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량 복합 양극 기술 기반 배터리 기술, 실용성 검증 완료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출력·수명 향상 확인” 로봇 작동시간 및 충전 효율 개선 기대 아이엘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구동에 최적화된 전고체 배터리 관련 미국 특허 기술의 실용성 검증을 완료했다. 이번 검증은 향후 휴머노이드 로봇의 에너지밀도·내구성·안정성 등을 제고할 핵심 전력 기술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사측은 이 성과를 기반으로, 해외 지적재산권(IP) 포트폴리오 구축 전략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아이엘은 지난 2023년 가천대학교로부터 해당 기술을 이전받아 연구개발(R&D)를 진행해왔다. 이후 해당 기술은 'CATHODE SUBSTRATE, HIGH-CAPACITY ALL-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US 10,177,388 B2)'의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 이 가운데 전극과 양극 물질 사이의 전도 거리를 최소화하고, 내부 이온·전기 전도도를 향상시켜 고용량 복합 양극을 구현한 것이 특허 취득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회사는 이에 대해, 로봇 구동에 필수적인 고출력·고안정성 전원 시스템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K-휴머노이드 연합’ 신규 참여 기업으로 낙점 국내 로봇 부품 해외 의존도 해소 선언...고(高)토크 밀도 일체형 구동기(QDD) 개발 및 IP 확보 박차 “휴머노이드 로봇 고하중·고기동성 구현 목표로, 월 2만 개 모터 양산 역량 확보 노력” 케이알엠이 ‘K-휴머노이드 연합’ 신규 멤버로 활약하게 됐다. 사측이 소속된 K-휴머노이드 연합은 국내 로봇 산·학·연·정 공식 협력 플랫폼으로, 지난 4월 공식 출범했다. 이들은 로봇 인공지능(AI) 모델, 로봇 하드웨어, 반도체, 배터리 등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휴머노이드 최강국 실현을 꿈꾸고 있다. 케이알엠은 이번 연합 합류를 계기로,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의 고(高)하중·고(高)기동성을 구현하는 데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필수적인 ‘고(高) 토크 밀도 일체형 구동기’, 이른바 ‘QDD(Quasi Direct Drive)’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여기에 핵심 지적재산권(IP) 확보에도 총력을 다한다. 케이알엠은 현재 모터(Motor)·감속기(Reducer)·제
BPP 기반으로 한 IP 보호 방안 소개하는 워크샵 시리즈 등 운영해 텐센트는 이번 주 개최된 국제상표협회(INTA) 2024 연례회의에 INTA 파트너 및 행사 스폰서 자격으로 참석해 창의성, 상업, 혁신과 관련한 지적재산권(IP)의 역할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텐센트는 IP 전문가 패널 토론 외에도 웨이신 브랜드 프로텍션 플랫폼(BPP)을 기반으로 한 IP 보호 방안을 소개하는 워크샵 시리즈 등을 운영하며, 자사 플랫폼의 IP 침해 대응과 비디오 게임 및 기타 디지털 영역에서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력을 통한 차세대 브랜드 경험 창출 방안을 수천 명의 참석자들과 공유했다. 텐센트는 5일 간 136개 국가 9650명 이상의 IP 이해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브랜드 레벨 업 : 상호작용 마케팅 및 소비자 참여를 위한 게임 활용’, ‘웨이신 브랜드 보호 워크샵’을 운영하는 한편, 불법위조 방지 라운드테이블 등 행사에 참여했다. 브랜드 레벨 업 패널 세션에는 로지타 톨루이(Rozita Tolouey) 텐센트 북미 사업 개발 및 파트너십 총괄, 제임스 우(Jaymes Wu) 텐센트 게임즈 게임 운영 매니저 외에도 홀리 업그렌(Holly Upgren) 폴라리스 기업 파
보안이 갖는 가치와 중요성 IoT가 널리 확산되면서 향후 10년간 수십 억 개의 클라우드 커넥티드 제품이 설계, 생산, 판매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쉽게 해킹을 당할 수 있는 제품을 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보안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우수한 코드 품질을 갖추는 것은 보안성을 확보한 제품을 만드는 데에 있어 필수 불가결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발 과정의 일환으로 코드 분석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소스 코드는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제품의 개발, 제조, 업데이트 전반에 걸쳐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상 단계에서부터 보안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모든 기업은 투자한 자산을 보호받고 싶어하며, 이것은 소프트웨어 설계 및 엔지니어링 과정에 투입되는 모든 노력을 포함한다. 결국, 수 개월, 수 년에 걸쳐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이 물거품이 되게 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여기서는 기업과 그 가치의 핵심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 관계 법령 및 실무 규정 여러 정부 공공기관에서도 오늘날 IoT 기기의 보안이 취약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협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과거 Io
