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PLK테크놀로지(이하 PLK)는 올해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CES 2019에 참여해 자율주행 ScF 알고리즘을 선보였다. PLK는 CES 현장 부스에서 자체 개발한 영상인식 알고리즘 기반 최신 제품들을 공개하며 자율주행 카메라 센서 기술에 대해 독보적인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현장 부스에서 선보인 ScF 알고리즘은 PLK가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자율주행 차량에서의 딥러닝 알고리즘 구현을 위해 특별하게 설계됐다. 이 기술은 탁월한 물체 감지 성능을 기반으로 자전거, 차량, 보행자 및 신호등과 같은 다양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PLK는 ScF 알고리즘이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한 차세대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PLK 현장 부스에는 제품과 함께 자율주행 신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체험 장소도 마련됐다. 블랙박스 연동형 ADAS 제품인 ‘옵티언8(OPTIAN 8)’과 DMS(Driver Monitoring System)을 결합한 시뮬레이션 장치를 설치해 부스를 찾은 방문객들이 이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PLK는 시뮬레이션 장치에 앉아 운전할 경우 운전자 앞에 장착된 제품이 실시간 분석과 통신으
[첨단 헬로티] IBM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1월 8일부터 11일까지 열리는 ‘CES 2019’에 참가해, 인공지능(AI), 블록체인, 퀀텀 컴퓨팅 관련 혁신 기술을 발표하고, 이러한 신기술이 비즈니스와 삶에 가져오는 변화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 CES 2019에서 IBM이 인공지능, 퀀텀 컴퓨팅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롭게 발표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인간과 토론하는 AI 플랫폼 출시 IBM은 세계 최초로 인간과 유의미한 토론을 나눌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AI 플랫폼 ‘스피치 바이 크라우드(Speech by Crowd)‘를 이번 CES에서 선보였다. 지난해 6월 처음으로 인간과 토론을 벌였던 AI 모델인 ‘프로젝트 디베이터’의 AI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이번 플랫폼은 찬반 논쟁이 가능한 주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고, 자동으로 설득력 있는 주장을 구성하는 등 실용적인 통찰력을 도출해내는 모델이다. 상용 목적 퀀텀 컴퓨팅 시스템 선보여 IBM은 상용화를 목적으로 한 퀀텀 컴퓨팅 시스템인 ‘IBM Q 시스템 원(IBM Q System One)’을 선보이며,
[첨단 헬로티] GSMA의 리서치·컨설팅 기관인 GSMA 인텔리전스(GSMA Intelligence)가 소비자 동향을 새롭게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초기 데이터를 공개했다. 그리고 GSMA 인텔리전스는 이번 데이터를 바탕으로 ‘CES 2019’에서 새로운 보고서 두 건을 공개했다. 첫 번째 보고서 ‘기기의 미래(The Future of Devices)’는 5G 시대에 접어든 스마트폰의 변용과 글로벌 보급, 스마트 스피커의 보급 확대, 새롭게 등장한 소비자 기기 카테고리에 초점을 맞췄다. 두 번째 보고서 ‘5G의 거대한 기회(5G’s Great Expectations)’는 출시를 앞둔 5G 네트워크와 5G 기기에 대해 소비자들이 예상하는 바를 고찰했다. 피터 자리치(Peter Jarich) GSMA 인텔리전스 대표는 “우리는 실감형 현실과 인공지능(AI)의 진보에 힘입은 새로운 소비자 기기 시대의 출발선상에 있다”며 “스마트 스피커와 같은 제품의 수요를 촉발한 실감형 현실과 AI는 기술업계 선두주자들의 새로운 경쟁무대로 떠올랐다”고
[첨단 헬로티]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및 3D익스피리언스랩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는 다쏘시스템이 1월 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9에 참가하여 가상환경 및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솔루션 및 방법론을 제시했다. 올해 CES에서는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비디오 및 스타트업 라운드테이블 세션들을 통해 데이터 분석, 디자인, 시뮬레이션,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커넥티드, 맞춤화 및 디지털 협업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 어떻게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하는지 시연한다. 이러한 솔루션은 소비자 경험이 우선시되는 변화된 스마트시티 환경을 의미한다. CES 2019의 다쏘시스템 부스에서는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이 구현하는 스마트홈, 모빌리티, 소비자 및 딜리버리 경험을 가진 2030년의 미래도시의 여정을 함께 할 수 있는 사례들을 소개했다. 2030년의 도시에서는 스마트홈 디바이스가 조명, 난방, 음식, 청소, 보안 및 환경 등을 자동으로 예측하고 조성한다. 에어택시는 탑승객들을 새로운 시대의 최첨단 모빌리티로 이끈다. 소비자들은 3D프린터로 자신에게 맞춤화된 신발을 제작하고 전기 스쿠터로 배송을 받는 등 새로운 구매방식
