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체인모터가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2차전지용 기어모터, 체인을 선보인다. 3월 15일부터 18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3은 국내 최대 규모, 유일의 배터리 전문 전시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며, 한국전지산업협회·코엑스·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주관한다. 모바일 등 소형 시장부터 에너지 저장 장치, 전기차 중대형 시장까지 배터리 관련 신제품 및 최신 기술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한국체인모터는 이번 전시회에서 2차전지 장비 제조기기, 검사·측정 장비 분야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닛세이 F3 중공축 기어 모터’와 ‘모토바리오 고효율 핼리컬베벨(B) 기어모터’를 선보인다. 닛세이 코어 기술 ‘하이포이드 기어 기술’이 적용된 닛세이 GTR 기어모터는 자체 어니언 전착 도장 설비를 이용해 산, 알칼리, 부식, 습기 등 가혹 환경에서 강하다. 현재 검증된 우수한 내구성을 앞세워 2차전지 장비 제조업체 및 도금업체는 물론 화학 공장, 식품업체, 포장 가공업체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모토바리오 헬리컬베벨 기어모터는 고효율 헬리컬베벨 기어 방식이 적용돼 1/5.7~1/187.42의 감속 비율을 보인다. 최대 용량은 90kW이며
이구스가 오는 2023년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SF+AW 2023)’에 참가한다. 이구스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계자동화 부품을 생산하는 다국적 기업이다. 고성능 폴리머 소재에 대한 독자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베어링, 체인, 케이블 등 매년 100가지 이상의 신제품 출시와 제품 확장을 진행하고 있다. 이구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지능형 로봇 레벨(ReBeL)을 소개한다. 이 제품은 스마트 센서가 통합돼 회전 수, 사이클, 마모율 등의 주요 지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기치 못한 다운타임이나 시스템 장애를 제거하는 예방적 유지보수 구현을 가능하게 해준다. 에너지 체인으로는 2021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 E4Q 시리즈를 선보인다. 신제품 E4Q 체인은 12년간 베스트 셀러를 굳건히 지켜온 E4.1의 설계 기술에 특수 개방 메커니즘을 결합해 조립 시간을 40%나 감소시킨 것이 특징이다. 여러 층으로 구성할 수 있는 모듈형 가로 분리대와 저소음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소음 댐퍼 옵션 등 새롭게 추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세창인터내쇼날이 한국산업대전에서 체인컨베이어시스템을 선보였다. 세창인터내쇼날의 체인컨베이어는 무거운 하중의 작업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중 또는 다중라인이 구축됐다. 극한의 작업 환경에서도 이상적으로 작동하며, 역방향·정체 및 주기모드에서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적합한 작업이송, 리프트 및 트랜스퍼모듈, 스토퍼, 위치설정장치, 회전장치 및 제어구성이 가능하며, 프레임의 프로파일은 가이드·센서·기타 액세서리의 연결을 위한 유연합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세창인터내쇼날이 선보인 초고중량용 체인 컨베어 SC3는 최대 허용 중량이 2000KG까지 가능하다. 이 체인 컨페어의 특징은 대형제품 조립/검사라인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무거운 자동차엔진, 미션, 선루프라인 등에 사용된다. 세창인터내쇼날은 기존 제조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공압식 컨베이어 시스템과 전기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도 선보였다. 전기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기존의 공압식보다 초기 구축비용은 더 들지만 인건비나 유지보수에 탁월하다. 스마트공장 구현과 소음·분진 발생의 방지, 투자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제품이다. 최대 하중 1.2t까지 가능하며 자동차 업계 등에
[헬로티] 산업 자동화 및 정보 솔루션 기업 로크웰오토메이션은 새로운 iTRAK 5730 소형 프레임 인텔리전트 트랙 시스템을 발표했다. 식음료 제조사들은 지속적으로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다양한 제품을 더욱 많은 종류의 패키징으로 포장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는데, 이 제품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동시에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스마트하고 유연하며 효율적인 기계를 지원하기 위해 독립 카트 기술을 사용한다. ▲ 로크웰오토메이션 iTRAK 5730 독립 카트 기술은 뛰어난 기계 유연성, 보다 나은 추적성 및 향상된 가동 시간 등 전통적인 기어, 체인 및 벨트 컨베이어 대비,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카트는 자가 구동을 이용하여 높은 정밀도로 빠르게 시동 및 정지할 수 있어, 기계 마모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이 기술은 또한 HMI에서 버튼을 눌러 구현할 수 있는 사전 구성된 동작 프로필을 사용, 신속하게 변화를 관리한다. iTRAK 5730 시스템은 로크웰오토메이션의 독립 카트 포트폴리오 내에서 가장 작은 설치공간을 차지한다. 최소 50mm의 피치로 플로우 래핑, 엔드 로드 카트닝, FFS 파우칭(form-fill-and-s
[첨단 헬로티] 세계적인 규모의 플라스틱 베어링, 체인 및 케이블 제조기업인 독일 이구스의 한국 지사가 송도에 새로이 둥지 틀어 ㈜한국이구스(대표 김종언)는 송도 지식정보 산업단지내 9498㎡ 규모 대지 신사옥 입주와 관련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과 독일 이구스 본사의 Artur Peplinski 부사장 공동주관으로 미화 1.3천만불 규모의 외국인 직접 투자 조인식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독일 쾰른에 위치한 히든챔피언 igus GmbH의 한국 지사인 한국이구스는 이구스 그룹의 아시아 허브로의 성장을 목표로 이번 사옥 이전을 계획했다. 2001년 국내 지사를 세운 한국이구스는 창립 17년이 지난 현재, 임직원 수 20배, 매출 150배 이상의 규모로 성장했다. 이에 따라 국내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공장의 건립은 물론, 앞으로 우수 인력을 유치하고 육성하기 위해 송도 신사옥 이전을 결정했다. 한국이구스가 새롭게 둥지를 틀 송도 신사옥은 연면적 6941.97㎡로, 사무동 3층과 공장 2층 규모의 신축 건물이다. 이를 통해 국내 현지 생산이 가능해짐은 물론, R&D센터를 신축해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로봇 자동화 기술 및 스마트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한국이구스는 최근 로봇 공학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콤팩트한 ‘Triflex TRCF 에너지체인’, ‘Triflex RSE 회수 시스템’ 그리고 온라인 로봇 설계 도구 ‘퀵 로봇’이 대표적인 제품이다. ▲ 최대 500mm 확장 가능한 로봇용 RSE 회수 시스템 Triflex TRCF 3D 밀폐형 체인 Triflex TRCF 에너지체인은 3D 모션이 가능한 밀폐형 체인으로 먼지, 칩과 같은 이물질 방어에 적합한 제품이다. 이 로봇용 체인은 플립오픈(flip-open) 메커니즘을 이용해 수동 조작(누르고 젖힘) 또는 스크류 드라이버(홈에 대고 들어 올림)로 개폐 작업이 간편하다. 공칭 직경 85mm로 커다란 직경의 케이블 및 호스의 충진 또한 용이하며 뒤틀림에서도 뛰어난 안정성을 보여준다. 자유로운 길이 조절과 마운팅 브래킷, 보호장치 등의 다양한 액세서리 장착으로 자신의 사양에 꼭 맞는 로봇 솔루션 구현이 가능하다. ▲ 개별 사양 설정 및 조립이 가능한 이구스의 로봇 산업용 제품 Triflex RSE 회수 시스템 이구스의 2014 신제품 Triflex RSE 회수 시스템은 케이블 베어를 포함한 전체 중량이 단 1.8kg 밖에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