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이 올해 자산관리 부문 신탁·펀드·연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며 자산관리 명가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증명했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지난 9월말 기준 ETF 판매액 3.7조, 지난 8월말 기준 공모펀드(MMF 포함) 판매잔액 14.7조로 각각 은행권 1위를 기록했다. 또한 지난 6월말 기준 전년 말 대비 퇴직연금 적립금 순증 2.4조 원으로 전체 은행권에서 1위를 달성한 데 이어 확정기여형(DC) 운용 수익률은 5분기 연속 시중은행 1위를 기록하며 자산관리 부문에서 고공행진을 달리고 있다. 하나은행 자산관리 부문의 주요 성장요인은 영업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신상품 도입 및 상품 라인업 다각화를 통한 손님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등 손님의 다양한 투자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온 결과다. 하나은행의 ETF 판매가 크게 증가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22년 2100억 원대에 그쳤던 ETF 판매가 2023년에는 1.8조원으로 성장했고 2024년 1월~9월 누적 판매금액은 이미 3.7조원으로 전년도를 크게 상회하며 은행권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처럼 손님들이 하나은행 ETF 상품을 선택하는 이유에는 바로 분할매수형 ET
새롭게 추가된 3종의 상품 포함해 총 6종의 하나생명 펀드가 크래프트 AI 기술 활용 크래프트 테크놀로지스(이하 크래프트)가 1일 자사의 AI 모델을 탑재한 하나생명 변액보험 시리즈에 신규 펀드 3종(AI미국주식형, AI미국채권형, AI글로벌All Weather형)이 추가 출시됨을 발표했다. 크래프트는 2019년부터 하나생명 변액보험 시리즈에 인공지능 모델을 제공해왔다. 크래프트의 AI 기술이 적용된 상품은 '하나생명 ETF 투자의 정석 변액보험 시리즈' 산하 'AI글로벌주식형', 'AI글로벌주식혼합60형', 그리고 'AI글로벌 주식혼합70형'이 있으며, 새롭게 추가된 3종의 상품을 포함하면, 총 6종의 펀드가 크래프트의 AI 기술을 활용하게 된다. 금융 시장의 변화 주기가 빨라짐에 따라 전통적인 자산배분 방식으로 시장의 위험에 대처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새로이 출시되는 하나생명 변액보험 AI 시리즈 3종은 방대한 금융시장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이 감지하기 힘든 투자 국면 변화 패턴을 신속하게 포착함으로써 꾸준하고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됐다. 신규 출시되는 각각의 변액보험 상품은 AI의 예측력과 위기관리 능력을 다양한 측면에
IBK기업은행은 중소기업의 2차 데스밸리 진입 방지와 유동성 공급을 위한 ‘IBK 상생도약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IBK 상생도약펀드 조성을 통해 글로벌 초격차산업 진출, 사업재편 및 산업구조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신속한 유동성 공급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기업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IBK 상생도약펀드는 향후 3년간 매년 500억 원, 총 1500억 원 규모로 중소기업 투자에 전문성을 갖춘 위탁운용사를 선정해 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IBK 상생도약펀드 위탁운용사 모집은 기업은행 홈페이지에 공고됐으며, 9월 14일 제안서 접수를 마감하고 서류심사 및 프리젠테이션 등을 거쳐 10월 중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한편 기업은행은 중소기업의 M&A 활성화를 위해 총 4조 원 규모의 투·융자 패키지 지원과 기술창업기업의 성장 지원을 위해 2.5조 원의 모험 자본을 공급하는 등 중소·벤처기업들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IBK기업은행은 대한지방행정공제회와 국내주식 수탁은행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기업은행은 이번 수탁계약 체결에 따라 향후 3년간 대한지방행정공제회 국내주식 위탁분에 대한 보관·관리 서비스를 총괄하게 된다. 대한지방행정공제회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 회원들의 복지 증진과 퇴직 후 생활 안정을 위해 설립된 공익 복지 기관으로, 5월 운용자산 중 국내주식 위탁 운용분에 대한 수탁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공개입찰을 실시한 바 있다. 이번 계약으로 기업은행도 기존 시중은행 위주의 일임자산 및 연기금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고 은행 측은 밝혔다. 한편 기업은행은 국책은행으로서 다양한 정책형 펀드 등을 수탁해 왔으며, 지난해 수탁부 내 수탁점검팀을 신설해 내부통제 역량을 강화한 바 있다. 이 밖에도 기업은행은 비이자이익 확대를 위해 시장 성장세가 가파른 수탁사업을 전략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 11월 오픈 예정인 新수탁시스템을 통해 적극적으로 수탁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인텔은 7일(미국 현지 시간) 파운드리 생태계에 속한 스타트업 및 기업의 혁신 기술 발굴을 지원하기 위해 10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인텔 캐피탈 및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이하 IFS)가 공동으로 출자한 이번 펀드는 지적 재산권(IP), 소프트웨어 툴, 혁신 반도체 아키텍처 및 고급 패키징 기술의 출시 속도를 단축하는 분야에 우선적으로 투입될 예정이다. 인텔은 해당 펀드와 제휴한 여러 회사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했으며, 개방형 칩렛 플랫폼을 갖춘 모듈형 제품을 개발하고, x86, Arm 및 RISC-V에 걸쳐 있는 다수의 명령어 집합(ISA)을 활용하는 설계 방식을 지원하는 등 주요 전략적 산업 변화에 대해 발표했다. 팻 겔싱어(Pat Gelsinger) 인텔 CEO는 “파운드리 고객은 제품 차별화 및 시장 출시 속도를 단축하기 위해 모듈식 설계 방식을 빠르게 채택하는 추세다. IFS는 이러한 중대한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는 위치에 있다. 인텔의 신규 투자 펀드 및 개방형 칩렛 플랫폼을 통해 생태계에 속한 기업이 모든 칩 아키텍처에 걸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텔은 최첨단 반도체 제조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 증가를
[첨단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와 한국벤처투자(대표이사 조강래)는 지난해 모태펀드 추경 출자사업을 통해 1조 6753억원의 벤처펀드를 조성했다고 밝혔다. 추경 출자사업은 혁신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모태펀드가 역대 최대의 추경예산을 포함한 8600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청년창업, 4차 산업혁명, 재기지원 등 5개 분야에 48개 VC가 선정되었으며, 1조 4450억원 규모의 펀드결성을 목표로 한 바 있다. 2017년 추경 출자사업에서 선정한 48개 조합(1조 4450억원) 중 당초 결성기한인 지난 9일까지 결성을 완료한 조합은 43개(1조 6753억원)로, 기한 내 결성하지 못하는 5개(1400억원) 펀드는 결성시한 연장을 통해 올해 1분기 내 결성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되며, 결성을 모두 완료할 경우 펀드 규모는 1조 80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결성한 펀드의 특징을 살펴보면, 당초 조성목표 1조 4450억원 보다 약 2300억원 더 큰 규모로 결성되었으며, 향후 결성예정인 펀드를 포함하면 목표 대비 약 3700억원 이상 초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는 4차산업혁명 분야에 3207억원 규모의 ‘에이티넘리딩컴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