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단순히 말만 하는 AI 음성비서를 넘어, 인공지능이 직접 화면을 보고 판단해 택시를 호출하고 SRT 티켓을 예매하는 시대가 열렸다. KAIST는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가 이끄는 AutoPhone 팀(플루이즈·KAIST·고려대·성균관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2025 인공지능 챔피언(AI Champion) 경진대회’에서 초대 AI 챔피언(1위)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AI 기술의 혁신성과 사회적 파급력, 사업화 가능성을 종합 평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AI 기술 경진대회로, 전국 630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AutoPhone 팀이 최고 영예를 차지하며 연구개발비 30억 원을 지원받는다. AutoPhone 팀이 개발한 ‘FluidGPT’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이해해 스마트폰이 스스로 앱을 실행하고 클릭·입력·결제까지 완료하는 완전 자율형 AI 에이전트 기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역에서 부산 가는 SRT 예매해줘” 또는 “택시 불러줘”라고 말하면, FluidGPT는 실제 앱을 열고 필요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해 결과를 완성한다. 이 기술의 핵심은 ‘비침습형(API-Free)’ 구조다. 기존에는 택시 앱(API)을 이용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인공지능 경진대회(AI 챌린지) 2025’ 본선 진출 10개 팀의 발대식이 15일 서울사무소에서 열렸다. 이번 대회는 창의적인 인공지능 서비스·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 시민 개발자의 창업·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8월 19일부터 9월 5일까지 총 124개 팀이 참가 접수했으며 심사를 거쳐 본선 진출 10개 팀이 선정됐다. 본선 참가팀은 통합테스트베드에서 제공하는 개발 도구, 데이터, API 등을 활용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인공지능 서비스로 구현하게 된다. 발대식에는 참가팀과 대회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해 팀 소개와 멘토단 첫 만남이 진행됐다. 멘토단에는 네이버클라우드, KT, 업스테이지, 더존비즈온, 와이즈넛 등 5개 ICT 기업이 참여한다. 이후 참가팀은 9월 18일부터 11월 19일까지 9주간 단기 집중 개발 방식(애자일 방법론)을 훈련받고 전문가 멘토링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개발 과정에서는 중간보고회를 통해 성과 점검과 피드백이 이뤄진다. 최종 평가는 11월 20일 열리며, 참가팀은 개발 결과물을 발표·시연한다. 심사 기준은 문제 해결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