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은 24일 미국 무역 협상 기대감에 1370원대 중반으로 내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7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5.3원 낮은 1374.5원이다. 환율은 6.1원 내린 1373.7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하고 있다. 달러는 간밤 약세를 나타냈다. 미국과 주요국 간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이 잇따라 전해지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회복됐다.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연합(EU)은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 합의에 근접했다. 지난 12일 미국이 예고한 30%보다 15%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미국은 일본,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과도 무역 협상을 완료했으며 다음 주 중국과도 고위급 무역 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도 경제·통상·외교·안보 분야 핵심 인사들이 미국으로 향하는 등 총력전에 나섰다. 미국이 정한 상호 관세 부과 시점(8월 1일)을 앞두고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2+2 통상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
원/달러 환율은 23일 미국 무역 협상 기대와 외국인 투자자 주식 매수 등 영향으로 8.0원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일보다 8.0원 낮은 1379.8원이다. 환율은 6.7원 내린 1381.1원으로 출발한 뒤 1375.7∼1383.0원에서 등락했다. 달러는 미국 무역 협상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면서 약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50% 내린 97.475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일본과 무역 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미국의 대(對)일본 상호관세는 15%로, 기존에 예고했던 25%보다 10%포인트(p) 낮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59조 원)를 투자할 예정이며 자동차, 트럭, 쌀 등 일부 농산물에서 자국 시장을 개방할 것이라고도 했다.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67% 내린 146.85엔이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9.25원으로,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38.75원보다 0.50원 상승했다. 미국은
원/달러 환율은 23일 미국 무역 협상 기대에 장 초반 큰 폭 하락하며 1370원대로 내려갔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27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9.2원 낮은 1378.6원이다. 환율은 6.7원 내린 1381.1원으로 출발한 뒤 장 초반 1370원대 후반까지 내렸다. 달러는 미국 무역 협상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면서 약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57% 내린 97.41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일본과 무역 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미국의 대(對)일본 상호관세는 15%로, 기존에 예고했던 25%보다 10%포인트(p) 낮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59조 원)를 투자할 예정이며 자동차, 트럭, 쌀 등 일부 농산물에서 자국 시장을 개방할 것이라고도 했다. 같은 시각 엔/달러 환율은 1.02% 내린 146.324엔이다.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2.31원으로,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38.75원보다 3.56원 상승했다. 미국은 오는
원/달러 환율은 22일 외국인 투자자 주식 매도 등에 낙폭을 줄였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0.4원 하락한 1387.8원이다. 환율은 달러 약세와 엔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5.2원 내린 1383.0원으로 출발한 뒤 외국인 주식 순매도 흐름에 연동해 점차 낙폭을 줄였다. 오후에는 1389.2원까지 오르며 1390원에 다가서기도 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보다 40.87포인트(1.27%) 내린 3169.94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1607억 원을 순매도했다. 시장에는 오는 8월 1일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경계감도 여전하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2+2 통상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34% 내린 97.966이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8.75원으로,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37.94원보다 0.81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10% 내린 147.833엔이다. 헬로티
원/달러 환율은 22일 엔화 강세와 위험 선호 심리 회복에 장 초반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22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9원 낮은 1385.3원이다. 환율은 5.2원 내린 1383.0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하고 있다. 달러는 간밤 위험선호 회복 등에 힘입어 약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38% 내린 97.935다.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의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낙관론이 부상하면서 2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S&P500 지수는 전장보다 8.81포인트(0.14%) 오른 6305.6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78.51포인트(0.38%) 오른 20,974.17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참의원 선거 참패에도 총리직을 유지할 의사를 밝힌 점은 엔화 가치 상승으로 이어졌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8.27원으로,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3
원/달러 환율은 21일 달러 약세에 장 초반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24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6원 낮은 1390.4원이다.환율은 0.9원 내린 1392.1원으로 출발한 뒤 1390원대 초반에서 거래되고 있다.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가 7월 정책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거듭 발언하면서 달러는 약세 압력을 받았다. 월러 이사는 지난주 언론 인터뷰와 공개 행사에서 “금리 인하를 미룰 만한 실질적인 이유가 없다”며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인하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7월 인하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7월에 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95.3%로 반영하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18% 내린 98.373이다. 일본 금융시장이 이날 ‘해양의 날’을 맞아 휴장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일본 참의원 선거 이후 엔화 움직임을 주시하는 분위기다. 일본 여당이 지난 20일 치러진 참의
원/달러 환율은 18일 미국 경기 지표 호조로 소폭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0.4원 오른 1393.0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전날보다 2.0원 내린 1390.6원으로 오후 2시께 상승세로 전환해 1394.5원까지 올랐다. 간밤 미국 상무부는 미국의 6월 소매판매가 7201억 달러로 전월보다 0.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전망치인 0.2%를 웃도는 수치였다. 미국의 소매판매는 4월(-0.2%)과 5월(-0.9%) 연달아 감소했다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진 점은 환율 상승 폭을 제한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는 “7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1% 내린 98.526 수준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6.38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36.39원보다 0.02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17엔 오른 148.76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7일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해임 논란 속에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6.9원 오른 1392.6원으로 집계됐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5월 19일(1397.8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2.3원 오른 1388.0원으로 출발한 뒤 오전 9시40분께 1390원을 넘어섰다. 마감 전 1392.9원까지 올랐다. 간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언론 인터뷰 등에서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가는 파월 의장을 겨냥해 “사임하면 좋겠다”고 거듭 압박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그를 해임할 경우 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며 “해임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라고도 했다. 기준금리 조기 인하 기대가 다소 약해지면서 달러는 강세를 보였다.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52% 오른 98.780을 기록 중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6.39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931.59원)보다 4.8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92엔 오른 148.77엔이다. 헬로티
