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스나우는 자사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솔루션 ‘옵스나우 핀옵스 플러스(OpsNow FinOps Plus)’에 새로운 기능인 ‘핀옵스 KPIs(FinOps KPIs)’를 공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한 핀옵스 KPIs는 성과 중심 클라우드 비용 관리를 위한 기능으로 핀옵스(FinOps)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구조화된 거버넌스 체계를 제공하고, 단순한 비용 리포트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성과 기반 클라우드 운영 문화 정착을 목표로 한다. 많은 기업들이 핀옵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재무와 엔지니어 간 소통 언어 부족, 절감 외 정량적 KPI 설정 어려움, 성과 추적 및 개선 체계 부재 등으로 실행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조직의 변화가 직관이나 감에 의존한 일회성 조치에 그치며, 반복 가능한 개선 사이클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옵스나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발적으로 흩어진 데이터를 명확한 KPI 스토리로 전환해, 각 조직이 실행 중심의 핀옵스를 실현할 수 있도록 옵스나우 핀옵스 플러스에 핀옵스 KPIs 기능을 새롭게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핀옵스 KPIs는 전문가가 선정한 17개 KPI 항목을 기반으로 ▲조직
옵스나우가 핀옵스 파운데이션에서 부여하는 ‘핀옵스 인증 플랫폼(FinOps Certified Platform, 이하 FCP)’ 인증을 한국 기업 최초로 획득했다고 3일 밝혔다. 해당 인증은 전 세계에서 단 28개 플랫폼만이 취득했다. 핀옵스 파운데이션은 클라우드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업계 표준을 이끄는 글로벌 비영리 단체로 클라우드 비용 관리와 최적화를 위한 모범 사례, 교육,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CSP)와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비용 관리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기업들이 클라우드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핀옵스(FinOps)는 조직이 클라우드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비즈니스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실천적 방법론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재무 성과 최적화를 위한 필수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클라우드 비용 관리와 효율화가 전 세계 기업들이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FCP(FinOps Certified Platform) 인증은 고객이 클라우드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