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봇 X11 옴니사이클론(DEEBOT X11 OmniCyclone) 출시 앞둬 파워부스트, 오즈모 롤러 2.0 등 기술 탑재...청소 효율↑ 사전 이벤트 진행도...아이폰 17, 보스 QC 울트라 헤드폰 등 이벤트 경품 내걸어 에코백스로보틱스(이하 에코백스)가 신규 로봇 청소기 ‘디봇 X11 옴니사이클론(DEEBOT X11 OmniCyclone)’ 론칭을 예고했다. 이번 디봇 X11 옴니사이클론은 충전 기능을 개선한 기존 라인업 보강 제품이다. 기존 배터리 용량에만 의존하던 로봇 청소기 설계를 전환한 ‘파워부스트(PowerBoost)’ 기능이 이 제품의 주목 포인드다. 3분 동안 배터리를 최대 6% 충전해 한 번 충전만으로도 최대 약 1000㎡까지의 범위를 청소하도록 지원한다. 여기에 한층 진화한 차세대 물걸레 청소 시스템 ‘오즈모 롤러 2.0(Ozmo Roller 2.0)’ 기술이 적용됐다. 물걸레 청소 범위가 기존 대비 1.5cm 확장되고, 분당 200회 회전하는 고밀도 롤러가 3800파스칼(Pa) 압력으로 얼룩을 제거한다. 해당 기체는 지난 9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가전 전시회 ‘101회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IFA 2025)’에서 첫 공개된 바 있다
송수신기 전원 공급 장치, 송수신기 패드 등 네 가지 요소로 구성 “자율주행 모빌리티 분야 새로운 혁신” 싱가포르 소재 무선 충전 업체 시너지(Xnergy)가 각종 로봇 기체 전용 무선 충전기 ‘피닉스(Phoenix)’를 출시했다. 피닉스는 자율주행로봇(AMR)·무인운반차(AGV)·서비스 로봇 등 로봇에 최적화된 고전력 비접촉 충전기다. 1500와트(W)급 고전력 밀도를 발휘하며, 스마트폰 크기로 배치가 자유롭다. 특히 충전 중 발생하는 열을 저감하기 위해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전류 센서, 게이트 드라이버 등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Infineon Technologies)사의 제품을 채택했다. 친 푸 통(Chin Foong Tong) 시너지 대표이사는 “피닉스의 효율·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와 전략을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며 “해당 충전 솔루션은 다양한 자율주행 모빌리티에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로터스, ‘비전80’ 전략 실행하기 위해 AWS를 활용할 예정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는 오늘 로터스 테크놀로지(이하 로터스)가 지능형 럭셔리 자동차 경험 개발을 지원할 선호 클라우드 제공업체로 AWS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로터스는 2028년까지 글로벌 럭셔리 기술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자사의 ‘비전80(Vision80)’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AWS를 활용할 예정이다. 70년 이상의 레이싱 헤리티지와 자동차 업계에서의 리더십을 보유한 로터스는 성능과 디자인,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로터스는 차세대 전기 및 디지털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럭셔리 전기차를 제공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로터스는 사물인터넷(IoT), 분석, 머신러닝, 생성형 인공지능(AI) 등 AWS 기술을 적용해 자율주행 솔루션, 몰입형 인포테인먼트, 초고속 차량 충전 등의 커넥티드 기능을 개발하고 제공할 계획이다. 로터스는 '로보 소울'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스택을 AWS상에서 구동해 로터스의 차세대 전기차를 포함한 자동차와 트럭이 주차 및 고속도로 주행과 같은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AWS를 활용해 지능형 주행 도구 플랫폼인
전기차 충전 호환성 확보·사용자 친화적 환경 조성 목표 현대자동차·기아가 한국전기연구원(KERI)과 손잡고 글로벌 상호운용성 시험센터를 구축해 사용자 친화적인 전기차 충전 생태계를 만든다. 현대차·기아는 남양연구소(경기도 화성시 소재)에서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 전동화시험센터장 한동희 전무, 한국전기연구원 김남균 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상호운용성 시험센터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16일 밝혔다. 최근 전기차 보급 확대와 맞물려 다양한 사업자들이 전기차 충전 비즈니스에 뛰어들면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 해석 차이에 따른 호환성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전기차 운전자들은 충전 시 충전 시작에 실패하거나 충전 중 의도치 않게 충전이 중단되고 또는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등의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급변하는 전기차 생태계의 다양한 완성차 및 충전기 제조사 간의 상호운용성 평가를 통해 한층 높은 전기차 충전 호환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글로벌 상호운용성 시험센터는 각각의 제조사별로 충전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이하 KEVIT)이 지난 15일부터 16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 전시홀에서 열린 ‘SusHi Tech Tokyo 2024(스시테크 도쿄 2024)’에 참석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스시테크 도쿄는 ‘지속 가능한 첨단 도시 도쿄’의 약자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첨단 기술을 소개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전시회다. 