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프로젝트100] 인식 불량률 ‘제로’에 도전하는 아이디로 “옵티컬 RFID로 난제 파훼”
인접 태그 오인식 혹은 다중 태그 충돌(Multi-tag Collision)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미 쓰고 있는 현장에서도 어쩔 수 없는 현상으로 치부되기 쉽다. 선반(Rack) 하나에 수납함(Bin)이 연이어 있고, 출하 게이트를 통과하는 팔레트마다 수십 개의 태그가 한꺼번에 들어오는 상황에서는 의도한 태그만 정확히 골라 읽는 일이 어렵다. 이때 안테나 출력을 낮추면 인접 태그 오인식 현상은 줄지만, 동시에 정상 인식률도 떨어진다. 태그 간 간격을 인위적으로 넓히는 방식 역시 적재 효율과 충돌한다. 현장에서는 결국 사람 손으로 메우는 방식이 반복된다. 태그를 여러 번 다시 읽고, 재고·출하 데이터를 눈으로 대조하고, 시스템 상에서 필터를 걸어 중복·누락을 잡아내는 절차를 매번 되풀이한다. 결국 작업자는 RFID를 쓰는데도 마지막에는 결국 바코드처럼 확인한다는 피로감을 호소하고, 관리자는 인력·시간 비용을 감안해 일정 수준의 오차를 그냥 감수하는 쪽으로 타협하기 쉽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인접 태그 오인식과 다중 태그 충돌은 ‘RFID를 쓰면 당연히 따라오는 숙명’으로 인식되고, 정작 해결해야 할 본질적인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