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적인 챗GPT 활용 위한 이론 강의부터 서비스 개발까지 진행해 업스테이지가 27일 챗GPT를 활용한 서비스 기획과 활용 비법을 알려주는 온라인 강의 ‘ChatGPT UP’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ChatGPT UP은 업스테이지가 개발하고 운영하는 ‘AskUp’ 관련 AI 기술과 서비스의 트렌드에 대해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강의다. 업스테이지는 챗GPT를 활용해 카카오톡에서 AI 기술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AskU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hatGPT UP 강의는 오는 5월 22일부터 총 4주간 매주 월요일 저녁 7시부터 9시 30분까지 온라인 라이브로 진행된다. 강의는 AI 기술과 트렌드를 이론적으로 이해하는 세션, GPT의 활용과 개발에 도움이 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utoGPT 등 실무에 활용하는 기술을 배우는 세션, 그리고 챗GPT를 애플리케이션으로 만들어보는 실습 세션으로 구성된다. 강사진은 AI 전문가인 업스테이지의 주요 구성원과 및 마이크로소프트의 AI 개발자로 구성돼 있다. 모두를 위한 딥러닝 강의로 유명한 업스테이지 김성훈 대표를 비롯해 네이버 파파고 모델 리더를 역임한 업스테이지 박은정 CSO와 네이버
[첨단 헬로티] 한전KDN(사장 박성철)은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력IT 개론 강의’를 4월23일부터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로 3년째를 맞는 이번 특강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면강의가 아닌 온라인 강의로 진행된다. (사진 : 한전KDN) ‘전력IT개론’ 강의는 오는 6월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4차 산업 관련 IT기술과 정보보안 등 IT전반과 송변전, 전력거래, 스마트 그리드 등 전력계통 9개 주제로 10년 이상 실무 경험이 있는 한전KDN 직원들이 직접 강사로 나서 강의를 진행한다. 한전KDN과 목포해양대학교는 2015년부터 산학협력 협약을 통해 상호 간 교육 및 산업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교수와 학생들의 현장 연수와 연구 지원 등 지식 교류 네트워크 등 전력IT인재 육성을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다. 또한, 한전KDN은 중소기업과 지역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턴십, 대학생 홍보대사, SW경진대회 등 다양한 교육 및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전KDN 관계자는 “앞으로도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전력IT개론 강의 뿐 아니라 지역인재 육성 및 전력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희망 대학생의
[첨단 헬로티] 부산대학교 에너지기술인력양성센터가 ‘PSIM S/W를 활용한 태양광과 ESS 발전시스템 연계 설계 실무’ 강좌를 2월 11~12일까지 진행한다. 현재 환경오염과 화석에너지 고갈, 기술발전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 하락에 따라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태양광발전 산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태양광발전은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태양 에너지를 이용, 전기를 대규모로 생산시키는 장치로, 무한정·무공해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연료비가 들지 않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 발생이 없다. 또,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없고 수명이 20년 이상으로 길며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2018년에 산업부에서 발표된 재생에너지3020 이행계획에서 태양광발전은 17년 5.7GW에서 30년 36.5GW로 6배 이상의 규모로 보급할 계획을 갖고 있으며, 이는 국내 재생에너지의 절반이상의 비중을 갖고 있다. 태양광발전 설계와 제어를 위한 CAE 소프트웨어 중에서 PSIM은 전력전자/모터제어 분야에서 7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PSIM 프로그램은 전력전자회로 및 제어시스템 설계용으로 개발된 대표적인 시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