올해는 48개국 429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인프라·환경·생활·문화·임팩트를 주제로 전시관을 나누어 관련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했다. KEVIT은 인프라관에 부스를 마련했으며, 전기차 충전기 및 스마트 충전솔루션을 선보여 전시회를 방문한 일본 및 글로벌 바이어의 많은 관심과 문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KEVIT의 스마트 충전 솔루션은 국제 표준 충전기 통신 프로토콜인 OCPP 2.0.1버전을 인증받아 안정적인 보안 환경을 제공하며, DR 및 ISO 15118 기반의 PnC 등 스마트 충전 기술 적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KEVIT의 DR충전 솔루션은 일본 운수사 및 각 나라의 대사관에서 큰 관심을 표하며 솔루션 도입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나누었다고 전했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보급이 확산되며 분산에너지기술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이하 ‘KEVIT’)이 지난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EVS37(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전시회)’에서 국내외 주요 관계자들과 함께 충전 인프라 동향 및 발전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원회(CEC), 서울시, 한국전기연구원 등 국내외 전기차 인프라 관련 전문가가 참석했다. CEC는 캘리포니아 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대표적인 정부 기관으로 지난 4월 16일부터 19일까지 안산에서 진행된 ‘차린(CharIN) 컨퍼런스’에도 참석해 전기차 정책 발전을 논의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KEVIT은 국내 충전 인프라 구축 사례와 전기차 스마트 충전 기술(DR충전 등)을 소개했다. 국내 최초로 전기차 Auto-DR충전 실증사업을 입증해 낸 바 있는 KEVIT은 이번 회의를 통해 그리드 차원의 전기차 충전 기술 적용 사례를 제시해 참석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 밖에도 국내 공공기관의 전기차 충전인프라 품질관리 동향, 서울시와 캘리포니아의 충전인프라 산업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눴으며 향후 충전인프라 발전을 위한 활발한 교류를 기약했다. KEVIT 오세영 대표는 “빠른 속도로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이하 KEVIT)이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KSGE) 2024’에 참가해 DR충전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전기차충전인프라산업전’에 부스를 마련한 KEVIT은 자체 개발한 완속충전기와 초급속충전기, 전기차 충전 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DR충전 기반의 충전 솔루션을 소개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DR충전은 전력 수요를 조절해 전력 계통 안정화 및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충전기술이다. KEVIT은 작년 3월 국내 최초로 실증사업을 통해 사업화를 입증해 낸 바 있다. KEVIT은 스마트충전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사업 R&D를 꾸준히 진행해온 기업이다. 현재는 V2G 충전 기술 적용을 앞두고 있으며, 다가오는 6월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에 맞춰 V2G, ESS 등 분산에너지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 연계 사업을 구상 중이다. 실증을 입증한 DR 충전과 완속충전기 PLC기능 탑재로 향후 V2G충전기술로 확장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KEVIT 측의 설명이다. 또한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에서 방문해 KEVIT의 전기차 충전 기술 및 에너지 관리 기술을 관람했다. KEVIT의 오세영 대표는
