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은 26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에 따른 달러 약세 등으로 장 초반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5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8.7 하락한 1463.7원이다. 환율은 7.4원 내린 1465.0원으로 출발한 뒤 낙폭이 더 커졌다. 간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종전 기대가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로 이어지면서 달러가 약세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연설에서 “나는 우리가 종전안 합의에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5거래일 만에 100선 아래로 하락했다. 현재는 전날보다 0.01% 내린 99.832 수준이다. 외환당국이 시장 안정 의지를 거듭 분명히 하는 점도 환율 하락 요인으로 꼽힌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열어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메시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7.41원이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39.36원보다 1.95엔 하락했다. 엔/달러 환율은 0.15엔 오른 156.2엔이다.
원/달러 환율은 25일 미국 금리 인하 기대와 당국 개입 경계감 속에 1470원대 초반으로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일보다 4.7원 내린 1472.4원이다. 환율은 1.9원 낮은 1475.2원으로 출발한 뒤 1470.6∼1477.0원에서 등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기대가 확산한 가운데 위험선호 심리가 일부 회복됐다. 코스피는 전일보다 11.72포인트(0.30%) 오른 3857.78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1160억 원을 순매수했다. 외환당국이 거듭 환율 안정 의지를 밝히고 있는 점도 환율 하락 요인이다. 기획재정부는 전날 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 과정에서의 외환시장 영향 등을 점검하기 위한 4자 협의체를 구성했다면서 첫 회의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06% 오른 100.204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9.36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43.08원보다 3.72원 하락했다. 엔/달러
원/달러 환율은 25일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확산하면서 장 초반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2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1.4원 내린 1475.7원이다. 환율은 1.9원 낮은 1475.2원으로 출발한 뒤 장 초반 1470원대 중반에서 등락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달러에 약세 압력으로 작용하고, 위험선호 심리도 되살아났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24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우리의 이중책무(물가안정과 완전고용)와 관련해 나의 우려는 주로 노동시장”이라면서 “나는 다음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연준이 오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할 확률을 80.9%로 반영하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00.196 수준으로 전일보다 0.05% 높다. 달러인덱스는 지난주 100.3을 넘어서기도 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0.78원이다. 전일 오후 3
원/달러 환율은 21일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주식 매도세에 1470원대 중반으로 마감하며 7개월여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7.7원 오른 1475.6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4.5원 오른 1472.4원으로 출발했다가 오후 1시15분께 1469.2원까지 상승 폭이 축소됐다. 그러나 마감 직전 기울기가 가팔라지며 지난 13일 장중 고가(1475.4원)를 넘어 1476.0원을 터치했다. 장중 최고가와 종가 기준 모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이슈가 불거졌던 지난 4월 9일(장중 1487.6원·종가 1484.1원)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조8210억 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코스피는 전날보다 151.59포인트(3.79%) 하락한 3853.26으로 마감했다. 인공지능(AI) 거품론과 고평가 우려가 재점화되며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매가 벌어진 점이 국내 금융시장에 악재로 작용했다. 간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84%,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56%, 나스닥 지수는 2.15% 각각 하락
원/달러 환율은 21일 위험 회피 심리가 확산하며 장 초반 1470원 선을 넘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4.0원 오른 1471.9원이다. 환율은 4.5원 오른 1472.4원으로 출발한 뒤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개장 직후 1474.1원까지 올랐다. 시초가 기준으로 지난 4월 9일(1484.0원) 이후 7개월여 만에 가장 높았다. 인공지능(AI) 거품론과 고평가 우려가 재점화되며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매가 벌어진 점이 환율을 끌어올린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간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84%,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56%, 나스닥 지수는 2.15% 각각 하락했다. 특히 AI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5% 넘게 상승했다가 3.15% 하락 마감하는 등 큰 변동성을 보였다. 미국의 9월 고용보고서는 12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높이지 못했다. 9월 비농업 일자리가 11만9천명 증가해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으나, 실업률도 4.4%로 상승했다. 달러는 강세를, 엔화는 약세를 지속 중인 점도 환율 상승 압력을 가중
