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핀글로벌이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와 에티버스(ETEVERS)가 공동 주최하는 ‘2025 제조 고객을 위한 AWS 파트너 클라우드 솔루션 컨퍼런스’에서 제조업에서의 AI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이번 행사는 오는 25일 서울 롯데호텔 월드에서 개최된다. 해당 컨퍼런스는 제조 산업에서 클라우드 기반 첨단 기술과 구축 사례를 공유하며 생산 현장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AWS 파트너사들의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사례를 소개하고 다양한 혁신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베스핀글로벌은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비롯해 ▲MLOps ▲LLMOps ▲DataOps 등 제조 산업에 최적화된 AI 기술을 공개하고 기업들이 AI 도입 시 직면하는 주요 과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관계사 옵스나우(OpsNow)의 국내 유일 SaaS형 AIoT 플랫폼 IoTOps도 함께 선보이며 부스 참관객을 대상으로 제품 시연과 활용 컨설팅, AI 도입 관련 설문조사 이벤트 등을 진행한다. 박승호 베스핀글로벌 AI 코어(Core)실장은 ‘AI Agent Platform을 활용한
롯데이노베이트가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플랫폼 ‘아이멤버’의 대외 사업을 본격화한다. 아이멤버는 다양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라인업을 구축해 기업 내부 정보를 학습시켜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안전한 프라이빗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문서 번역 및 요약 ▲코드 생성 ▲커스텀 챗봇 ▲회의록 자동 생성 등 업무에 적합한 기능을 고도화한 아이멤버는 유통, 화학, 식품, 호텔 등 롯데 전 그룹사에서 사용하고 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자체 보안 알고리즘을 적용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 내부 정보 유출 문제를 원천 차단해 기업의 보안 걱정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작년 12월 아이멤버를 대외 서비스가 가능한 SaaS(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선보이며, 롯데그룹뿐만 아니라 타 기업에서도 아이멤버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최근에는 통합 IT 솔루션 기업 에티버스와의 계약을 체결하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향후 금융, 공공 부문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아이멤버는 2월내 ‘AI 보고서 생성’이라는 새로운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이노그리드는 클라우디버스 생태계를 통한 클라우드 원년의 시작을 위해 2025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노그리드는 자체 클라우드 생태계인 ‘클라우디버스’를 통해 클라우드 풀스택 솔루션 제공, 클라우드 전환 컨설팅, 운영관리 등 클라우드 사업 전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다. 작년 12월 이테크시스템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뒤 에티버스 그룹사에 편입됐다. 이번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는 ▲그룹사와의 시너지를 통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사업 확산 ▲VM웨어를 대체하는 국내 솔루션 1위 기업 ▲데이터센터 옵저버빌리티 기업으로의 초석 다지기를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해 전체 조직을 클라우드 CTO, Web 3.0 CTO, PMO 그룹, 클라우드 사업 1&2그룹, 경영전략 6개 그룹과 AX네이티브, BD 2개 직속 본부로 개편했다. 또한 올해 핵심 사업에 힘을 싣고자 하이브리드사업본부 손성식 이사, 클라우드솔루션사업본부 박홍선 이사, 클라우드 연구개발센터 권경민 이사를 각각 전무로 승진 배치했다. 먼저 그룹사와의 시너지를 통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사업 확산을 위해 기존 ‘퍼블릭 사업부’를 ‘하이브리드사업본부’로 개편했다. 하이브리드 사업본부는 퍼블릭
