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컵 2025’ 홈서비스 부문 1위 부산대 팀 격려...기술력·혁신성 인정 “대한민국 인공지능(AI)·로봇 기술력 전 세계 입증해” 내년 인천서 개최하는 ‘로보컵 2026’ 계기로, AI·로봇 기술 고도화 위한 정부 지원 천명 이재명 대통령이 국제 인공지능(AI) 로봇 대회 ‘로보컵 2025(RoboCup 2025)’에서 홈서비스 부문 1위를 차지한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타이디보이’팀 학생들에게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우리 학생들이 치열한 경쟁 가운데, 세계 최고 수준의 AI 로봇 기술력·혁신성을 인정받아 큰 자부심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의 AI·로봇공학 기술 역량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고 높이 평가하며 “이를 계기로 우리의 우수한 기술과 인재가 세계 무대에서 더 큰 활약을 펼칠 수 있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끝으로 “내년 로보컵이 인천에서 개최되는 만큼, 앞으로도 우리나라가 AI 로봇 기술 분야를 선도해 나가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내년 로보컵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자체 개발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아누비스’ 출전...물체 인식, 자율주행, 양팔 조작 등 8개 기능 선보여 "국내 인공지능(AI) 로봇 기술 수준 입증해" 부산대학교 로봇팀 ‘타이디보이(Tidyboy)’가 브라질 살바도르에서 열린 국제 인공지능(AI) 로봇 대회 ‘로보컵 2025(RoboCup 2025)’ 홈 서비스 부문에서 역대 최고점을 기록하며 리그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로보컵은 지난 1996년 일본 오사카에서 'Pre-RoboCup'으로 시뮬레이션 대회로 첫 개막해, 이듬해 일본 나고야에서 공식적으로 첫 개최한 세계 최대 규모의 AI 로봇 대회다. 올해는 이달 15일(현지시간)부터 이레간 37개국에서 총 1500명의 선수가 2000여 대의 로봇을 들고 참가했다. 로봇 축구, 홈 서비스, 산업 자동화, 재난 구호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실력을 겨뤘다. 부산대가 세계 1위를 차지한 홈 서비스 부문은 가정 환경에서 인간을 돕는 서비스 로봇의 기술을 겨루는 종목이다. 로봇이 사물과 환경을 지능적으로 인식하고, 사람과 음성 및 몸짓으로 의사소통하며, 실내 공간을 자율주행하거나 로봇 팔(Robot Arm)로 물체를 조작하는 능력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