정보]
구독자에게만 공개합니다

오늘의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좋았어요! 음, 잘 모르겠어요

 

추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 [헬로티 부동산 전략 마스터 (4) ] “신도시를 살 것인가, 또 한 번 속을 것인가” 새글 관리자 2025/09/12 24 0
128 [자동화기술 9월 뉴스레터] 사람을 닮은 기계, 산업을 다시 쓰다 새글 관리자 2025/09/08 59 0
127 8월 헬로티 내집마련 챌린지..."2025 부동산 시장, 공급의 그림자가 만든 기회" 관리자 2025/09/03 265 0
126 [헬로티 부동산 전략 마스터 (3) ] “전세 대란 속, 위기를 돈으로 바꾸는 고수들의 부동산 전략” 관리자 2025/09/03 60 0
125 [전자기술 뉴스레터] 반도체 설계 혁신│소버린 AI│망고부스트│인핸스 관리자 2025/09/01 67 0
124 [산업단지신문] 8월 주목해야 할 산업단지 소식만 모았습니다 관리자 2025/08/25 96 0
123 [전자기술 뉴스레터] 상반기 반도체 & AI 리포트│라이언로켓│K-AI 관리자 2025/08/18 175 0
122 [자동화기술] 로봇이 된 공장, 소프트웨어가 된 산업 관리자 2025/08/04 251 0
121 [산업단지신문] 7월 주목해야 할 산업단지 소식만 모았습니다 관리자 2025/07/28 229 0
120 7월 헬로티 내집마련 챌린지..."이재명정부의 소비지원금, 주택시장에는 온기일까 착시일까" 관리자 2025/07/25 718 1
119 [전자기술 뉴스레터] K-반도체│AI 일자리│유진테크│솔트룩스 관리자 2025/07/21 335 0
118 [헬로티 부동산 전략 마스터 (2) ] "직장이든 사업이든 결국 자산을 완성하는건 부동산이다" 편 관리자 2025/07/11 419 0
117 [자동화기술] 기술이 바꾸는 물류의 법칙, 지금이 전환점 관리자 2025/07/07 400 0
116 6월 헬로티 내집마련 챌린지...신혼부부 A씨의 전세 탈출기-망설이면 평생 집 못 산다 관리자 2025/07/01 454 4
115 [헬로티 부동산 전략 마스터 (1) ] "직장이든 사업이든 결국 자산을 완성하는건 부동산이다" 편 관리자 2025/06/26 1876 4
114 [전자기술 뉴스레터] HBM│AI 에이전트│투플랫폼│코딧 관리자 2025/06/05 929 2
113 [자동화기술] 자율제조 핵심 기술 (2편) - AI는 선택 아닌 '필수' 관리자 2025/06/05 897 1
112 [산업단지신문] 5월 주목해야 할 산업단지 소식만 모았습니다 관리자 2025/05/16 515 0
111 [전자기술 뉴스레터] 반도체 규제│HBM│GTC 2025│트웰브랩스 관리자 2025/05/09 410 0
110 [자동화기술] 자율제조 핵심 기술 (1편) - 로봇이 산업 DX 미래다 관리자 2025/05/07 426 0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