듀얼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소형 HM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이하 TI)는 자사의 고집적 프로세서 포트폴리오로, Sitara AM62 프로세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새로운 프로세서는 엣지 AI 프로세싱을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하도록 지원한다. 해당 제품의 저전력 디자인은 듀얼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소형 휴먼-머신 인터페이스(HMI)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TI는 오는 6월 21일부터 23일까지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개최되는 ‘임베디드 월드’ 전시회에서 새로운 AM62 프로세서를 소개하고 엣지 AI 및 전기차 충전 HMI 애플리케이션용 시스템 솔루션을 시연한다. 차세대 HMI는 시끄러운 공장에서 동작 인식 기능을 사용해 기계에 명령하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해 무선으로 제어하는 등 기계와 소통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다. 특히 HMI 애플리케이션에 머신비전, 분석 및 예측 유지보수와 같은 엣지 AI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단순 인터페이스를 넘어 인간과 기계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한 단계 진보한 HMI를 실현한다. AM62 프로세서는 서스펜션 모드에서 전력 소모가 7mW로 낮고, 열과 관련된 설계를 신경 쓸 필요가 없기에
플러그링크는 광역 도시가스 연합체인 가스얼라이언스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급의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가스얼라이언스는 경남에너지㈜, ㈜경동도시가스, ㈜대륜이엔에스, ㈜미래엔서해에너지, 씨엔씨티에너지㈜, ㈜해양에너지, JB㈜ 등 광역권 지역 도시가스사의 연합체로다. 에너지 플랫폼 사업, 통합형 빌링 기반의 에너지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부가서비스 개발, 소규모 전력 중개 등 다양한 에너지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플러그링크는 가스얼라이언스 회원사의 공급권역을 바탕으로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급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특히 가스얼라이언스 회원사가 보유한 독보적인 지역 영업망과 플러그링크의 전기차 충전 토탈 솔루션 서비스 간 상호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씨엔씨티에너지㈜는 우선 1차적으로 플러그링크와 지난 25일 SPC 설립을 진행했으며, 씨엔씨티에너지의 공급권역(대전·계룡 지역)을 바탕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급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협업을 통해 다른 가스얼라이언스 회원사에도 확대해갈 예정이다. 플러그링크 강인철 대표는 “플러그링크는 최근 서울시 전기차 완속·콘센트형 충전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유진로봇의 로봇청소기 브랜드 아이클레보에서 신제품 G10을 출시했다. 아이클레보 로봇청소기 G10은 청소뿐만 아니라 관리도 편리해졌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번에 출시하는 신제품은 자동으로 먼지비움과 충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2in1 스마트 클린스테이션을 도입했다. 외부노출 없이 클린스테이션으로 먼지를 모으고 더스트백만 버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먼지통을 직접 비우면서 발생하는 먼지 흡입, 기침, 재채기 등을 피할 수 있다. 짧은 먼지통로길이와 강력한 모터로 12초만에 빠르게 먼지통을 비워낼 수 있기 때문에 청소를 자주, 여러 번 할 수 있다. 클린스테이션에서 사용하는 더스트백은 고무링과 덮개가 달려있는 3L 대용량 더스트백으로 냄새, 오염물질에도 안심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또한 6모션 퍼펙트 클리닝 시스템을 도입하여 청소의 시작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마무리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제품에 포함된 사이드브러시와 메인브러시, BLDC 모터로 가벼운 입자부터 무게감 있는 생활쓰레기까지 모두 흡입할 수 있으며 청소 중 카펫을 인지하면 자동으로 흡입력을 높이는 ACBU 기능으로 카펫을 따로 털거나 세탁하는 일을 줄였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최근 전기자동차 상용화가 활발해지면서 '무선충전도로'가 전기차충전소로 떠오르고 있다. 무선충전도로는 전기차 충전을 위해 멈출 필요 없이, 도로를 달리면서 충전하는 기술이다. 유선충전도로는 유선 전기차충전소를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전기차의 배터리 용량을 줄여, 전기차의 대중화를 촉진한다. 특허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 10년간 전기차의 주행 중 무선충전 특허출원은 총 299건이 있고, 2010년 10건에서 2018년 42건으로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충전 특허출원(총 299건)의 기술별로 살펴보면 ▲도로와 전기차의 코일 위치를 일치시키는 송수신 패드 기술 169건(56.6%) ▲과금 시스템 60건(20%), 전기 자기장의 방출 가이드(자기 차폐 저감) 기술 36건(12%) ▲코일 사이에서 금속 등 이물질을 감지하는 기술 34건(11.4%)이 출원됐다. 특허청은 출원의 대부분이 무선충전 성능을 높이는 기술로, 높아진 충전 성능은 시설 설치비를 낮춰 상업화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무선충전 특허출원을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내국인은 전체 건수의 89.2%(267건) ▲외국인 출원은 10.8%
