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평택항만공사가 글로벌 물류 허브로서 평택항 운영과 개발 전략을 선보였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경기평택항만공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평택항 운영 및 배후단지 개발 전략을 소개했다.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 부두 및 배후단지 건설, 물류단지 조성 등 항만 인프라 구축과 항만 조기 활성화를 통해 지역 및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경기도 평택항은 1986년 개항 이후 자동차 처리량 1위, 컨테이너 화물 처리량 4위, 총 화물 처리량 5위를 기록하며 성장해왔으며, 중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와 연결되는 대한민국 대표 산업 수출입 전진기지로 자리잡았다. 현재 17개의 정기 컨테이너 항로와 5개의 국제 카페리 항로를 운영하며, 다기능 복합거점 항만으로 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12월 1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경기도 유일의 국제 무역항 평택항의 사업 활성화 모색을 위한 ‘2021 평택항 항만물류포럼’이 개최된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평택항만공사가 주관하는 이번 2021 평택항 항만물류포럼은 ▲2030 평택항의 비전과 발전 전략 ▲스마트 항만 구축 방안 ▲포스트 코로나 시대 평택항 경쟁력 제고 방안을 주제로 분야별 전문가들의 기조 발표 및 주제 발표, 종합 토론 형식으로 진행된다. 서문성 한국항만경제학회 학회장 개회사를 시작으로 포문을 여는 이번 포럼은 이계삼 철도항만물류국장 환영사, 이한규 경기도 행정2부지사·김명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의 축사도 이어질 예정이다. 이충배 중앙대 교수가 ‘2030 평택항 비전과 발전 전략’에 대해 기조 발표를 진행하고, 첫 번째 세션에서는 ‘평택항 스마트항만 구축 방안’에 대한 KMI 김형태 박사의 주제 발표와 함께 지정 토론이 펼쳐진다. 두 번째 세션은 백종실 세종사이버대 교수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평택항 경쟁력 제고 방안’ 발표 및 지정 토론이 진행되며, 마지막 종합 토론에서는 한국항만공사 서문성 회장이 사회자로 나서 이충배 교수, 김형태 박사, 백종실 교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