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의 안전한 장기 보관과 데이터 센터 공간 및 유틸리티 비용 절감해 한국IBM은 SBS가 보도 및 제작 영상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인 환경에서 장기간 보관하고 필요 시 빠르게 데이터 수요에 대응해 확장하도록 'IBM TS4500 테이프 라이브러리(이하 IBM TS4500)'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4K를 넘어 8K 화질이 대두되는 오늘날, 방송 분야에서 데이터는 단 며칠만에 기하급수적으로 쌓일 만큼 양 자체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컴퓨터그래픽 등 최신 기술 활용으로 용량이 커지고 있다. 또한, ESG 경영 추진으로 인한 전기 소비와 탄소 배출 저감 필요성, 그리고 랜섬웨어와 같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의 방어력을 갖춰야 하는 등 방송 업계를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이 많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자료를 안전하게 그러나 비용 효율적으로 보관하는 저장장치인 테이프 스토리지가 다시 각광받고 있다. IBM은 비즈니스 파트너인 매사와 함께 SBS 스토리지 성능 개선 및 업그레이드를 위해 IBM TS4500을 공급했다. SBS는 기존 장비를 교체해 데이터 저장 집적도를 12배 높였으며, 신기술 도입으로 보도 및 제작의 영상 보관 시스템을 강화했다. IBM TS45
LG CNS가 안전성, 친환경 등 다방면에서 데이터센터 운영 역량을 인정받아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표창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표창은 과기부가 통신·전파 재난관리에 기여한 ▲인터넷데이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 ▲정부 및 기간통신사업자 ▲부가통신사업자 등 3개 분야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LG CNS는 IDC 분야에서 'LG CNS 클라우드데이터센터사업단 데이터센터운영팀'으로 수상했다. LG CNS는 국내 클라우드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사업자로서 30년간의 자체 데이터센터 설계, 구축,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 유통 등 국내의 다양한 산업군의 고객에게 데이터센터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데이터센터 역량을 기반으로 LG CNS는 부산, 가산, 상암 등 국내와 미국, 유럽 등 해외 거점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융, 글로벌IT 파트너들과 함께 ▲확장성과 가용성이 높은 '하이퍼스케일 상업용 센터' ▲AI 전용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센터' ▲해외 거점 센터 등 데이터센터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LG CNS
전국 인터넷데이터센터(IDC)에서 겨울철 외기냉방으로 연간 3천478만9천kWh 절감 LG유플러스는 대형 구조물인 IDC에 차가운 바람을 끌어오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냉방장치를 도입하는 친환경 냉각으로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국내 IDC는 여러 서버가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체 건물 중 9.6%에 달하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한다. 이는 아파트, 상용건물에 이어 세번째에 달한다. 이에 LG유플러스는 에너지 사용량 절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1999년 국내 최초 IDC인 논현 IDC를 개소한 LG유플러스는, 2015년 아시아 단일 IDC 최대 규모 평촌메가센터 등 전국에 10여 곳에 IDC를 운영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외부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바깥 공기를 전산실로 끌어들이는 외기 냉방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서버랙이 내뿜는 더운 공기를 실내 냉방기를 가동해 냉각했는데, 이젠 차가운 바깥 공기를 활용해 냉방기를 가동하지 않아도 된다. 이를 통해 LG유플러스는 연간 3천478만9천kWh(킬로와트시)를 절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탄소배출량으로 약 797만톤이며, 30년생 소나무 242만 그루를 심은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자 등 603개 의무 대상기업 6월말까지 공시 이행 필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보호 투자 활성화 및 이용자 보호를 위하여 정보보호 투자·인력 등 현황을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하는 ‘정보보호 공시 의무자’를 확정 발표했다. 정보보호 공시 의무자 확정을 위하여 지난 3월 의무공시 기업(안)을 한국인터넷진흥원 누리집 등을 통해 안내하였으며, 스스로 정보보호 공시 의무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기업의 이의신청 접수 및 검토를 통하여 총 603개 기업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정보보호 공시 의무자에는 대⋅중견 이상의 상장회사를 비롯하여, 주요 정보통신 설비를 갖춘 통신사 및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이용자 수가 많아 정보보호 필요성이 큰 온라인 쇼핑, 배달 서비스 운영사 등이 포함된다. 정보보호 공시 의무자는 오는 6월 30일까지 정보보호 공시 현황 자료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자공시시스템으로 제출해야하며, 공시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 최대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정보보호 공시 의무자의 원활한 제도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작년 12월 ‘정보보호 공시 가이드라인 개정본’을 마련하였으며, 올해
KT는 클라우드·인터넷데이터센터(IDC) 전문기업인 KT클라우드가 1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KT는 현물출자 방식으로 클라우드·IDC 사업을 분리해 서울 강남, 여의도 등 주요 IDC를 포함한 해당 분야의 자산을 KT클라우드로 출자했다. KT가 KT클라우드 지분 100%를 보유한다. KT클라우드는 2026년까지 매출 2조원의 DX 전문회사가 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 회사는 또 AI 인프라 투자와 AI 플랫폼, 서비스 영역 등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초대규모 'GPU 팜'과 전용 AI 반도체 칩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2024년까지는 국내외로 IDC를 공급할 계획이다. KT클라우드의 초대 대표이사는 KT클라우드·IDC사업추진실장 윤동식 부사장이다. 윤 대표는 "독립법인으로 새롭게 태어난 KT클라우드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한 조직 체계를 갖추고 사업 성장을 위한 투자와 제휴·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