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포스는 NH투자증권이 지능형 생산성 플랫폼 슬랙을 공식 도입 및 확산할 것이라고 21일 밝혔다. NH투자증권은 금융위원회로부터 슬랙 도입에 대한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승인받아, 금융 산업 내 SaaS(Software-as-a-Service)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제도는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제도로 기존 규제의 유연한 적용을 통해 금융권이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존의 금융 산업 내 높은 데이터 보안 요건과 규제 환경으로 인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 클라우드 솔루션 도입에 제약이 있었으나, 이번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승인받은 NH투자증권은 국내 최초로 내부 업무 환경에 슬랙을 공식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슬랙 도입을 기반으로 모바일 접근성 한계, 부서 간 협업 비효율, 데이터 공유의 제약 등 기존 온프레미스 기반 시스템에서 겪었던 직면 과제를 해소하고 SaaS 기반의 디지털 협업 환경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슬랙을 SaaS 기반으로 사용하면서 초기 인프라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 유지 및 보수에 대한 부담 없이도 최신
세일즈포스의 AI 기반 지능형 생산성 플랫폼 슬랙(Slack)이 콘텐츠 클라우드 플랫폼 박스(Box)와의 파트너십을 확장해 슬랙 내 ‘박스 AI’(Box AI) 기능을 출시하고 통합 기능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박스는 기존 슬랙 내 단순한 파일 관리 및 공유 기능 제공을 넘어 ‘박스 AI 쿼리’ 기능으로 박스 내 원하는 파일을 슬랙에서 즉시 검색 및 분석해 종합적인 지능형 콘텐츠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신속하게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팀의 경우 슬랙에서 박스 AI를 사용해 박스 내 저장된 시장 분석 보고서에서 핵심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이를 슬랙을 통해 신속하게 팀과 공유해 빠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영업팀의 경우 고객 자료에 변동 사항이 생길 시 박스 AI가 이를 감지해 슬랙을 통해 모든 팀원에게 고객의 최신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원활한 협업을 지원한다. 이번 파트너십에는 슬랙의 ▲실시간 보안 파일 미리보기 ▲실시간 파일 동기화 ▲워크플로우 자동화 ▲통합 배포 간소화 ▲통합 워크플로우 기능을 포함한다. 지난 1년간의 슬랙과 박스 간 협업을 바탕으로 이번 파트너십에서 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