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링크는 파일러니어와 AI(인공지능) 기반의 전기차 충전 빅데이터 분석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전기차 충전 빅데이터의 정밀 진단 및 AI 분석 역량을 집결해 충전기 고장 진단과 더불어 주거지 전기차 충전 환경의 화재 예방까지 보다 실질적인 전기차 충전 문제 해결을 이행하는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 양사는 이미 올해 1월부터 플러그링크의 주거지 기반 공간 맞춤형 전기차 충전소 플러그라운드 내에 AIoT 기반 스마트미터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전기차 충전 빅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등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분전반 내부에 설치된 스마트미터를 통해 전력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충전소 안전 상태 점검 알고리즘을 고도화 중에 있다. 파일러니어는 온디바이스 AI 기반 스마트미터를 통해 전력망 모니터링 및 전력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양사 협력을 통해 파일러니어는 플러그링크 충전소의 전력 데이터 모니터링에 힘을 보태고 전력 사용 안전과 효율을 증대시키는 솔루션 개발 확대에 나선다. 강인철 플러그링크 대표는 “플러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는 오늘 새로운 SimpleLink 와이파이 6 컴패니언 집적 회로(IC) 제품군을 소개했다. 이 제품군은 고밀도 또는 최대 105ºC의 고온 등 혹독한 환경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효율적으로 와이파이 연결을 구현하도록 지원한다. 새로운 CC33xx 제품군에 추가되는 첫 제품들은 와이파이 6 전용 또는 단일 IC에서 와이파이 6와 Bluetooth LE 5.3을 연결해주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CC33xx 디바이스를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또는 프로세서에 연결하면 그리드, 의료 및 빌딩 자동화 등 광범위한 산업용 시장에 걸쳐 신뢰하는 무선 주파수(RF) 성능과 더불어 안전한 IoT 연결을 구현한다. 케빈 로빈슨(Kevin Robinson)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CEO는 "와이파이 6 및 와이파이 6E의 채택은 빠른 속도로 가속화하며, 2023년엔 전 세계적으로 25억 여대의 와이파이 6 디바이스가 출하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오늘날 와이파이는 다양한 산업용 IoT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될 수 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와 같은 기업이 혁신을 통해 전기차 충전 시스템, 스마트 미터 및 스마트 가전제품 등 와이파이
[첨단 헬로티] 1. 들어가며 우리나라는 에너지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면서도 에너지 다소비 산업 비중이 큰 국가에 속한다. 에너지 낭비가 심하다는 뜻이다. 이러한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낮은 에너지 요금정책이 유지되어 1990년 이후 10% 내외 높은 에너지 소비 증가세를 보인다. 에너지 소비 증가는 무분별한 에너지 소비 외에 이처럼 비효율적인 에너지 소비구조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무역수지 적자와 산업 경쟁력 약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물론 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정부는 에너지 절약 유도를 위해 석유, 도시가스, LPG 가격 및 전기요금을 국제수준(OECD 비산유국 평균)으로 조정해 나가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즉, 국제 에너지 가격, 비교 대상이 되는 주요 국가의 가격, 장기적인 한계비용과 국내의 물가 트렌드를 감안해 연도별로 목표 에너지 가격을 설정해 운영하는 에너지 가격 예시제를 시행하며, 이에 따른 세수 증가분을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세액 공제율을 상향 조정하는 등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도 확대하며, 에너지데이터 분석을 통
