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스나우(OpsNow)가 지난 18일 서울 코엑스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개최한 ‘AWS 유니콘 데이(Unicorn Day) 2025’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AWS 유니콘 데이는 AWS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 혁신과 성장을 이룬 국내 스타트업들이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마련된 자리다. 옵스나우는 행사에서 국내 최초로 핀옵스 파운데이션의 공식 인증을 획득한 검증된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솔루션 ‘FinOps’를 비롯해 AI 기반의 클라우드 매니지먼트 솔루션을 선보이며,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및 스타트업과의 성공적인 협업 사례를 발표했다. 특히 비용 최적화와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AI 기반 클라우드 관리 전략을 강조하며, B2B SaaS 시장에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입증했다. 박승우 옵스나우 대표는 “핀옵스 파운데이션의 인증은 옵스나우의 기술력이 글로벌 표준을 충족하며 높은 신뢰도를 확보했음을 의미한다”며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핀옵스 솔루션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기업뿐만 아니라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들이 클라우드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SaaS 포트폴리오사와 함께 ‘2024 에이티넘 SaaS 데이’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의 SaaS 포트폴리오사와 함께 국내외 SaaS 시장의 흐름과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11월 29일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글로벌(Global)’과 ‘버티컬(Vertical)’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거나 특정 산업에서 혁신을 이루고 있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SaaS 포트폴리오사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됐다. 행사에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SaaS 포트폴리오 22개 사와 100여 명의 스타트업 업계 관계자가 참여했다. 오프닝 발표를 맡은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서비스/플랫폼 투자 부문 대표 김제욱 부사장은 “시장에 불어닥친 한파로 국내 벤처캐피탈의 투자 금액은 감소한 반면, B2B SaaS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일본, 미국과 비교해 보아도 한국 SaaS 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또한 관련 기업 투자를 확대하고 잠재력있는 포트폴리오사의 글로벌
클라썸이 글로벌 교육시장 조사 기관 홀론IQ(Holon IQ)의 ‘동아시아 에듀테크 150’에 4년 연속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동아시아 에듀테크 150은 혁신과 잠재력을 보여주며 전 세계적으로 교육 발전에 기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시장(Market), 제품(Product), 팀(Team), 재무 건전성(Capital), 모멘텀(Momentum) 등을 기준으로 선정한다. 클라썸은 기술경쟁력과 성장성을 강점으로 지난 2021년부터 2022, 2023년에 이어 올해까지 4년 연속해서 이름을 올렸다. 홀론IQ 보고서에 따르면 클라썸은 B2B SaaS로서 견고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동아시아 에듀테크에서 한국의 대표성이 강화되고 있고 B2B 분야의 시장 점유율은 2020년 19%에서 올해 31%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클라썸이 속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운영 및 관리 시스템 분야는 언어 학습(21%)에 이어 2위(20%)를 차지했으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디지털 교육 플랫폼과 솔루션에 대한 니즈를 여실히 보여주는 방증인 만큼 클라썸은 선도적인 B2B SaaS로서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클라썸은 삼성,
"이커머스에 최적화한 B2B SaaS 역량 강화" 생성 AI 기반 마케팅 소재 자동제작 솔루션 브이캣(VCAT.AI)이 전 크리마 COO를 전략기획본부장으로 영입했다고 25일 밝혔다. 브이캣은 이커머스 B2B SaaS 초기부터 사업 사이클 전반을 경험한 이성철 본부장의 합류로 이커머스 브랜드에 대한 사업 전략을 본격 강화한다. 이성철 본부장은 국내 이커머스 B2B SaaS 사업 시장의 경쟁 심화에도 리뷰관리 솔루션 크리마를 유료 고객사, 연간 거래액 기준 업계 1위로 이끌었던 경험이 있다. 크리마는 이성철 본부장 합류 이후 수년간 투자 없이 자생 구조로 지속 성장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크리마에서 이 본부장은 사업본부장 및 COO를 역임하며 소호부터 브랜드와 대기업까지 시장을 확대하고 산업 카테고리를 확장하는 등 사업 전반을 총괄했다. 이성철 본부장은 브이캣에서 이커머스에 최적화한 B2B SaaS 역량 강화를 위해 사업전략 수립 및 조직 설계 최적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본부장은 "브이캣은 AI를 활용해 광고 소재 제작에서부터 광고 운영 최적화까지 마케팅 전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해 지속해서 진화 중"이라며 "B2B SaaS 생태계에서의 사업 성장 경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전세계적으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시장이 각광받으면서, 국내에서도 많은 스타트업들이 B2B SaaS 서비스를 기반으로 고속 성장하고 있다. 리서치 기관 IDC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SaaS 시장은 2010년, 130억 달러에서 2020년에는 10배 이상 성장한 1570억 달러로 늘어났다. 또한, 다가올 2023년엔 2000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존 B2B SaaS 업계는 AWS, MS, 오라클, SAP, 세일즈포스 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서비스형 인프라(IaaS) 기반으로 시장을 점유해오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IP 보호, 채팅 API, 클라우드 모니터링 등 목적성이 뚜렷한 전문 SaaS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경쟁 구도가 개편되고 있다. 마크비전, AI 기반 IP보호 플랫폼으로 고성장 지속 지난해 8월 정식 서비스를 출시한 마크비전은 현재 25개국 70여개에 달하는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위조상품 적발 및 삭제 신고를 자동화해주는 AI 모니터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마크비전은 ‘랄프로렌코리아’, ‘젠틀몬스터’, ‘레진코믹스’ 등 다수의 국내외 유명 브랜드들을 고객사로 확보하는데 성공했으며, 매출은 지난 6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