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피언이 자사의 ‘커넥트 서비스’가 국내 EDI 업계 최초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클라우드 보안 인증(CSAP)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인스피언은 커넥트 서비스가 최근 신제품(NEP)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클라우드 보안 인증까지 받으면서 국가·공공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인정받았다고 강조했다. 클라우드 보안 인증 인증은 국가 및 공공기관에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정부에서 운영하는 보안 인증 제도다. 보안 인증 기준에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로 정보 보호 수준을 향상하고 보안 우려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며 국가·공공기관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수 요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커넥트 서비스는 클라우드 SaaS 기반으로 운영돼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축이 필요 없어 초기 도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사용한 문서량에 기반해 가격이 책정되는 구독형 서비스로 합리적인 비용으로 EDI를 운영할 수 있는 점도 특징이다. 특히 온프레미스 방식의 높은 비용 부담이나 해외 서비스의 언어 문제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지난 28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카카오클라우드 서밋 2024’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카카오클라우드가 단독 개최하는 첫 행사로 카카오그룹사 개발자 대상으로 실시됐다. 기조연설에 나선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이어형 CTO는 지난해 9월 카카오클라우드로 서비스명을 변경하면서 클라우드 기술개발에 전사 역량을 집중해 ▲고성능 및 저비용 ▲확장성 ▲보안성이 3가지 경쟁력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해외 CSP(클라우드제공사업자)와 견줄 수 있는 성능이면서도 더 저렴한 가격, Multi-AZ(다중 가용 영역) 및 TGW(Transit GateWay) 기술을 이용해 높은 안정성과 유연성으로 타 클라우드와도 쉽게 연결돼 ISMS·CSAP 등 국내 필수 정보보호 및 보안 인증은 물론 국제 클라우드 보안 인증까지 두루 갖추었다는 설명이다. 카카오클라우드의 기술 경쟁력을 담당하는 개발 리더들은 직접 발표에 나서 구체적인 알고리즘과 벤치마크 수치까지 공개했다. 카카오클라우드가 AMD와 함께 개발한 스마트NIC(Smart Network Interface Card)의 설계 도면과 동작하는 논리(logic) 공개에 이어, 자사 서버 인스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