[첨단 헬로티] 일본의 전력 회사는 항상 전력 공급 신뢰도와 전력 품질 유지, 향상에 노력해 왔다. 예를 들면 태풍이나 번개 등의 자연 재해가 발생한 경우, 혹은 설비의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공급 지장의 방지와 정전 시간의 단축을 도모해 왔다. 지금까지 오랜 세월에 걸쳐 다양한 연구가 전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 전력 설비, 그리고 운용 노하우에 축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금까지와 같은 자연 재해나 설비 고장 외에 사이버 시큐리티 면의 위협에 대해서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됐다. 또한, 저압의 수요 가옥 한 채 한 채가 통신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스마트미터 시스템도 새롭게 등장하게 됐다. 이러한 것들로 인해 전력 제어 시스템과 스마트미터 시스템의 시큐리티에 대해 일본 정부도 시큐리티 가이드라인과 그것에 관계된 법 제도를 정비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전력 제어 시스템 시큐리티 대책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전력 분야의 시큐리티 대책 예로서 도쿄전력파워그리드(도쿄전력PG)의 대응을 소개한다. 전력 제어 시스템의 시큐리티 대책 1. IT 시스템과의 시큐리티 대책의 차이 IT 시스템 분야에서는 시큐리티 대책 방법과 그 지식이 착실하게 침투하고
[첨단 헬로티] 지난 10여 년에 걸쳐 전자식 전기 계량기 또는 e미터가 기존의 전기 기계식 계량기를 대체해 오고 있다. 이러한 전환으로 정확도와 기능은 향상되고 비용과 크기는 감소됐으며 더 스마트한 전력망이 구현되고 있다. [그림 1a]에서 보듯이 전기 기계식 계량기는 회전 디스크와 게이지에 의해 판별되는 반면, 그림 1b의 e미터는 LCD를 통해 판독할 수 있다. [그림 1] 전기 기계식 계량기(a)와 e미터(b) 두 종류의 계량기는 모두 유효 전력량을 측정하지만, e미터는 전기 기계식 계량기가 계산할 수 없는 전압, 전류, 전력, 무효 전력량, 주파수, 역률 및 위상각과 같은 다른 중요한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전력 품질, 정전, 로드 밸런싱 및 탬퍼링을 나타내므로 에너지 소비자와 유틸리티 공급자에게 매우 통찰력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e미터에서의 에너지 측정은 주로 소비자에게 요금을 청구하고 부하 조건을 식별하며 고장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 스마트 시티 추진 및 부하 세분화로 강조가 확대되면서, 서브 미터, 스마트 플러그, 서버 전력 모니터, 보호 릴레이, 고장 표시장치 및 회로 차단기를 포함한 더 많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도시가스 공급업체인 참빛영동도시가스(대표이사 김복천)와 NB-IoT(협대역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가스미터 기술개발 및 공동구축 사업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NB-IoT 스마트 가스미터에 필요한 계량기, 관제서버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8월말부터 참빛영동도시가스 공급권역 일부에서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향후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유지보수 등의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관광, 에너지, 제조업을 주력으로 하는 참빛그룹 에너지 분야 계열사인 참빛영동도시가스는 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도시가스사로, 이번 협약으로 LG유플러스 스마트 가스미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도시 가스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4월 삼천리 도시가스와 ‘스마트 배관망 관리 시스템’을 경기지역에 보급키로 한데 이어 이번에는 참빛영동도시가스와 손잡고 강원지역에 스마트 가스미터 공급을 추진키로 했다. NB-IoT를 활용한 도시가스 사업협력은 이번이 두 번째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도시지하 곳곳 도시가스 시설물에 NB
[첨단 헬로티]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실시간 전력 사용량과 당월 예상 전기료 등의 각종 정보와 누진 단계별 진입 알람 등을 통해 사용자의 누진요금 탈출을 도울 IoT기기인 ‘스마트 에너지미터’를 28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스마트 에너지미터’는 월 기준 누적 전력 사용량과 예상 요금을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쉽게 확인하고 가정의 전력 사용량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돕는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해의 경우 7월에는 19만 가구의 전기요금이 6월 대비 2배 이상 올랐으며, 8월에는 291만 가구가 누진제의 대상이 되어 높은 전기료를 내야 했다. 이는 사용자가 하루에 어느 정도의 전기를 써야 누진제 적용을 받지 않는지, 현재 전력 사용량이 어느 정도인지, 하루에 어느 정도 전기를 써야 누진요금을 피할 수 있는지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였다. ‘스마트 에너지미터’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1일 목표 전력 사용량에 도달하거나, 누진 단계(1단계: ~200kWh, 2단계: ~400kWh, 3단계: 400kWh)에 맞춰 누진요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