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문기업 바이브컴퍼니는 13일 서울 한남동 본사에서 생성AI 선도인재양성사업 2025년도 성과공유회를 열고 산학협력을 통해 추진한 2년차 연구성과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은 2027년까지 총 145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이다. 바이브컴퍼니는 2024년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고려대, 서울대, 국민대, 연세대 등과 함께 생성AI 기반 응용 기술과 인재양성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번 성과공유회에서는 바이브컴퍼니의 사업 운영성과, 대학별 연구 성과, 내년도 계획 발표 등이 진행됐다. 고려대학교 연구팀은 멀티모달 모델의 환각 문제를 개선한 Tri-layer Contrastive Decoding 기술을 선보였다. 이 기술은 모델 내부 층별 인식 특성을 조정해 추가 학습 없이도 사실 기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글로벌 벤치마크 POPE, MME, AMBER에서 정확도 최대 10% 향상, 환각률 최대 38% 감소 성과를 기록했다. 또한 자연어처리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EMNLP 2025에 채택되며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서울대학교는 통계정보 검색 및 시각화 기술을,
보통 그림과 글자가 함께 있을 때 사람의 시선이 그림에 먼저 가는 것처럼, 여러 감각을 동시에 활용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도 특정 데이터에 더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KAIST 연구진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그림과 글자를 모두 고르게 인식해 훨씬 더 정확한 예측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멀티모달 인공지능 학습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황의종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한 번에 처리해야 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이 모든 데이터를 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학습 데이터 증강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멀티모달 인공지능은 텍스트, 영상 등 여러 데이터를 동시에 활용해 판단하지만, 기존 AI 모델은 특정 정보(예: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치우쳐 판단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로 인해 예측 정확도가 떨어지고, 실제 환경에서의 일반화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편향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러 서로 어울리지 않는 데이터를 섞어서 학습에 사용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은 특정 데이터에만 의존하지 않고, 글과 그림, 소리 등 모든 정보를 균형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또한 품질이 낮은 데이터는 보완하
더에스엠씨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인공지능연구원과 손잡고 생성형 AI 공동 연구에 나선다. 양 기관은 25일 산학 공동 연구 협약(MOU)을 체결하고, 생성형 AI 기반 기술 개발과 산업 적용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생성형 AI가 콘텐츠 산업을 비롯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빠르게 확산하는 가운데, 학계와 산업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내 디지털 생태계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측은 앞으로 AI 데이터 확보 및 핵심 기술 공동 개발, 인력 및 기술 자원 교류, AI 기반 공동 연구 프로젝트 발굴, 기술 사업화 협력 등 다각적인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더에스엠씨는 구글, 메타, X 등 글로벌 플랫폼의 공식 파트너사로, 생성형 AI를 콘텐츠 제작과 마케팅 자동화에 접목해 차별화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업계 최초로 ‘AI Labs’, ‘AI Studio’와 같은 전문 조직을 운영하며, AI 기술을 실제 콘텐츠 제작 현장에 적용해 왔다. 포항공대 인공지능연구원은 국내 최고 수준의 AI 연구 기관으로 평가받으며, 이론 연구를 넘어 산업 응용과 실증 기반 연구에 강점을 지니고 있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 “투자는 미국 과학의 토대 만들고 경제·기술 리더십 강화해”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가 차세대 슈퍼컴퓨터 ‘다우드나(Doudna)’를 공개했다. 이 슈퍼컴퓨터는 엔비디아의 새로운 베라 루빈(Vera Rubin)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미국 고성능 컴퓨팅(HPC) 분야의 선도적 위치를 강화하기 위한 핵심 투자다. 다우드나는 노벨상 수상자이자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의 선구자인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의 이름을 따 명명됐다.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의 후원 아래 개발된 이 시스템은 과학적 발견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최첨단 연구 도구로 활용될 전망이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CEO는 “지속적인 투자는 미국 과학의 토대이자 경제와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는 힘”이라며 다우드나의 출범 의미를 강조했다. 제니퍼 다우드나 역시 “다우드나의 탄생은 생물학이 중요한 전환기에 접어들고 있다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고 소감을 밝혔다. 다우드나는 기존 슈퍼컴퓨터와 달리 시뮬레이
[헬로티] 미디어젠은 포항공과대학교 인공지능연구원과 ‘AI 데이터 기반 공동연구 및 사업화 협력 추진’ 관련 상호 협력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항공대 인공지능연구원 전경 미디어젠과 포항공대 인공지능연구원은 AI 공동 연구 및 사업화 과정에서 인공지능 데이터 확보와 기술 고도화를 위해 협력해 각 기관이 보유한 기술, 데이터, 인력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원천 기술을 발굴해 인공지능 분야 기술 경쟁력 향상에 주력할 예정이라 전했다. 미디어젠은 음성 및 언어 AI 전문 연구소인 남즈(NAMZ)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음성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면서 인공지능 데이터 확보를 해왔다. AI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콜봇, 인공지능 영어 교육, 공항철도 스마트 음성 발권 서비스 등을 진행하고 있다. 포항공대 인공지능 연구원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 미래 핵심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며 교육과 연구의 융합 시너지 효과를 바탕으로 산업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고훈 미디어젠 대표는 “세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