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헨켈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첨단 전자재료를 개발·생산하는 글로벌 사업장을 완공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23일 송도 첨단산업클러스터에서 유정복 인천시장과 얀 더크 아우리스 헨켈 수석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헨켈코리아 송도 사업장 준공식을 열었다. 헨켈 본사가 100% 투자한 자회사인 헨켈코리아는 약 450억원을 투자해 송도에 지상 2층·연면적 1만㎡ 규모의 사업장을 건립했다. 이곳에서는 전기차·전자기기·전자재료 등에 필요한 고성능 접착제를 비롯해 반도체 패키징·전자부품·기기 어셈블리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1876년 독일에서 설립된 헨켈은 기존의 세제 사업에서 산업용 첨단재료로 사업영역을 확장, 세계 125개국에 진출했으며 지난해 기준 27조원의 글로벌 매출을 기록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2분기 전기차, ESS, 소형 등 배터리 사업 고른 성장 전망 삼성SDI는 2022년 1분기 실적으로 매출 4조 494억 원, 영업이익 3,22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분기 매출 4조 원 돌파는 최초이며, 영업이익도 1분기 실적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조 862억 원(36.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891억 원(142%)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2,334억 원(6.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66억 원(21.3%) 증가했다. 삼성SDI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사업부별 영업 실적을 들여다보면 에너지 및 기타 부문의 매출은 3조 3,19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0%, 전분기 대비 6.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6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1.8%, 전분기 대비 37.3% 증가했다. 전 분기와 비교해 중대형 전지는 매출이 늘고 수익성도 개선됐다. 자동차 전지는 고부가 제품인 Gen.5 배터리를 중심으로 판매가 확대됐고, 판가 연동 등을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실적이 개선됐다. ESS는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가정용과 UPS(무정전전원장치)용 등 고부가 제품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삼성SDI가 매출 13조 5,532억 원, 영업이익 1조 676억 원의 2021년 연간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이며 매출 13조원과 영업이익 1조원 돌파도 최초이다. 전년 대비 매출은 2조 2,584억 원(20.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963억 원(59.0%) 증가했다. 삼성SDI는 2021년 4분기 실적으로 매출 3조 8,160억 원, 영업이익 2,657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646억 원(17.4%)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195억 원(7.9%)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3,762억 원(10.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 등의 영향으로 1,078억 원(△28.9%) 감소했다. 2021년 4분기 사업부별 영업 실적을 살펴보면, 에너지 및 기타 매출은 3조 1,07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2%, 전분기 대비 13.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20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고, 전분기 대비 40.4% 감소했다. 전분기와 비교해 중대형 전지는 매출이 성장했고 흑자도 유지됐다. 자동차 전지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이슈에도 불구하고 Gen.5(젠5
[첨단 헬로티] 반도체 기술 혁신을 위한 제조공정별 신규 전자재료 개발과 품질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고려해 오는 5월 16일, 새로운 전자재료와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SMC Korea 2019가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4회째 진행되는 이 행사는 대한민국 최대 반도체 재료 컨퍼런스로 작년에는 약 400명의 업계 전문가가 참석한다고 SEMI 코리아는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듀폰, 아이멕의 기조연설이 진행된다. 첫 기조연설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는 ‘5나노 이후의 반도체 개발 현황’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며, 뒤이어 듀폰의 ‘차세대 칩 기술 개발을 위한 노광공정에서의 과제’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아이멕은 ‘EUV 패터닝 기술의 도전 과제’에 대해서 다룰 예정이다. 기조연설 이후 세션별 컨퍼런스에서는 Advanced Materials, Quality Control, Collaboration 3개 세션으로 나뉘어 10명의 연사 발표가 진행된다. • Advanced Materials 세션: 웨이퍼, 노광, 세정 등 각 반도
[첨단 헬로티] 삼성SDI가 11월 16일 2018년 정기 임원인사를 실시했다. 삼성SDI는 성과주의 인사 기조를 바탕으로 전문성과 도덕성, 리더십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부사장 승진 1명, 전무 승진 6명, 상무 승진 8명, 마스터 선임 1명 등 총 16명의 2018년 정기 임원인사 명단을 발표했다. 주요 승진 인사로는 전지 사업부문에서 전기차 및 ESS 주요 고객사와의 협업 관계를 강화하고 신규 고객 수주 확대를 위해 글로벌 영업·마케팅 전문역량과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김정욱 전무가 부사장으로 승진했고, 올해 전지 사업의 실적 개선을 주도한 개발, 기술, 영업부문의 김윤창 상무, 신정순 상무, 이기채 상무, 손미카엘 상무가 각각 전무로 승진했다. 전자재료 사업부문에서는 소재 경쟁력 강화를 위해 디스플레이 소재 적기 개발을 주도해 온 김희섭 상무가 전무로 승진했다. 이와 함께 삼성SDI의 경영 체질 개선과 프로세스 혁신에 기여해 온 김광성 상무가 전무로 승진했다. 삼성SDI는 이번 정기 임원인사에서 기능별 전문성 확보와 젊고 역량 있는 차세대 리더의 과감한 발탁을 통해, 사업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조직 분위기를 쇄신해 2018년 경영목표 달성에
[첨단 헬로티] 한국다우케미칼(대표 유우종)은 20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대한화학회 춘계학술회에서 ‘2017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 시상식 및 수상 논문 발표회인 '다우케미칼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대한화학회와 공동으로 개최되는 ‘2017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에는 국내 대학 석박사 과정 재학생 및 박사 후 연구원들의 우수 논문 176편이 접수됐다. 한국다우케미칼 관계자 및 교수 등 5명의 전자소재 및 순수 화학 분야 전문 심사위원이 심사를 통해 전자소재 분야 6편, 순수 화학 분야 6편으로 총 12편의 우수 논문을 선정했다. 한국다우케미칼은 수상자 12명 중 대상 2명은 각 300만원, 최우수상 4명은 각 200 만원, 우수상 6명은 각 100만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수상자 소속 연구실에는 연구장려금을 100만원씩 수여했다. 수상자에게는 한국다우케미칼 입사시 가산점이 부여될 예정이다. 우선, 전자소재 분야에서 대상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석박사통합과정 류재건씨가 '천연점토를 이용한 초기공 구조의 실리콘 플레이크의 제조법과 리튬이온전지 음극재로의 응용' 논문으로 수상했다. 류재건씨
오준석 SK케미칼 사업개발팀장© News1 SK케미칼이 3D 프린팅 소재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SK케미칼은 지난 16일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인사이드 3D 프린팅 콘퍼런스 & 엑스포 2017'(Inside 3D Printing Conference & Expo 2017)에서 국내 업체로는 유일하게 '3D 프린팅을 위한 혁신 소재'를 주제로 '스카이플리트'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스카이플리트는 SK케미칼이 최근 개발한 3D 프린팅 전용 플라스틱 소재 브랜드로 G, E 시리즈를 비롯 4가지 제품군으로 구성된다. 스카이플리트는 기존에 3D 프린팅 소재로 주로 사용됐던 PLA, ABS, PC의 문제점을 해결해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PC, ABS 소재의 경우 230℃ 이상의 3D 프린터 출력 과정에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 화합물)와 비스페놀A 등과 같은 환경호르몬 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출력물이 뒤틀리는 와핑(Warping) 현상이 종종 발생해 산업용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이번 콘퍼런스에서 소개된 'G시리즈'는 미국 FDA의 인증을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