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거나이즈가 자사의 LLM 기반 업무 자동화 솔루션 ‘Alli(알리)’를 SaaS 버전으로 확장하며, 무료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체험판은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회사 이메일 계정을 통해 가입 후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2주 동안 최대 20명의 사용자가 실제 협업 환경에서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알리는 사용자 중심의 ‘Alli Works(알리 웍스)’와 관리자를 위한 ‘Alli Dashboard(알리 대시보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알리 웍스를 통해 AI와 대화하며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고, 관리자는 알리 대시보드를 활용해 산업과 업무에 특화된 앱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 앱 제작 과정은 비개발자도 수행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설계됐다. 알리-사스의 핵심 기능은 내부 문서 기반 검색과 실시간 웹 탐색을 결합한 ‘딥 리서치(Deep Research)’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내 문서에서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 정보가 필요할 경우 즉시 웹에서 데이터를 탐색해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결과물은 요약본과 출처와 함께 PDF나 워드 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어 보고서 작성이나 회의 준비에 곧바로 활용 가능하다. 기
AI 에이전트 도입 시점 언제?...절반 이상이 1년 이내 선택 올거나이즈가 일본 시장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생성형 AI 및 AI 에이전트의 도입 현황과 기대 효과를 분석한 결과, AI 에이전트가 기업의 전략적 업무 자동화 도구로 빠르게 자리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올거나이즈 한국과 일본 법인이 공동으로 지난달 3일부터 7일까지 일본 내 임직원 수 100명 이상 기업의 임직원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모두 생성형 AI를 활용 중인 기업이며, 응답자 가운데 AI 에이전트 도입을 고려 중인 388명을 대상으로 향후 도입 시점을 묻는 질문에 절반 이상이 ‘1년 이내’를 선택했다. 세부적으로는 ‘3개월 이내’ 4.9%, ‘6개월 이내’ 16.8%, ‘1년 이내’ 36.6%로 집계되며, 전체의 58.3%가 단기간 내 AI 에이전트 도입을 예상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2년 이내’ 19.3%, ‘3년 이후’ 5.9%, ‘미정’ 8%, ‘모르겠다’ 8.5%로 응답해, 다수 기업이 중장기적으로도 도입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응답자의 AI 에이전트에 대한 인지도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 중 ‘생성형 AI와의 차이
[헬로즈업 세줄 요약] ㆍ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LLM 전략과 데이터 보안 프레임 제시 ㆍ실무 중심 보안 101로 훈련·암호화·태세 관리 중요성 부각 ㆍ엘름(Ellm)과 AI 거버넌스를 축으로 한 확장 전략 본격화 파수가 지난 22일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FDI 2025 심포지엄’을 성료했다. 올해 FDI는 ‘생성형 AI 혁명: AI가 기업에 가져올 변화’를 주제로 기업형 LLM 전략부터 실질적인 데이터 보안 방안까지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AI를 “완전히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이라 정의하면서 기업이 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과잉 투자보다는 데이터 인프라 강화와 AI 거버넌스 체계 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AI가 할 수 있는 작은 일들을 정확히 찾아내고 거기에 집중해야 한다”며 “특정 문서 작성과 데이터 정리는 현 시점에서도 충분히 AI가 수행 가능한 업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LLM 도입 초기 단계에서 기업들이 흔히 겪는 비용, 보안,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해 유연한 모델 구성 전략을 제안했다. 퍼블릭 LLM과 프라이빗 LLM을 혼용하고 목적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