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고용노동부는 지난 7월과 8월에 실시한 4차례 ‘3대 안전조치 현장점검의 날’ 일제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고용노동부 감독관과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직원 등 누적 6,700여 명이 2,400개 팀을 꾸려 ▲추락사고 예방수칙 ▲끼임사고 예방수칙 ▲개인보호구 착용 3대 안전조치에 대한 현장점검을 진행했다. 전국 12,300여 개 산업현장을 일제 점검했고 추락과 끼임사고 예방수칙을 지키지 않은 7,900여 곳(64.6%)에 대해 시정조치 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제조업보다 지적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건설 현장의 집중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은 지적사항이 하나도 없는 곳이 41.9%(1,544개소)인 반면 건설업은 32.5%(2,754개소)에 불과하고, 작업자의 개인보호구 미착용 비율 역시 건설업(28.5%, 4,834건)이 제조업(10.3%, 568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점검의 날 지적사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추락 위험요인은 안전난간 및 개구부 덮개 미설치(47.1%), 작업발판 설치 불량(16.2%) 순이고, 끼임 위험요인은 덮개·울 등 방호조치 불량(24.6%), 지게차 안전조치 불량(14.9%
▲KISA 보호나라 홈페이지 내 랜섬웨어 피해예방 보안수칙 페이지 [헬로티] 한국인터넷진흥원과 미래창조과학부는 랜섬웨어로 인한 이용자 피해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12월 한 달간 포털. 통신사, ISP 등 13개 기업과 공동으로 랜섬웨어의 심각성 및 예방 수칙을 인터넷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랜섬웨어 예방수칙 캠페인’을 실시한다. 랜섬웨어(Ransomware)는 컴퓨터에 저장된 사진, 문서 등 자료를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복구를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코드다. 이번 캠페인은 사이버 침해 대응 민관합동협의회* 운영의 일환으로 진행하며, 각 참여사의 홈페이지 배너 및 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랜섬웨어의 상세한 예방 수칙 등을 안내한다. 사이버 침해 대응 민관합동협의회는 사이버 위협에 대한 공동대응 및 정보공유를 위해 2016년 2월부터 운영되는 미래부, KISA, 11개 통신사, ISP가 참여하는 협의체다. 랜섬웨어 피해 예방을 위한 다섯 가지 보안 수칙은 ① 모든 소프트웨어 최신 상태 업데이트 ② 백신 설치 및 주기적 점검 ③ 발신인을 알 수 없는 이메일 열람 금지 ④ 불법 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