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는 항공우주공학과 한재흥 교수 연구팀이 미국기계학회(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SME)의 기계 디자인 저널(Journal of Mechanical Design)에서 2023년도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김태현 박사와 박사과정 장건익 학생, 이대영 교수가 참여한 논문은 2023년도에 출판된 150여 편의 논문 중에서 기계설계(Machine design) 분야의 최고 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국내 기관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로 본 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최초다. 연구진은 최근 항공우주 등 다양한 기계설계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폴더블(Foldable) 구조 설계 시, 균일한 두께의 패널을 적용하면서도 구멍이나 빈 공간 없이 펼쳐진 상태의 유효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설계 방법론을 제시했다. 일반적인 구조는 재료가 두꺼워지면 간섭에 의해 구조물을 접는 것이 제한적이며, 조금만 패턴이 복잡해지더라도 빈 공간 없이 균일한 두께로 폴더블 구조를 설계하는 것은 어렵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진은 균일한 두께의 재료가 적용 가능하면서도 빈 공간 없이
한국공학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사업단 논문 발표 물체 정렬 델타 로봇 시스템 설계 및 물체 인식 비전 알고리즘 연구 기반 한국공학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사업단(이하 한국공대)이 ‘2024 한국생산제조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한국생산제조학회 춘계학술대회는 생산·제조 기술 분야의 우수 논문을 다루는 학술 행사다. 생산·제조 기술 트렌드와 연구 방향을 진단할 수 있다. 한국공대는 이번 학술대회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기계공학과 등 사단이 출전해 무작위로 놓인 물체를 정렬하기 위한 델타 로봇 시스템을 소개했다. 이 기술은 비전 알고리즘이 탑재돼 델타 로봇의 인식률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 기법으로 최우수 논문상 주인공이 됐다. 해당 연구는 지난해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종합 설계 졸업 작품으로, 지난해 열린 한국공학대전에서 총동문회장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정명진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사업단장은 “한국공대 재학생의 뛰어난 연구 능력을 학회를 통해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평가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사진 몇 장으로 특정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가상 공간으로 구현 버추얼 휴먼 및 안경 가상 피팅 등 AI 신사업 고도화에 도움 될 것으로 기대 이스트소프트가 지난 11월 프랑스에서 열린 3D 웹 기술 국제 컨퍼런스 ‘Web3D 2022’에 제출한 논문(InstantXR: Instant XR Environment on the Web Using Hybrid Rendering of Cloud-based NeRF with 3D Assets)이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Web3D 2022' 컨퍼런스는 웹 기반 인터랙티브 3D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VR·AR(가상·증강현실) 등 광범위한 연구 개발 사례를 다루는 국제적인 학술 행사다. 컴퓨터 과학 분야 세계 최초의 학회 간 연합체이자 세계 최고 권위 학술 기관인 ACM(국제컴퓨터학회)이 후원하고 있다. 연구는 이스트소프트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인공지능연구단 유병현 박사 연구팀이 함께 수행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가상 공간을 쉽고 빠르게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AI 렌더링 기법인 NeRF 기술을 활용해 사진 몇 장으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