원/달러 환율은 20일 미국 기준금리 동결 전망과 일본 엔화 약세에 1470원 가까이로 올랐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2.3원 오른 1467.9원이다. 환율은 1.8원 오른 1467.4원으로 출발한 뒤 오후 2시16분께 1470.1원까지 뛰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갈수록 낮아지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인 점이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간밤 공개된 10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은 “많은 참석자가 연내 금리 동결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 선물시장에서는 12월 금리 동결 확률을 70.4%로 반영하고 있다. 이에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거래일 만에 다시 100선을 훌쩍 넘어 100.277을 기록 중이다. 인공지능(AI)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이날 새벽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발표하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확산한 점은 환율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6420억 원 순매수를 기록했다. 엔화는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20일 미국 기준금리 동결 전망이 높아지면서 장 초반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1.2원 오른 1466.8원이다. 환율은 1.8원 오른 1467.4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하고 있다. 이날 새벽 인공지능(AI)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발표한 영향으로 국내 증시가 급등하고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됐다. 다만,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갈수록 낮아지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인 점이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간밤 공개된 10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은 “많은 참석자가 연내 금리 동결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이에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지난 6일 이후 처음 100선을 넘어 100.120을 기록 중이다. 일본 엔화는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5.05원이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943.45원)보다 8.4원 하락했다. 엔/달러 환율은 0.22엔 내린 156.93엔이다. 장중 157엔을 넘어 지난 1
원/달러 환율은 19일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순매도에 소폭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0.3원 오른 1465.6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4.3원 내린 1461.0원으로 출발한 뒤 상승세로 전환해 오후 1시37분께 1468.0원까지 올랐다. 오후 2시30분께 하락세로 돌아섰으나 장 마감 직전 다시 상승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가 1조500억원 순매도를 기록한 점이 환율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오는 20일 발표되는 미국 9월 고용보고서와 엔비디아 3분기 실적 등에 시장 관심이 쏠린 상황이다. 간밤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12∼18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3만2000건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연방정부 셧다운 기간에도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6% 내린 99.524를 기록 중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3.45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4.87원보다 1.42원 하락했다. 엔/달러 환율은 0.13엔 내린 155.35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9일 미국 고용지표 등을 주시하며 장 초반 하락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2.3원 하락한 1463.0원이다. 환율은 4.3원 내린 1461.0원으로 출발한 뒤 낙폭이 다소 줄었다. 간밤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12∼18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3만2000건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연방정부 셧다운 기간에도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됐다. 미국 노동부는 9월 고용보고서를 오는 20일 발표할 예정이다. 인공지능(AI) 주식 고평가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20일 발표되는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에도 시장 관심이 쏠린 상황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과 비슷한 99.580을 기록 중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1.24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4.87원보다 3.63원 하락했다. 엔/달러 환율은 0.03엔 내린 155.45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8일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순매도에 다시 1460원대로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7.3원 오른 1465.3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5.0원 오른 1463.0원으로 출발한 뒤 상승 폭을 확대했다. 오전 10시13분께 1467.5원까지 치솟았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5480억 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코스피는 전날보다 135.63포인트(3.32%) 내린 3953.62로 마감해 4000선 아래로 밀렸다. 오는 19일 엔비디아 3분기 실적과 미국의 9월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시장 참여자들의 경계심이 높아진 상황이다. 12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낮아지면서 달러는 강세 흐름을 지속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9.457을 기록 중이다. 엔화는 약세를 보였다.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4.87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2.26원보다 2.61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18엔 하락한 155.01엔이다. 장중 한때 155.379엔까지 올라 지난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헬로티 이창