[헬로티] - 퀵차지 5, 세계 최초의 상업용 100W+ 충전 플랫폼 퀄컴 테크날러지(Qualcomm Technologies)는 안드로이드 기기에 최적화된 가장 빠른 상업용 충전 기술 ‘퀄컴 퀵차지 5(Qualcomm Quick Charge 5)’를 발표했다. 이는 전작 대비 전례없이 빨라진 모바일폰 충전 속도와 높은 효율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신규 배터리 기술, 액세서리와 안전 기능을 선보인다. 퀵차지 5는 스마트폰 상에서 100W(와트) 이상의 전력을 지원할 수 있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고속 충전 플랫폼으로 단 5분 만에 0에서 50퍼센트까지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빠른 모바일폰 충전 기술의 역량을 발휘한다. 퀵차지 5는 퀄컴 배터리 세이버(Qualcomm Battery Saver)와 신규 퀄컴 스마트 어댑터 기능(Qualcomm Smart Identification of Adapter Capabilities)의 식별 기술을 탑재했으며, 사용자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한다. 에브 로치(Ev Roach) 퀄컴 테크날러지 제품 관리 부사장은 “퀄컴은 가장 빠르고 호환성이 높은 충전 솔루션인 퀵차지 5를 통해 이용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은 11월 6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BIXPO 행사장에서 현대글로비스와 ‘전기상용차 충전인프라 구축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종환 한전 기술혁신본부장과 전금배 현대글로비스 물류사업본부장이 참석했다. 한전은 전기상용차 충전인프라를 구축하여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현대글로비스는 전기상용차를 도입하여 한전의 충전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했다. 한전은 우선 투자를 통해 충전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송사업자는 충전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납부하는 방법으로 운송사업자의 초기 투자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계획이다. 한전은 현재 전국에 8,000기가 넘는 충전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전기화물차 도입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전은 전기차 충전 플랫폼을 구축하여 차세대 충전서비스 산업을 확대하고 전기버스·택시 등 영업용 차량 대상 수송분야 전력화에도 적극 참여하여 온실가스 감축, 미세먼지 저감은 물론 전기차 충전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이 자체 전기차 충전서비스 브랜드 ‘KEPCO PLUG’를 출시했다. 한전은 전기차 충전서비스 브랜드 출시와 함께 기존 전기차 충전서비스 앱(App) 서비스도 업그레이드한 것으로 알려졌다. ▲ 김종갑 한전 사장이 충전 시연을 하고 있다. <사진 : 한전> 우선, 안드로이드에서만 서비스되던 앱의 활동 영역을 아이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넓혔다. 또, QR코드 결제 기능을 통해 회원카드나 신용카드 없이도 스마트폰만으로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한전 전기차 충전서비스 이용고객은 앱을 통해 전국 전기차 충전소의 위치와 실시간 충전기 상태(충전중·고장 정보, 충전진행률 등)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추가했다. 한전은 ‘KEPCO PLUG’ 브랜드 출시를 기념해 한전 전기차 충전서비스 이용고객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시행할 예정이다. 6월 4일(화)부터 7월 31일(수)까지 한전의 전기차 충전서비스 앱(App) KEPCO PLUG를 다운로드 후 QR코드 결제를 통해 한전 전기차 충전기를 이용하면, 이용금액의 5%를 포인트로 지급한다. 고객이 보유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이 9일, 제주 국제전기차 엑스포 행사장에서 4개 전기차 충전서비스 사업자와 ‘한전 공용충전기 제공 및 이용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이준호 한전 에너지신사업처장, 정민교 대영채비(주) 대표, 박용희 ㈜소프트베리 대표, 유동수 ㈜에버온 대표, 한찬희 ㈜파워큐브코리아 대표가 참석했다. ▲ 한전이 전기차 충전서비스 사업자와 ‘한전 공용충전기 제공 및 이용 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 한국전력> 이번 협약으로 한전은 공용 충전인프라를 충전사업자에게 개방하고, 충전사업자는 한전의 충전인프라를 활용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전기차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협약을 통해 한전의 공용충전기를 제공받는 사업자는 기존 3개사에서 7개사로 늘어났다. 또, 한전과 협약된 사업자의 회원은 한전의 공용충전기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충전사업자는 한전이 구축한 공용 충전인프라를 활용해 초기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로써 충전사업자는 안정적인 사업여건을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서비스 모델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계약으로 전기차 충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