지적재산권 보호를 촉진하며 기술 혁신 및 도입 간 균형 유지 화웨이가 중국 선전에서 ‘혁신의 지평을 넓히다: IP 공유, 혁신 추진’을 주제로 혁신 및 지적재산권(IP) 보호 관련 연례 행사를 개최하고 단말기, Wi-Fi 및 사물인터넷(IoT) 특허 라이선스 프로그램의 로열티 요율을 발표했다. 화웨이는 지난 20년간 단말기, Wi-Fi 및 멀티미디어 코덱과 같은 ICT 표준에 기여한 주요 기업이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은 ▲5.5G ▲오디오 및 비디오 기술 ▲10단계 크기 조절이 가능한 휴대폰 조리개 ▲자동차가 이상 물체를 식별하도록 돕는 일반 장애물 감지 네트워크 ▲지능형 생산 스케줄링 및 최적화를 지원하는 알고리즘 등 가정에서 또는 이동하거나 근무 중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기술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 내용을 공유했다. 화웨이는 공정하고 합리적이며 비차별적인(Fair, Reasonable, and Non-Discriminatory, FRAND) 원칙에 따라 표준필수특허(Standard Essential Patent, SEP)를 허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자사가 보유한 SEP 중 ▲4G 및 5G 단말기 ▲와이파이 6 디바이스 ▲Io
이아이디의 프로젝트 스카(Project S.C.A.R)와 메타플래넷이 리뉴얼 중인 노바1492 콜라보레이션 NFT VIP 론칭쇼가 지난 22일 서울 청담동 NFT 아트 갤러리 청담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메타플래넷이 3D P2E게임으로 리뉴얼하는 클래식 PC 온라인 게임 노바 1492와 프로젝트 스카의 콜라보레이션 NFT를 선보이고 자체 블록체인 생태계 메타큐브의 본격적인 행보를 알렸다. 노바 1492 콜라보레이션 NFT는 과거 PC 온라인게임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은 노바 1492 지적재산권(IP)과 이아이디의 NFT 사업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스카와 협업해 완성된 웹3.0 기반 NFT이다. 프로젝트 스카는 이아이디의 NFT 사업 총괄 책임자인 강덕호 본부장(타키온비앤티 대표)을 중심으로 전 삼성블록체인 글로벌 사업부 리드 데이비드 함, 국내 UFO 최고 전문가 맹성렬 우석대학교 교수 등 우수한 역량을 지닌 인재들이 참여한 프로젝트로, 인류를 벌하려는 외계인과 이에 맞서는 인류에 대한 스토리를 전개하며 관련 이벤트 및 상품을 지속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된 노바 1492와 프로젝트 스카 콜라보레이션 NFT는 단순히 보유하는 것으로 끝나는 기존 N
지난해 연간 매출 22.4%에 해당하는 1427억 위안 R&D 투자 화웨이가 중국 선전 본사에서 개최한 ‘지적재산권(IP) 창출과 혁신 추진 : 혁신의 판도를 넓혀라’ 포럼에서 11개의 핵심 발명 기술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화웨이가 격년 주기로 진행하는 ‘Top 10 발명품’ 시상식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2020-2021수상작으로 선정된 발명 기술들은 정확성을 보장하면서 컴퓨팅 전력 소비 및 회로 면적을 크게 줄이는 가산기 뉴럴 네트워크부터 광대역 구축 가속화를 위해 광섬유에 광학 조리개를 표시하며 정확성을 보장하는 회로 영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올해는 두 가지 발명 기술이 공동 10위를 차지해 총 11가지가 공개됐다. 2015년 처음 개최돼 올해로 4회째를 맞은 화웨이 ‘Top 10 발명품’ 시상식은 새로운 제품 시리즈를 탄생시키거나 기존 제품의 주요 상업적 기능으로 활용되는 등 기업 및 업계에 상당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 있는 발명품과 특허 기술을 인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송 리우핑(Song Liuping) 화웨이 최고법률책임자(CLO)는 “오늘 발표된 새로운 발명품 중 일부는 연구개발과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화웨이가 장기간 이어