원/달러 환율은 18일 미국 기준금리 금하 기대에 장 초반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5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2.5원 내린 1390.1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2.0원 내린 1390.6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하고 있다. 간밤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가 “7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힌 점이 금리 인하 기대를 높였다. 다만, 미국 경기 지표 호조는 환율 하락 폭을 제한하는 변수로 거론된다. 미국 상무부는 미국의 6월 소매판매가 7천201억달러로 전월보다 0.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전망치인 0.2%를 웃도는 수치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7% 내린 98.471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6.98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36.39원보다 0.59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25엔 내린 148.34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7일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해임 논란 속에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5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3.2원 오른 1388.9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2.3원 오른 1388.0원으로 출발한 뒤 1390원에 바짝 다가갔다. 간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언론 인터뷰 등에서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가는 파월 의장을 겨냥해 “사임하면 좋겠다”고 거듭 압박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그를 해임할 경우 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며 “해임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라고도 했다. 기준금리 조기 인하 기대가 다소 약해지면서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 오른 98.366을 기록 중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8.08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931.59원)보다 6.49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02엔 오른 147.87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6일 미국 정책금리 인하 기대 약화 등 영향으로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5.5원 오른 1385.7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5.3원 상승한 1385.5원으로 출발한 뒤 1384.9∼1389.5원에서 등락했다. 달러는 간밤 강세였다. 미국 관세정책이 물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한 영향이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지난 2월(2.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미 양국이 오는 8월 1일 25% 상호관세 부과 예고 시한을 앞두고 협의를 이어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관세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이달 말부터 외국산 의약품에 품목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반도체도 비슷한 일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49% 오른 98.481을 기록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후 금리인하 기대가 약해지며 원/달러 환율은 16일 장 초반 1380원대 후반으로 올라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1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7.6원 오른 1387.8원이다. 환율은 간밤 달러 강세를 반영해 5.3원 상승한 1385.5원으로 출발했다. 미국 관세정책이 물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지난 2월(2.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 물가 상승세 확대에도 불구하고 연준에 정책금리 인하를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소비자 물가는 낮다. 당장 연준 금리를 내려라”라고 주장했다. 그는 곧이어 다른 게시물에서 “연준은 금리를 3%포인트 내려야 한다”며 “연간 1조 달러(약 1385조 원)가 절약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61% 오른 98.592
원/달러 환율은 15일 외국인 투자자 주식 매수 등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주간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1.0원 내린 1380.2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1.3원 오른 1382.5원으로 출발한 뒤 오전 10시33분께 1386.2원까지 상승했다. 이후 하락세로 전환해 오후 3시5분께 1379.9원까지 떨어졌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2120억 원 순매수를 기록했다. 코스피는 0.41% 오른 3215.28로 3200대에 안착했다. 달러도 오후 들어 약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9% 내린 97.995 수준이다. 시장 관심은 이날 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하는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쏠려 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4.56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37.33원보다 2.77원 하락한 수준이다. 엔/달러 환율은 0.01엔 오른 147.71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5일 미국 물가지표 발표를 앞두고 소폭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5분 현재 전날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1.5원 오른 1382.7원이다. 환율은 1.3원 오른 1382.5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했다. 미국 노동부는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이날 밤 발표한다. 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오면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일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점도 시장의 관전 포인트 중 하나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1% 내린 98.080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6.10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37.33원보다 1.23원 하락한 수준이다. 엔/달러 환율은 0.07엔 오른 147.79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미국 상호관세 압박 강화로 환율이 소폭 상승하고 있다. 1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5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1.3원 오른 1376.7원이다. 환율은 2.6원 오른 1378.0원으로 출발한 뒤 상승폭이 다소 줄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각 30%의 상호관세를 8월 1일부터 부과한다고 밝혔다. 애초 EU에 20%의 상호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했으나 10%포인트 높였다. 이어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13일 방송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충분히 좋은 합의를 갖지 못하면 관세를 진짜로 부과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0.03% 오른 97.877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5.61원으로 전 거래일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36.51원보다 0.9원 상승한 수준이다. 엔/달러 환율은 0.28엔 하락한 147.14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