[첨단 헬로티] 커넥티드카 솔루션 분야 토종 강소기업 유브릿지(대표이사 이병주)는 CES 2019 개막일 현지 부스에서 커넥티드카 서비스 ‘oncar’(온카)를 공개하면서, 세계 시장에 ‘oncar’의 최신 버전을 본격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oncar’ 최신 버전은 ‘Google Assistant’ 기반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무선을 모두 지원하여 유선이든 무선이든 어떠한 환경에서도 연결이 가능하다. ▲ CES 2019에서 oncar 시연장면 또한 다양한 차량 내 환경을 고려해서 다양한 비율의 차량 디스플레이를 지원하고 간결하고 직관적이도록 UI를 개선했으며, 안전운전을 돕는 차량 디스플레이 전용 미디어 플레이어인 ‘Trick Play’도 추가했다. 특히 운전 중 스마트폰 및 내비게이션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 하기위해, ‘oncar’는 구글의 AI 음성 비서인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를 지원한다. 이제 ‘oncar’는 한 번의 스티어링 휠 버튼 조
[첨단 헬로티] 보쉬가 라스 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번 CES 2019에서 선보인 제품들은 콘셉트 셔틀 차량, 커넥티드 냉장고, 스마트 잔디깎이 등이다. 보쉬는 콘셉트 셔틀 차량을 통해 차량들의 자동화, 커넥티비티, 전동화를 위한 솔루션들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에게 세계 주요 도시들의 도로에서 곧 보게 될 무인 셔틀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모빌리티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보쉬그룹 마르쿠스 하인(Dr. Markus Heyn) 부회장은 “이는 최대한 배출가스가 없고, 사고가 없고, 스트레스가 없는 모빌리티에 대한 우리의 비전을 설명해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셔틀 기반 모빌리티를 위해 보쉬는 부품과 시스템뿐만 아니라 예약, 공유, 커넥티비티 플랫폼, 주차, 충전 서비스와 같은 모빌리티 서비스의 전체적인 범위를 제공할 것이다. 셔틀 기반 모빌리티를 실행하기 위한 마지막 장애물 중 하나는 복잡한 도시 환경에서 차량들의 자동화이다. 보쉬는 이와 관련하여 파트너십이 해답이라고 믿는다. 올해 하반기에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의 산 호세는 보쉬와 다임러(Dai
[첨단 헬로티] 스마트폰 미러링 솔루션으로 세계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온 국내 커넥티드카 서비스 전문기업 유브릿지(대표이사 이병주)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 시간으로 1월 8일부터 11일까지 개최되는 CES 2019에 독립부스를 마련하고, 음성인식 기능 등 다양한 최신 기능을 추가한 'oncar' 최신 버전과 사용자를 사로잡을 UX를 현지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 유브릿지 ‘oncar'를 사용하는 장면 이미지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자율주행자동차에 집중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oncar’는 치열한 자동차 시장에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커넥티드카 솔루션 또한 충분히 자동차의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제품이다. ‘oncar’는 유브릿지가 자체 개발한 스마트폰 미러링 엔진을 활용해 스마트폰 화면과 소리를 차량 내비게이션에 전달하고 내비게이션에서 스마트폰을 조작할 수 있는 커넥티드카 솔루션이다. 스마트폰 앱의 대부분을 지원하기 때문에 한정된 앱만 지원하는 해외 커넥티드카 솔루션과는 차별점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 르노삼성자동차와 쌍용자동차의 전 차량에 채택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첨단 헬로티] 보쉬가 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9에서 도시화, 인구 증가, 기후 변화를 포함한 오늘 날의 여러 과제들에 대한 기술적인 해답을 제시한다. 기술 및 서비스 공급 기업 보쉬는 미래 모빌리티와 스마트 홈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과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보쉬의 부스는 센트럴 홀(Central Hall) #14020에 위치한다. CES에서 보쉬는 사람들이 통합 서비스를 갖춘 무인 전기 컨셉 셔틀을 통해 새로운 종류의 모빌리티를 경험하기를 기대한다. 주변 환경과 매끄럽게 커넥티드되는 조용한 무인 셔틀과 같은 형태의 모빌리티는 전 세계 주요 도시의 도로에서 곧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보쉬가 CES에서 세계 최초로 통합 서비스를 갖춘 무인 전기 컨셉 셔틀 선보인다. 보쉬는 이를 위해 사용자가 차량을 예약하고 비용을 지불하거나 또는 다른 탑승객과 라이드를 공유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신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컨비니언스 차징의 목표 - 스트레스 없는 전기 주행 보쉬는 이 서비스를 CES 2019에서 아우디 A3 e-트론을 기반으로 한 데모 차량을 통해 선보인다. 이 통합 충전 및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