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가로 선정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5곳에 5년간 5000억 원을 투자해 공급망 핵심 기지로 육성하기로 했다. 기존 7개 분야 150개이던 소부장 핵심 전략기술은 우주·항공, 방산, 수소 등 3개 분야가 추가되면서 모두 200개로 확대 운영된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소부장 특화단지 맞춤형 지원 방안' 등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작년 7월 추가로 지정된 충북 오송(바이오), 광주(자율주행차 부품), 대구(전기차 모터), 부산(전력반도체), 경기 안성(반도체 장비) 등 5곳의 소부장 특화단지에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총 5067억 원 규모의 지원을 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이 같은 지원을 통해 LG화학, LG이노텍, 성림첨단산업, SK파워텍, 케이씨텍 등 5곳 소부장 특화단지 주도 기업들이 6조7000억 원의 기업 투자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연구개발(R&D) 지원과 테스트베드 구축에 가장 많은 2318억 원과 2228억 원을 투입한다. 인력 양성과 관련 펀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정부가 인공지능(AI), 5G·6G, 첨단바이오,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수소, 첨단 로봇·제조, 양자, 우주·항공, 사이버 보안 등 10개 분야 기술을 '국가 필수전략기술'로 지정하고 대체 불가한 원천 기술 확보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정부는 22일 오전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제20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 필수전략기술 선정 및 육성·보호 전략'을 의결했다. 국가 필수전략기술 지정 작업은 기술 패권 시대 국익의 관점에서 우리나라가 반드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기술 우선순위를 설정하고자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주요 기술 선진국은 10개 내외의 전략 기술을 선정해 국가 연구 역량을 집중하는 방안을 세우고 있다. 미국의 무한 프런티어 법, 중국의 14차 5개년 구획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 개별 이슈에 대응하면서 육성 중인 세부 기술이 5천여 개에 달해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한정된 정부 R&D 투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국가 필수전략기술을 선정했다. 선정 기준은 전략적 중요성, 경쟁력 확보 가능성, 정부 지원의 시급성 등이다. 정부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