[헬로티]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정보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DesignShield 개발 툴을 출시해 FPGA 제품군의 보안을 한층 강화했다. 마이크로칩의 FPGA 사업부 부사장인 브루스 와이어는 “마이크로칩은 보안 분야 선두업체로서 복제, 지적재산권(IP) 침해, 리버스 엔지니어링 및 악성 트로이 목마 코드 삽입의 위험을 줄이는 최신 대응책이 포함된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며 "DesignShield 툴은 비트스트림 보호 매커니즘의 상태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구축된 시스템이 계획대로 동작하고, 위조범으로부터의 안전은 물론 개발자의 디자인 투자와 브랜드 평판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방어 계층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DesignShield 툴은 현장에 구축된 시스템에서 FPGA 비트스트림을 가로채려는 사이버 범죄자로부터 항공우주, 방위산업 및 기타 고신뢰성 시스템 개발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발됐다. DesignShield 툴은 로직 및 라우팅 기반 암호화 기술의 조합을 통해 논리적 등가를 모호하게 함으로써 CPI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리버스 엔지니어링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시스템 손상 위험을 줄이는 동시에 디
[헬로티] 개선된 특허·실용·상표·디자인 일괄심사제도 8일부터 시행 ▲개선된 지적재산권 일괄심사제도 (출처 : 특허청) 특허청은 기업이 다양한 지적재산권을 한꺼번에 획득할 수 있도록 신청요건을 개선한 일괄심사제도를 8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디지털뉴딜 정책 추진에 따라 디지털 서비스 분야가 주목받으면서 까다로운 지재권 획득 과정을 개선해야 한다는 관련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다. 일괄심사제도는 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 등의 지재권을 한꺼번에 심사해 주는 제도로서 기업들이 사업 진행시기에 맞추어 지재권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다. 그러나 기존의 일괄심사제도는 신청요건이 ‘하나의 제품’ 관련으로 제한되어 있어 부품이나 장비 등 눈에 보이는 형태에 대해서만 지재권이 인정됐고, 스마트폰 앱과 같이 형태가 드러나지 않는 서비스는 심사가 어려웠다. 특허청은 이번에 개선된 제도에서 ‘하나의 제품’과 관련된 일괄심사 신청요건을 ‘서비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제품군 등’으로 확대했다. 당국은 "이로써 디지털융복합기술(
[헬로티] 11월 4일부터 한달간 지역의 지식재산 비전을 공유하고 중앙·지방 간 현장 소통을 통한 지식재산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지식재산 포럼'이 열린다. 특허청은 4일 제주 지식재산포럼을 시작으로 11일 경북 포항(포스코 국제관), 17일 전남 여수(여수엑스포 컨벤션센터), 울산(롯데호텔), 24일 인천(송도 컨벤시아), 29일 세종(정부세종컨벤션센터) 총 6개 지역에서 다양한 지식재산 행사와 포럼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첫 주자인 제주 지역 포럼은 발명축제인 "제주 지식재산 페스티벌"과 함께 개최되며 지역 발명진흥과 지식재산 발전 전략 마련을 위한 논의의 자리가 마련된다. 포럼 전 시상 행사에서는 ▲주식회사 대은의 송기택 대표 ▲주식회사 보타리에너지의 김홍삼 대표 ▲주식회사 삼다의 유행수 대표에게 제주 지역 지식재산 유공 표창을 수여하고 '2016년 제10회 제주특별자치도민 발명아이디어 경진대회'의 수상자들에 대한 시상식도 진행된다. 또한 제주 IP 페스티벌에서는 제주 지역의 IP 우수기술 및 지역지식재산창출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물 전시, 발명 경진대회 수상작품 전시 및 발명·특성화고 작품전시, 3D 프린터 시연
ⓒGetty images Bank [헬로티] 미래창조과학부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나선다. 미래부는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글로벌 ICT 지적재산권(IP) 이슈 세미나'와 'ICT제품 환경규제 대응전략 세미나'를 26일 코엑스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매년 국내 ICT기업의 해외진출에 필요한 지적재산권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 등 주요 수출대상국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해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미국·중국 등 현지에서 활동하는 IP전문 변호사를 초청해 미국시장 진출시 필요한 사항 및 지재권 분쟁사례를 통한 대응전략, 중국의 통신산업분야 동향 및 진출시 준비사항 등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또한 'ICT제품 환경규제대응전략 세미나'에서는 국가공인시험검사기관(KOTITI) 연구원 등 관련전문가를 초청해 EU의 'RoHS'(유해물질규제) 개정 동향 등 최근 해외 환경규제 동향 등을 공유했다. 미래부 정완용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특허전략과 환경규제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며 "국내 ICT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