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전 세계 완성차 업체들이 전동화 전환을 선언하며 전기차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잇따른 전기차 화재 사고로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4일 대구에서는 주행 중이던 포터2 일렉트릭(EV)에서 연기가 발생해 소방관들이 출동했다. 소방당국은 원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화재로 인한 것으로 판명될 경우 SK이노베이션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 중에서는 화재 발생 1호가 된다. 현대차가 대규모 리콜 조치까지 취했던 현대차 코나 EV도 지난달 충남 보령과 노르웨이에서 2건의 화재가 더 발생했다. 두 차량 모두 주차 중이었지만 충전 중인 상태는 아니었고, 작년 3월 이후 생산된 신차여서 리콜 대상도 아니었다. 현대차는 코나 EV의 연이은 화재로 소비자 불안이 커지자 지난 3월 배터리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1조4천억원을 투입해 2017년 1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생산된 전 세계 7만5천680대의 코나 EV를 리콜한 바 있다. 그러나 리콜 조치 이후에도 불이 났다는 신고가 접수되면서 화재 건수는 2018년 출시 이후 현재까지 국내 12건과 해외 5건 등 총 17건으로 늘어났다. 현
[헬로티] 현대차 코나EV, 2018년 출시 후 국내 11건·해외 4건 화재...글로벌 리콜 이후에도 소비자 불만↑ 최근 잇단 화재로 글로벌 리콜을 시행한 현대차 코나 전기차(EV)에서 또다시 화재가 발생하면서 전기차 소유주의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이 같은 품질과 안전성 문제가 반복적으로 제기될 경우 올해를 '전기차 도약의 원년'으로 삼은 현대차그룹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사진. 충전 도중 불난 코나 전기차 (출처:연합뉴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 11분께 대구 달서구 유천동 한 택시회사에 설치된 공용 전기차 충전기에서 충전 중이던 코나 EV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현대차 측은 "관련 기관과 함께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르면 25일께 1차 화재 원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화재를 포함하면 코나 EV는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1건, 해외 4건 등 총 15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앞서 코나 EV의 화재가 잇따르며 안전성 논란이 확산되자 2017년 9월부터 작년 3월까지 제작된 코나 EV 7만7천대를 전세계에서 리콜했다. 현대차
[첨단 헬로티] 언제 오를지 모르는 유류값, 친환경차에 대한 정부의 지원,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를 보며 환경을 지키려는 양심. 많은 이유로 전기차를 찾는 이들이 많아졌다. 실제로 환경부가 발표한 지난해 국내에 보급된 전기차는 무려 3만 2,000대다. 그렇다면 전기차를 구입할 때 어떤 것을 알아봐야할까? 전기차 구입요령을 알아봤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얼마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나? 전기차는 국고보조금이 있다. 올해는 최대 900만원의 보조금이 지원된다. 여기에 지역별로 지자체 보조금이 존재한다. 서울시의 경우 총 8,555대에 250만 원씩 지자체 보조금을 지원해준다. 지방은 대부분 600만 원 이상의 지자체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충남은 무려 1,000만 원을 지원해준다. 대부분 국산 전기차의 가격은 4,000만 원대다. 여기에 국고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까지 합친다면 환경에 해로운 내연기관차보다 더 저렴하게 전기차 소유주가 될 수 있다. 아직 부족한 전기차 충전소, 주행거리로 커버하자 전기차를 구입하는데 있어 가장 망설이는 이유가 충전 문제다. 아직 전기차 충전소를 주유소처럼 쉽게 찾을 수 없는 탓이다. 그래서 각 자동차 업체는 주행거리
[첨단 헬로티] 동남아시아 호출서비스 시장 문 두드린 전기차 현대자동차의 대표 전기차 모델인 ‘코나 일렉트릭’이 싱가포르 공유경제 시장을 향해 시동을 걸었다. 현대자동차는 1월 16일,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 호출 서비스(Car Hailing) 기업 그랩(Grab)이 최근 코나EV를 활용한 카헤일링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동남아시아에서 전기차를 활용해 혁신적인 차량 호출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현대자동차의 대표 전기차 모델 코나EV가 싱가포르 공유경제 시장에 본격 뛰어든다. <사진 :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는 이번 서비스 론칭을 위해 코나EV 20대를 그랩 측에 공급했다. 그랩은 공급받은 코나EV 20대를 소속 운전자에게 대여했고, 그랩 드라이버는 이 차로 카헤일링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을 내고 있다. 그랩은 현대자동차로부터 공급받은 코나EV를 포함해 연내에 총 200대를 구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그랩은 전기차인 코나EV를 일반 내연기관 차량의 하루 대여금액과 크게 차이가 없는 80 싱가포르 달러(약 6.6만 원)로 책정해 초기 붐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코나EV, 그랩 서비스에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