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제조업 전체 전기대비 0.7% ‘상승세’ 금형 5대 수요산업 ‘하락세’
[첨단 헬로티] 2018년 하반기 국내외 제조업 경기전망 2018년 국내외 제조업이 심상치 않다. 제조업 전체가 전기대비 0.7% 상승했지만 최근 미국발 무역전쟁의 확산과 기준금리 인상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수출이 근간인 우리나라에서 트럼프 관세정책은 제조산업의 성장에 치명적으로 다가 올수가 있다. 철강 관세 덤핑에 이어 EU의 ‘세이프 가드’ 발동까지 전 세계의 수출 길이 막혀가고 있는 이상 우리나라 제조업의 앞날이 어두워 보인다.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은? 2018년 상반기의 국내 경제활동 내역을 보면 향후 하반기까지 포함해도 정부의 목표인 경제성장률 3%는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한국은행의 2018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자료에 따르면 실질 국내 총생산(GDP)는 전기대비 0.7% 성장(전년동기대비 2.9% 성장) 실지 국내총소득(GDI)는 전기대비 0.8% 감소했다. 이 중 제조업은 석탄 및 석유제품, 정밀기기 등을 중심으로 0.7% 성장해 서비스업과 함께 증가세를 간신히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표1 참조). 투자와 소비에서 뚜렷하게 부진한만큼 올해 초까지 기대했던 연 3%성장은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