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정보보호 실태조사…기업 피해 ‘매우 심각’ 비율도 급증 지난해 악성코드나 랜섬웨어 등에 의한 개인의 ‘정보보호 침해사고’ 경험률이 전년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의 경우 사고 경험률은 낮아졌으나 사고의 심각도는 오히려 높아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4일 발표한 ‘2021년 정보보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의 정보보호 침해사고 경험률은 11.4%로 전년보다 8.1%포인트 높아졌다. 침해사고 유형은 랜섬웨어(47.7%), 악성코드(41.9%), 해킹(11.4%), DoS/DDoS 공격(1.8%) 순으로 전년과 마찬가지로 랜섬웨어가 가장 위협적인 요소였다. 개인의 IP카메라 이용률(12.4%, 6.9p%↑)과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 (37.3%, 1.9%↑)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IP카메라 이용자들은 영상데이터 발생·처리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 위협 증가(74.1%), 영상정보 노출에 따른 2차 범죄 우려(61.5%) 등 개인정보와 관련된 이슈를 가장 우려했다. 기업부문은 조사결과, 지난해 정보보호 침해사고 경험률은 1%에 그쳐, 전년(2020년) 2%와 2019년 2.8%보다 낮았다. 하지만 침해사고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매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이하 ‘협회’)는 기업과 개인의 정보보호 인식 및 침해사고 예방·대응 활동 등에 대한 ‘2019년 정보보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정보보호 실태조사는 기업부문 종사자수 1인 이상 사업체 9,050개사, 개인 부문 만 12~69세 인터넷 이용자 4,5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 정보보호 예산 보유율과 예산 비중 우선 기업들의 정보보호 기반 및 환경을 조사한 결과, 정보보호 중요성 인식은 87.0%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정보보호 정책수립(23.1%, 7.1%p↑), 정보보호 조직운영(12.3%, 6.8%p↑) 및 교육실시(29.4%, 1.4%p↑) 등 정보보호를 위한 노력이 전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보호 예산편성 관련해서 기업의 32.3%가 정보보호 예산을 편성했으며,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정보보호 예산 보유율이 높았다. 아울러 정보통신 예산 중 정보보호(또는 개인정보보호) 예산을 1% 미만으로 편성한 기업은 감소(20.2%, 5.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