버카다 코리아(Verkada Korea)는 국내 물리 보안 솔루션 시장의 저변 확대를 위해 LG CN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버카다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형 물리 보안 플랫폼을 제공한다. LG CNS는 기업 고객이 퍼블릭, 프라이빗 등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버카다의 보안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버카다는 LG CNS의 클라우드 사업역량과 버카다의 기술력을 결합해 더 많은 기업들이 보다 스마트하고 안전한 보안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버카다는 지난해 8월 한국 지사를 설립한 이후 에티버스, 아이넷뱅크 등 40개 이상의 기술 솔루션 제공업체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우청하 버카다 코리아 대표는 “아태지역을 넘어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최대 DX전문기업인 LG CNS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되어 매우 만족스럽다”라며 “LG CNS의 심도 깊은 산업 전문성과 고객과의 관계는 개인정보보호에 중점을 두는(privacy-sensitive) 방식으로 전세계 사용자와 비즈니스 환경을 보호하겠다는 버카다의 비전을 실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LG CNS 클라우드
레드햇이 21일 ‘레드햇 키파트너 데이’(Red Hat Key Partner Day)를 개최하고 ‘2023 국내 우수 파트너’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레드햇 파트너 데이는 매해 레드햇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행사로, 올해는 레드햇의 국내 주요 파트너들과 함께 AI와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를 비롯한 레드햇의 주요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했다. 또한 지난 한 해 동안 레드햇 비즈니스에 공헌한 우수 파트너사에게 파트너 어워드를 시상했다. ‘최고의 파트너상’은 작년 한 해 레드햇이 주력한 비즈니스와 레드햇 오픈시프트의 신규 비즈니스를 적극적으로 발굴한 파트너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가장 많은 비즈니스 실적을 달성한 락플레이스(Rockplace)가 선정됐다. 한국 레드햇의 최초이자 유일한 프리미어 비즈니스 파트너 락플레이스는 전문적인 오픈소스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해 괄목할만한 성과를 냈다. 특히 레드햇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협동 솔루션을 개발하고 시장에 출시하는 등 작년 한 해 레드햇 프리미어 파트너로서의 다양한 성과를 보여줬다. IT 유통 부문에서 작년 한 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한 ‘최고의 총판 파트너상’에는 에티버스(ETEVERS)가 선정됐다. 에
에티버스가 ‘AWS 서밋 서울 2024(AWS Summit Seoul 2024)’에 참가한다고 16일 밝혔다. AWS와 전략적 협력 계약(Strategic Collaboration Agreement, 이하 SCA)을 맺고 있는 파트너인 에티버스는 17일 열리는 컨퍼런스 세션을 통해서 클라우드 데이터레이크를 구축하는 자체 기술과 노하우도 공유할 예정이다. 클라우드 DX 엑셀러레이터로 급성장 중인 에티버스는 국내 및 글로벌 IT 기업과 함께 스폰서 자격으로 이번 행사에 참가해 ‘에티버스와 함께 떠나는 클라우드 비즈니스 여정’의 공항 콘셉트로 부스 테마를 꾸민다. 이벤트도 진행해 행사 기간 현장에 많은 기업 고객 방문을 유도할 계획이다. AWS의 SCA 파트너로서 전략적 협력 계약을 맺은 이후 관련 사업을 5배 넘게 성장시키는 등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에티버스는 이번 행사에서 클라우드 데이터레이크 구축 사례를 공개한다. 에티버스 클라우드DX부 서호석 상무가 데이터 저장의 핵심 구성 요소인 데이터 레이크 구축 기술과 함께 금융 분야에서 AWS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소개한다. 에티버스는 온프레미스와 퍼블릭을 아우르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 진단과 컨
IT 업계 네트워크 활용해 퓨리오사AI 국내 시장 진입 지원할 계획 에티버스가 지난 27일 팹리스 스타트업 퓨리오사AI와 독점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 에티버스는 국내 최초로 AI 반도체 양산에 성공한 퓨리오사AI가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마련되도록 고객사 발굴을 적극 지원하며 K-AI 반도체 확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에티버스는 AI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상승하는 국내외 환경을 고려해 퓨리오사AI와의 업무 협약을 적극 추진해왔다.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은 2030년 154조 원까지 팽창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일부 기업이 AI 반도체로 널리 쓰이는 GPU 판매를 독과점하고 있다. 최근 독점적 지위를 보유한 기업에 대항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체 개발한 ‘아테나’를 공개하는 등 글로벌 빅테크들의 움직임이 가파르다. 빅테크뿐 아니라 미국·중국·유럽·일본의 대형 IT 업체도 대안을 물색 중이며,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은 이 시기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회로 여기고 있다. 퓨리오사AI의 최대 강점은 AI 반도체를 설계하는 국내 팹리스 중 유일하게 양산화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퓨리오사AI는 2021년 AI 프로세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