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가 공급망 관리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인포코리아 최성만 부장은 21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열린 SCM SUMMIT 2024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한 공급망 최적화'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 공급망 관리에서 디지털 전환, 자동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인포의 최신 솔루션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최성만 부장은 공급망 관리가 직면한 도전 과제를 사람, 프로세스, 기술의 세 가지 핵심 영역으로 제시했다. 인포는 통합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고객사의 독특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핵심 도전 과제에 대응하고 있다. 최 부장에 따르면 인포의 OS 플랫폼은 엔터프라이즈 포탈, 문서 관리, 애플리케이션 통합,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 분석 도구,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공급망 관리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 기업의 전반적인 운영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 부장은 “인포의 솔루션을 통해 공급망 관리의 미래를 선도할 것”이라면서, “인포의 클라우드 기반 WMS 솔루션은 이미 150개 이상의 글
워크데이는 삼성SD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국내 인사 전문가들에게 간소화되고 통합된 HCM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 확장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 확장을 기반으로 워크데이와 삼성SDS는 새로운 시장 기회를 개척하고 양사 고객들에게 한국 시장에 최적화되고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 한 단계 더 발전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국시장 및 고객들에게 최적화된 디지털 HCM 서비스 오퍼링을 제공할 예정이다. 양사의 파트너십에 따라, 워크데이 익스텐드(Workday Extend)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상에서 한국형 HR 애플리케이션들을 추가로 공동 개발 및 공급할 수 있게 하여 복리후생 등 국내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삼성SDS의 페이롤 솔루션인 '넥스프라임(Nexprime) HCM' 및 '워크데이 타임 트래킹' 솔루션들과 통합된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원스톱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 폴 헤니건 워크데이 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 총괄사장은 "삼성SDS와의 파트너십을 확대해 한국 고객에게 국내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HR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게 되어 매우 기쁘
[헬로티] 오라클이 오라클 퓨전 클라우드 HCM(Human Capital Management, 인적자원관리)을 기반으로한 오라클 저니(Oracle Journeys) 신규 플랫폼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오라클 저니 런치패드 기능(출처 : 오라클) 오라클 저니를 통해 기업들은 자사의 직원들에게 모든 종류의 업무 분야의 복잡한 과제들을 탐색할 수 있는 단일 창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기업의 인사관리(HR) 부서는 입사, 출산, 회사 사무실로의 복귀, 신제품 출시, 경력 향상 등과 같이 직원들의 사적인 삶과 업무 영역 전반에서 직원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맞춤형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고, 조율 및 지원함으로써 직원 경험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고 오라클은 밝혔다. 크리스 레온(Chris Leone) 오라클 클라우드 HCM 개발 담당 수석 부사장은 “경력 개발에서 멘토십, 사무실 복귀와 안전한 출장에 이르기까지 커리어 전반을 아우르는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새롭게 출시된 오라클 저니를 통해 HR 부서가 전통적인 업무 방식을 뛰어넘는 향상된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유하고 맞춤화된 직원 경험을 구현할 수
[헬로티] 오라클에 따르면 최근 시장조사업체 IDC가 최신 연구 보고서 ‘마켓스케이프 APEJ 클라우드 데이터 애널리틱스 플랫폼 2020 공급업체 평가: 데이터 세대, 결속을 통한 지능형 기업 형성’에서 오라클을 아태지역 주요 클라우드 데이터 애널리틱스 플랫폼 공급업체 중 ‘리더’(선도기업)로 선정됐다. 이는 점차 활성화되는 고객의 클라우드 데이터 플랫폼 개발을 성공적으로 지원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단일 소스로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클라우드 이전을 가속화하는 오라클의 역량이 높이 평가된 결과다. 이번 보고서는 데이터 관리 서비스 공급 업체가 운영 관리자,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거버넌스 임원 및 전략 담당자를 포함한 ‘데이터 세대(Generation Data)’ 인력의 요구사항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충족하는지 평가했다. 데이터 세대는 데이터 도구, 기술, 플랫폼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적, 지능적, 정서적 투자를 결정하는 기업의 핵심 인력을 지칭한다. 오라클 아태지역 고객 전략, 통찰 및 비즈니스 개발 담당 크리스 첼라이아 수석 부사장은 “오라클 클라우드 데이터 애널리틱스 플랫폼은 온프레미스
[헬로티] 한국오라클이 최근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를 기반으로 기업 고객의 구축형(On-Premise) 기업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전, 전환 운영하는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수의 국내 기업들이 주요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전함으로써 합리적인 비용 정책과 향상된 성능, 보안 및 확장성 개선이라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 국내 중견기업인 서린정보기술, 나무가, 풍신, 휴켐스는 기존에 도입해 사용해오던 오라클의 E-비즈니스 스위트(E-Business Suite)나 JD에드워즈(JD Edwards), 피플소프트(Peoplesoft), 시벨(Siebel) 등의 구축형 ERP, SCM, HCM, CRM을 최근 OCI로 이전했다. 이들 기업은 단순 시스템 시험 및 개발이 아닌 실제로 비즈니스에 필수적인 주요 애플리케이션에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적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오라클 테크 클라우드 솔루션 사업부 강승구 전무는 “오라클은 고객이 기존 온프레미스 애플리케이션을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하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방식의 오라클 퓨전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전하거나, 온프레미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투자를 OCI
[첨단 헬로티] 에밀리 헤(Emily He) 오라클 클라우드 HCM 클라우드 사업부 수석 부사장 여러 비즈니스에서 인공지능(AI)와 머신러닝(ML)의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사용도가 점차 높아지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 일어나고 있다. 기업의 인적관리와 사내 업무에서도 클라우드 기반 HCM(인적 자본 관리) 솔루션이 요구된다. 오라클은 데이터관리 기술과 AI, ML을 바탕으로 보다 개선된 HCM 솔루션을 국내 시장에 공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에밀리 헤(Emily He) 오라클 클라우드 HCM 클라우드 사업부 수석 부사장을 만나 오라클의 HCM 디지털 전환에 대한 시사점과 오라클 HCM 클라우드 솔루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Q. 클라우드가 적용된 오라클의 HCM 솔루션은 무엇이 새로워졌나? 오라클의 HCM 솔루션은 지속적으로 기술이 개선돼 왔다. 기존에는 온프레미스 방식이었다면 이비즈니스스위트(ERP), 피플 소프트(인사시스템), 채용 시스템(팔레오) 등은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전환됐다. 오라클은의 HCM 솔루션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 중점을 두고 AI, 머신러닝, 보이스 어시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