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가 23일인 오늘 국내 전자장비 고객사를 대상으로 '2022 전장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테크데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부터 이틀간 부산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열리는 첫 고객 대상 공식 프로모션 자리로, 국내 주요 완성차 및 전장기업 고객 100여명이 참석한다. '산업의 쌀'로 불리는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도체 부품에 필요한 만큼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제품 안에서 신호 간섭을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삼성전기는 이날 행사에서 회사 전장 MLCC의 중장기 비전을 공유하고, 고용량·고전압·고신뢰성(휨강도·고온) 제품 등 기술 트렌드에 적용 가능한 고객 맞춤 솔루션을 제안한다. 이뿐 아니라 강연과 세미나를 통해 MLCC 기초 원리, 시황 및 산업 트렌드를 소개하고, MLCC 제작 공정을 공개한다. 전장 MLCC 시장은 전기차와 자율주행 자동차 비중 확대에 따라 수요가 늘고 있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1대에 약 1000개 안팎의 MLCC가 들어간다면, 내연기관 자동차는 약 5000개, 전기차는 1만 개 이상의 M
[헬로티] 세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SK하이닉스가 글로벌 1위 자동차 부품업체인 보쉬와 반도체 장기공급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 청주 캠퍼스 6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보쉬와 차량용 메모리 반도체 공급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계약 기간은 10년 이상의 장기공급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계약이 성사되면 SK하이닉스는 자동차 부품 1위 업체인 보쉬에 처음으로 메모리 반도체 제품을 공급하게 된다. 업계에선 보쉬와 장기공급 계약을 통해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전장 회사에서 추가 수주를 추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자율주행 시스템과 차량 전자장비 도입으로 자동차 반도체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상황에서 반도체 기업들이 차량용 반도체 공급을 줄여 최근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공급 부족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IC인사이츠는 올해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16% 성장해 메모리 반도체 다음으로 시장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첨단 헬로티] 부산대학교 에너지기술인력양성센터가 최근 대두되는 전기차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관리하는 열관리기술과 공조시스템 설계방법을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교육하기 위해 ‘전기차용 공조시스템(A/C, H/P) 설계 실무, 전기차용 전자장비 열관리 설계 실무, 전기차용 배터리 열관리 설계 실무’ 3개 강좌를 각각 2019년 1월 16일부터 17일, 1월 22일부터 23일, 1월 24일에 진행한다고 밝혔다. 강좌는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에너지공단, 부산광역시가 후원한다. 세계 각국에서는 온실가스 허용기준과 자동차 연비규정이 강화되면서 친환경 자동차에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각국 정부는 전기자동차를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R&D 투자, 보조금, 세제혜택 등 정책적 지원을 통해 전기차 보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16년 ‘자동차 온실가스연비기준 개정안’으로 온실가스는 140g/km, 연비는 17km/l 이하를 만족해야 하며 2016~2020년까지는 온실가스 97g/km, 연비24.3km/l를 만족해야 함에 따라서 자동차 완성차 메이커에서는 온실가스가 적게 배출되고 연비가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