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피블·마인드AI·팅스나인·실크로드 등 블록체인 업체,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2019년도 블록체인 공공시범사업 예산은 올해 대비 2배로 증액된다. 2019년에는 12개의 부처에서 85억원의 예산을 들여 시범사업도 진행될 예정이다. 지난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주최 ‘블록체인 사업 통합설명회’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블록체인확산팀 팀장은 공공선도 시범사업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해 11월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400여곳을 대상으로 사전 과제 수요조사를 진행, 국민 체감 편익이 높은 12개 과제를 선정했다. 해당 과제에 블록체인 기술을 우선 도입, 공공 서비스를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KISA는 12개로 늘어난 시범사업을 총괄한다. 이렇듯 블록체인 관련 정부차원의 다양한 시범 사업이 추진됨과 동시에, 블록체인 업계에서도 ‘소셜미디어, AI, 결제, 패션’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어 관심을 끈다. ▲피블 서비스 화면 이미지 피블, 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2019년 1분기
우즈베키스탄 국영에너지절약공사(NESC)와 합리적인 에너지소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지난 9월 11일,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직무대행 이상홍, 이하 공단)은 우즈베키스탄 국영에너지절약공사(National Energy-Saving Company, 이하 NESC)와 우즈베키스탄의 에너지효율향상 및 재생에너지 보급, 기후변화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즈베키스탄을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한국의 우수한 에너지효율·절약 기술을 우즈베키스탄 실정에 맞게 설계할 수 있도록 공단이 보유한 정보를 전수하고, 공동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를 마련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NESC는 이번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공단으로부터 건물에너지효율화 정책 및 에너지절약전문기업제도(ESCO)에 대한 경험을 전수받고, 공단은 국내 유관기관 및 기업과 공동으로 우즈베키스탄 현지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건물에너지효율화 사업 해외진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공단은 우즈베키스탄의 기후변화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2008년부터 우즈베키스탄 경제부(Ministry of Economy)에 공단의 에너지정책 노하우를 전수하는 &lsq
▲ 홍은택 카카오 수석부사장(좌)과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우) [사진=농림축산식품부] [헬로티] 농림축산식품부는 IT연계 농식품 유통경로 활성화 및 고부가가치 실현을 위해 카카오와 ‘IT기반 농업․농촌 비즈니스 확대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정보통신(IT) 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카카오의 다양한 온라인 및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하여 농업계는 판로를 확대하고 국민들에게는 농식품 콘텐츠를 보다 쉽게 알리기 위해 추진됐다. 체결된 협약은 ▲ 온라인 로컬푸드 직거래 운영모델 구축 ▲ 카카오 역량을 활용한 농식품 판로확대 지원 및 홍보 ▲ 기타 IT기반 농업․농촌 관련 비즈니스 확대를 위한 협력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농식품부와 카카오는 이번 상생협력 협약을 통해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우수 농산물과 중소기업 농식품 등에 대한 다양한 판로확대 지원에 노력할 계획이다. 특히, 카카오파머·카카오톡 및 다음앱 등을 통한 농식품 소비 공동마케팅에 협력할 예정이며, 그 첫걸음으로 쌀 소비 활성화를 위한 공동캠페인을 연내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온라인 로컬푸드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