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과 포드자동차와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인 블루오벌SK가 20일 첫 상업 생산을 개시했다. SK온과 외신에 따르면 이날 미국 켄터키주 글렌데일에 위치한 블루오벌SK 켄터키 1공장에서 약 37GWh 규모로 포드의 전기 픽업트럭인 ‘F-150 라이트닝’과 전기 화물밴인 ‘E-트랜짓’에 탑재되는 배터리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공장에서는 향후 포드와 링컨의 미래 전기차 모델에 들어갈 배터리도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SK온과 포드는 2022년 7월 블루오벌SK를 설립하고 총 114억 달러(약 16조 원)를 투자해 미국 켄터키주 글렌데일과 테네시주 스탠튼 두 지역에서 배터리 공장 3개를 건설하기로 했다. 테네시 공장은 내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켄터키 2공장 가동 시점은 미정이다. 블루오벌SK는 시장 수요와 사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남은 공장들의 가동 시점을 결정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으로 미국 현지화가 중요해진 가운데 SK온은 이번 블루오벌SK 켄터키 1공장 가동으로 조지아주에 위치한 자체 공장 ‘SK배터리아메리카’에 더해 미국 내 생산 역량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됐다. 2022년 생산을 시작한 SK배터리아메리카는
미국 조지아주에 한국 기업 SK그룹의 이름을 딴 ‘SK로’가 생겼다. SK온은 미국 조지아주 잭슨카운티 커머스시에서 운영 중인 SK배터리아메리카(이하 SKBA) 부지 인근 도로인 ‘스티브 레이놀즈 인더스트리얼 파크웨이’(Steve Reynolds Industrial Parkway)가 ‘SK 블러바드’(SK Boulevard이하 SK Blvd.)로 변경됐다고 20일 밝혔다. SK온은 19일(현지시간) SKBA 관계자와 클라크 힐 커머스 시장, 짐 쇼우 잭슨 카운티 상공회의소장 등 지역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SKBA 조지아 공장에서 현판식을 가졌다. 힐 시장은 “커머스시와 잭슨 카운티를 대표해서 스티브 레이놀즈 인더스트리얼 파크웨이 구간을 SK 블러바드로 공식적으로 개명하기 위해 이 표지판을 여러분께 선보인다”고 말했다. 새롭게 바뀐 도로명 ‘SK Blvd.’은 이미 지난 1일부로 지도 애플리케이션과 911 서비스, 우편 서비스 등에 등록됐다. 앞으로 1년간은 옛 도로명과 병행해 사용된다. 잭슨카운티는 SKBA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도로명 변경을 결정했다. 도로명과 함께 SKBA가 위치한 산업단지 이름도 ‘커머스 85
SKBA, 연내 인력을 3000명으로 늘릴 계획 밝혀 SK온의 미국 법인인 SK배터리아메리카(SKBA)가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서 주정부에 약속했던 2600명 채용 목표를 2년 앞당겨 달성했다. 30일 업계와 조지아주정부에 따르면, SKBA는 작년 말 2600명 이상 고용한 데 이어 연내 인력을 3000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SK온은 SKBA를 통해 총 26억 달러를 투자해 조지아주에 단독으로 배터리 1·2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9.8기가와트시(GWh) 생산 능력을 갖춘 1공장은 2019년 착공 후 작년부터 양산을 시작했고, 11.7GWh 규모의 2공장은 올해 생산에 돌입했다. SKBA는 당초 2024년까지 2600명을 고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를 2년 앞당겼다. 코로나로 많은 기업이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SK온이 '드라이브 스루' 채용 박람회를 여는 등 구인 활동에 적극 나선데다 조지아주 정부가 무료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인 '퀵스타트' 등 기업 친화적인 지원 정책을 펼친 덕분이다. 작년 7월 SKBA와 조지아주 방위군이 발표한 고용 협력에 따라 퇴역군인과 예비역, 군인 가족 등도 채용됐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 주지사는 이에 대해 공개적으로 감
SK온이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향후 1900만 달러(약 235억 원)를 투자해 IT센터를 설립하고 미국 내 배터리 생산을 지원한다고 조지아주 정부가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실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SK배터리아메리카(SKBA)가 이달 말부터 애틀랜타 한인타운 인근 로즈웰 시에 기술지원센터를 설립하고 200여 명을 채용한다고 발표했다. SK배터리아메리카는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 SK온의 미국법인이다. 주지사는 SK배터리아메리카의 새로운 IT센터가 배터리 생산관리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국 내 배터리 생산 시설 전체를 지원할 것이라며 "SK배터리아메리카는 창의적인 투자를 통해 미래의 첨단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K온은 2019년부터 조지아주 잭슨 카운티 커머스 시에 26억 달러를 투자해 공장을 설립하고 차량용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은 "2019년 SK의 조지아주 투자를 시작으로 관련사와 지원센터 등 추가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고 환영했다. 앞서 조지아주는 지난달 SK온과 현대자동차가 바토우 카운티에 2025년까지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을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