원/달러 환율은 18일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전망에 따른 달러 강세 등의 영향으로 장 초반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6.6원 오른 1464.6원이다. 환율은 5.0원 오른 1463.0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하고 있다. 간밤 미국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1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0.92%, 나스닥 종합지수는 0.84% 각각 하락했다. 오는 19일 엔비디아 3분기 실적과 미국의 9월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시장 참여자들의 경계심이 높아진 상황이다. 12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낮아지면서 달러는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3% 오른 99.574를 기록 중이다. 일본 엔화는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의 회담을 앞두고 뚜렷한 약세를 보였다.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3.54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2.26원보다 1.28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16엔 오른 155.35엔이다. 헬로
그린광학이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인 17일 공모가의 1.4배 수준에서 장을 마쳤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그린광학은 공모가 1만6000원 대비 42.81% 오른 2만2850원에 거래를 종료했다. 시초가는 5만4000원이며 개장 직후 공모가 대비 243.75% 높은 5만5000원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전 9시 14분께엔 3만원선까지 내려와 횡보하기 시작했고, 오후 들어 상승폭이 더 줄어드는 흐름이 나타났다. 그린광학은 사진 장비 및 광학기기 제조업체로, 초정밀 광학 시스템과 광학 소재가 주요 제품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317억3천200만원, 영업이익은 1억9천500만원이었다. 상장 주관사는 신영증권[001720]이다. 한편 이날 장 초반에는 신영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서 문제가 발생, 거래가 일시적으로 멈추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대형 포털 종목토론방 등에는 전산 문제로 시초가(5만4000원)에 매도하지 못한 채 그린광학 주가가 내리는 걸 바라보기만 했다며 분통을 터뜨리는 공모주 투자자들의 글이 올라왔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내부 전산시스템이 아닌 클라우드 네트워크상 문제로 드러나 통신사 측과 원인을 확인 중"이라면서 "투자자 불편
원/달러 환율은 17일 장 초반 달러 강세 등의 영향으로 소폭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1.2원 오른 1458.2원이다.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6.0원 내린 1451.0원으로 개장한 뒤 상승세로 전환됐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전망에 달러가 강세를 보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08% 오른 99.357을 기록 중이다. 다만, 외환 당국 개입에 대한 경계로 환율 상승 폭은 제한되는 분위기다. 앞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4일 “외환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이라며 “가용수단을 적극 활용해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12일 “환율 변동성을 주시하고 있으며, 과도하게 움직일 때는 개입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3.58원으로, 전 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42.80원보다 0.78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03엔 내린 154.52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4일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성 발언과 한미 관세 협상 결과물인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거래일보다 10.7원 내린 1457.0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4.2원 오른 1471.9원에서 출발해 1474.9원으로 뛰어오르며 전날 고점(1475.4원)을 위협했다. 하지만 이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환율 안정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구두개입성 발언을 하자 곧바로 1450원대 중반까지 수직낙하했다. 이후 공개된 한미 팩트시트에 ‘외환시장 안정’ 항목이 별도로 담겼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환율은 1452.0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날 장중 변동폭은 22.9원으로 지난 5월 2일 34.7원 이후 가장 컸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2조3473억 원이나 순매도했는데도 환율 하락세는 유지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거래일보다 0.38% 내린 99.176을 나타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2.8원이었다. 전거래일 오
원/달러 환율이 이틀 연속 1475원을 찍는 등 강한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외환당국이 구두개입에 나서자 1450원대로 급락했다. 1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25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5.5원 내린 1462.2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4.2원 오른 1471.9원에서 출발해 10분 만에 1474.9원으로 치솟았다. 그러다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이 이날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환율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 우려를 표명한다. 환율 안정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시장 개입성 발언을 하자 1456.4원까지 떨어졌다. 이날 장 초반 환율 상승은 미국 뉴욕 증시 급락에 위험 회피 심리가 확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간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각각 1.65%와 1.66% 떨어졌고 나스닥종합지수는 2.29% 하락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업무정지) 종료에도 불구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2월 금리인하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에 기술주를 중심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전날 국내 유가증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