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감축을 위한 시설 및 연구개발(R&D)에 투자하는 신규 16개 프로젝트에 향후 3년간 총 2973억 원의 융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을 통해 총 9630억 원 규모의 신규 민간 투자가 유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탄소중립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사업’은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혁신적인 시설 및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저금리 융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상반기 1차 공모를 통해 9개 프로젝트가 선정된 데 이어, 8월부터 진행된 2차 공모와 심사를 거쳐 16개 프로젝트가 추가 선정됐다. 선정된 기업들은 이달부터 14개 시중은행을 통해 본격적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최대 500억 원 한도 내에서 연 1.3%의 금리로 자금을 지원받는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자들은 정유·조선 등 전통 산업과 수소·연료전지 등 신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탄소중립 분야에서 총 963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추진한다.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투자 여건 악화 속에서도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민간 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낸 사례로 평가된다고 산업부는 강조했다. 산업부는 2022년부터 올해까지 누적 기준으로 총 95건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거센 변화의 물살에 휩쓸려 갈지, 아니면 살아남을지를 가르는 '생존의 강'을 건너는 시기가 될 겁니다." 내년 경영환경을 놓고 모 대기업 임원이 한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갈등 심화 속에 글로벌 공급망 붕괴 우려가 고조되고 있고, 반도체 등 부품 수급 차질도 지속되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유가 및 원자잿값 급등, 환율 변동성, 인플레이션 우려가 상존하는 데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이 가져올 변화 역시 가늠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다 기업들은 정부의 탄소중립 가속화 흐름에 맞춰 사업 재편도 서둘러야 하고, 또 경영환경 전반에 영향을 미칠 내년 3월 대선 결과에도 촉각을 세워야 하는 입장이다. 그야말로 사방이 안갯속, 시계 제로다. 내년도 사업계획 짜기가 좀체 해법을 찾기 어려운 '고차 방정식'이 되고 있는 것이다. 반도체·전자업계…"경영 효율성 높이고 공급망 관리 총력" 7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 현대차, SK, LG 등 주요 기업들은 내년 사업 계획을 수립하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내년 기업들의 성적표는 비용 관리와 공급망 관리에 달려있다"면서 "공급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