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전주 라한호텔에서 소상공인 협업 활성화 사업 성과확산을 위한 ‘2024년 소상공인협동조합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소상공인 협업 활성화 사업의 지원성과와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하고 소상공인과 사업관계자 간 소통과 화합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올해 매출과 고용 창출 등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이룬 우수 협동조합 12개 사와 모범적으로 사업을 수행한 직원 4명에게 중기부 장관 표창을 수여했다. 콘퍼런스에서는 급변하는 시장환경과 고금리·고환율·고물가로 인한 ‘3고’(高) 현상 속에서 협동조합들이 갖춰야 할 대처 능력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판로와 매출 확대에 어려움을 겪은 협동조합들이 상호 신뢰와 협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실현하는 과정과 성공사례를 발표하는 경진대회도 진행됐다. 원영준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이번 컨퍼런스는 소상공인 협동조합들이 자발적인 협력과 상생을 통해 만들어 온 그간의 성과와 성장을 축하하고 우수한 성공모델을 공유·확산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우량 협동조합들이 한 단계 더 도약하고 지역경제와 함께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만들어 갈
[첨단 헬로티] 조합이 설계한 공동사업에 최대 5억원 지원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간 협업촉진 및 협동조합 활성화를 통한 자생력 강화를 위해서 소상공인협동조합에 2018년도 소상공인협동조합 활성화 사업 예산 27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소상공인협동조합은 소상공인 5개사 이상이 참여하고, 전체조합원의 60% 이상(일반형), 80% 이상(선도형, 체인형) 소상공인으로 구성된 협동조합을 말한다. 지난 5년간 1,972개의 소상공인협동조합이 설립되었고, 1,340개의 조합을 지원하였다. 올해는 270억원의 예산으로 450개 내외의 소상공인협동조합을 지원할 예정이다. 주요 개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조합이 자율적으로 공동사업을 추진하도록 지원칸막이를 없애고, 국비지원 비율을 높여서 조합의 사업참여 부담을 낮춘다. 기존에는 공동사업(브랜드개발(0.2억), 마케팅(0.5억), 네트워크 구축(0.2억), 장비구입(1억), 개발(0.3억) 등) 70% 이내 국비보조로 진행됐다. 변경안을 보면, 공동사업 분야별 지원한도 없이 조합이 자율 편성하고, 80% 이내 국비보조를 하게 된다. 단, 장비구입은 70% 이내로 유지된다. 둘째, 조합별 1억원 총액지원으로 성
[첨단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협동조합 간 협동화 촉진 및 글로벌화 지원을 위해 ‘소상공인협동조합연합회 육성사업’, ‘글로벌 소상공인협동조합 육성사업’을 각각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소상공인들의 협업화를 위한 최적 모델로 평가 받는 협동조합이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협동조합간 협동을 위한 연합회 설립을 촉진하고, 수출사업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마련되었다. ‘소상공인협동조합연합회 육성사업’은 연합회 설립‧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통해 협동조합간 협동을 위한 조직화와 협동조합간 시너지 효과창출을 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연합회 설립지원 차원에서는 해당 협동조합 업종‧업계의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연구비, 조합원 교육비 등을 지원한다. 연합회 운영지원 차원에서는 연합회의 결속강화와 조기정착을 위한 운영비, 공동사업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조사연구비‧교육비 마케팅‧제품개발 비용 등을 지원한다. ‘글로벌 소상공인협동조합 육성사업’은 수출을 희망하는 조합을 대상으로 수출 역량진단, 수출관련 제반비용 지원을 통해 수출 디딤돌 역할 및 협동조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