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대러 수출통제 공조...798→1159개 확대 산업통상자원부는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수출 통제 공조를 위해 682개 품목을 상황허가 대상에 추가하는 내용의 '제33차 전략물자 수출입 고시' 개정안을 26일부터 내달 15일까지 행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682개가 추가되면 상황허가 대상 품목은 모두 1159개로 확대된다. 추가 품목은 건설중장비, 이차전지, 공작기계, 항공기 부품 등 군용 전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것들이다. 수출 통제 기준이 기존의 품명과 사양을 서술하는 방식에서 HS코드와 자동차 배기량까지 추가되면서 승용차 등 일부 품목의 수출 통제가 한층 강화된다. 승용차 경우 기존 수출 통제 대상은 '5만 달러 이하'였지만 이번에 배기량 기준으로 바뀌었다. 배기량 2000㏄ 이상 승용차가 수출 금지 대상으로 지정되면서 수출할 수 있는 차량이 더욱 줄어들게 됐다. 러시아로 수출되는 승용차는 중고차가 대부분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2년 한국의 대러 중고차 수출은 1만9628대로 전년보다 700% 이상 급증했다. 이번 기준 변경으로 러시아와 벨라루스로의 모든 중형차 수출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해진다. 추후 고시가 시행되면 해당 품목들의 러시
[헬로티] 코트라(KOTRA)는 오는 19일부터 나흘간 중국 후난성 창사(長沙)에서 '건설중장비 글로벌 파트너링(GP) 온·오프라인 상담회'를 개최한다. ▲게티이미지뱅크 ‘2021 창사 국제공정기계전시회(CICEE)’와 연계한 이번 상담회는 중국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건설 정책으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 건설중장비와 부품 시장에 우리 기업의 진출을 돕기 위해 마련됐다. 전시·상담회가 열리는 후난성 창사는 중국 전체 공정 기계 시장의 약 30%를 차지하는 건설중장비 산업의 중심지다. 산이중공(SANY), 중롄중커(Zoomlion) 등 글로벌 건설·특수 중장비 회사들의 본사와 약 200개의 부품 기업이 창사에 소재하고 있다. 이런 지역 산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2019년에 열린 제1회 전시회에는 관련 산업 기업 1150개사가 참가했다. 2회째를 맞는 올해에는 지난 1회보다 약 30%가 늘어난 1450개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KOTRA는 사전에 수요조사를 통해 선별한 유압 기기와 모터 등 중장비 부품 관련 국내 제조기업 8개사의 공동 샘플 전시관을 설치해 운영한다. 바이어들은 전시관을 찾아 제품을 직접
[첨단 헬로티] 볼보그룹, 전세계 코로나19 추가확산 방지 위해 국제적십자사에 3억여원 기부 건설 중장비, 트럭, 버스, 선박 및 산업용 엔진 분야 제조기업인 볼보그룹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국제적십자사에 약 3억여원을 기부하고 볼보그룹코리아는 국내 고객과 협력사, 임직원을 위한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의 개인위생용품을 지급하며 적극적인 예방활동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사진 :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하고 코로나19가 미국, 아프리카,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볼보그룹 본사가 기부에 나서며 글로벌 차원의 동참이 이어지고 있다. 볼보그룹코리아는 국내 볼보건설기계 고객과 협력사, 임직원 등에게 1억 5천만원 상당의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을 긴급 지원하며 함께 위기극복에 나섰다. 특별재난 지역으로 선포된 대구‧경북 지역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우선 지원하고 수급 상황에 따라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볼보그룹코리아는 이번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선제적인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마련했다. 경남 창원에 위치한 생산공장과 연구개발센터 등 전국에 위치한 사업장에서 근무 중인 약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