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ESG) 공급망 실사와 관련해 진단평가·컨설팅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민관합동 ESG 정책 협의회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ESG 정책 관련 주요 부처와 경영·투자·민간전문가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이들이 처음으로 모인 자리였다. ESG 인프라를 담당하는 기획재정부는 올해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ESG 공급망 실사 관련 진단평가 및 컨설팅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ESG 공급망 실사는 대기업 등이 공급망에 포함된 모든 협력사에 ESG 관련 리스크를 조사·시정하도록 하고 이를 공시하는 제도다. 기업들이 공급망 실사와 같은 새로운 제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겠다는 취지다. ESG 평가의 투명성·공정성을 제고하고자 평가기관 가이던스도 마련하기로 했다. 민간의 사회적채권 발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특성화 대학원에 ESG 교육과정을 개설하는 등 전문가 양성도 돕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와 해외 주요국의 글로벌 ESG 공시 논의 동향을 면밀히
기후변화·ESG워싱·ESG공시 등 글로벌 ESG 이슈 대응전략 10편 제작 대한상공회의소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맞춤형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온라인 교육인 'ESG A부터 Z까지'의 신규 교육 영상 10편을 대한상의 홈페이지 '으쓱'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최근 대기업뿐만 아니라 공급망 내 협력관계에 있는 중소·중견기업에까지 ESG 경영실천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내년 경제계가 주목해야 할 최근 글로벌 ESG 이슈에 대한 내용으로 제작됐다. 강연은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순환 경제 등에 대해 설명하는 기후변화편, ESG 워싱(위장 ESG 경영) 사례와 대응 방안을 다룬 ESG 워싱편,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법과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공시기준 등을 소개하는 ESG 공시편 등으로 구성됐다. 전 세계 14명 밖에 없는 초대 ISSB 위원 중 1명인 백태영 ISSB 위원을 비롯해 컨설팅사와 로펌, 기업, 대학 등에서 활동하는 ESG 전문가가 연사로 초빙됐다. 백 위원은 영상에서 "각국에서 ISSB 기준을 의무공시 기준으로 채택할 확률이 높다"며 "ISSB 기준에 따르면 공급망 내 중소·중견 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