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10월 8일(화)과 10월 15일(화) 강남구 봉은사로 215에 위치한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앤스페이스에서 2024년 제1차 부동산 데이터 아카데미를 한국프롭테크포럼(의장 배석훈)과 공동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양질의 부동산 데이터 개방을 위해 한국부동산원이 2022년 하반기부터 추진 중인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 활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컨소시엄은 한국부동산원, 한국프롭테크포럼, 한국교통연구원,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직방, 알스퀘어, 오아시스비즈니스, 스페이스워크, 리파인, 이에이트, 피타 그래프, 데이터웨이 등 14개의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아카데미는 부동산 데이터를 실무에 활용하고자 하는 일반인과 기업 종사자 40명을 대상으로 하며, 총 8강의 부동산 데이터 분석 방법론 및 실습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교육 내용에는 R(통계 패키지) 기초 문법, 데이터 다루기, 데이터 정제와 기술통계, 데이터 시각화, 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실습 등이 포함된다. 또한, 11월에 개설될 예정인 2차 아카데미에서는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홈페이지를
200~500평 수도권 중·소형 물류센터도 전수조사 완료, 물류 DB 1만2천 건으로 확대 알스퀘어가 수도권 '틈새' 중·소규모 물류센터 전수조사를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수도권 소재의 200~500평대(660~1650㎡) 물류센터는 최근 당일·새벽배송 증가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 임대인이 많아 대형 화주사(물류서비스 이용 업체)가 정보를 얻기 쉽지 않고, 수익성이 높지 않다는 이유로 중개 시장에서 소외됐다. 알스퀘어는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도심형 MFC(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와 크로스도킹(상품 분류·재포장)이 가능한 센터 등을 화주사에 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지난해 9월, 500평 이상 물류센터를 중심으로 전국 물류센터 1만 곳을 전수조사한 바 있다. 이번 추가 조사로 알스퀘어가 보유한 물류센터 DB는 1만2000곳을 넘어섰다. 최근 강원, 경상 지역 물류센터 정보 수집을 완료한 알스퀘어는 제주 물류센터도 이달 안에 전수조사를 마치고 DB화한다. 더불어 내년 1분기 내로, 나대지(지상에 건축물 등이 없는 대지) 및 도심 창고 부지 전수조사를 통해 관련 정보를 확충할 계획이다. 알스퀘어는 "수도권 도심형 물류센터와
알스퀘어가 글로벌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타가 선정한 '2022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고성장 기업'에 뽑혔다고 18일 밝혔다. FT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기업 500곳을 발표했다. FT는 1만5000개가 넘는 기업 중 500개 기업만을 골랐다. 알스퀘어는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회사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290%의 매출 고성장을 기록 중이다. 연 매출성장률은 57.4%에 달했다. 지난해 매출액 1000억원을 돌파한 것을 감안하면 매출성장률은 더욱 높아진다. 2020년 알스퀘어의 매출액은 650억원였다. 올해도 가파른 성장이 기대된다. 알스퀘어는 베트남,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 대우건설의 베트남 하노이 신도시 조성 개발사업인 '스타레이크시티'에 참여 중이다. 오피스 임대차와 인테리어∙리모델링 이외에 물류센터, 리테일 임대차 서비스, 매입∙매각 자문, 데이터 애널리틱스 등 신사업도 순항하고 있다. FT와 스타티스타가 공동으로 시행한 이번 조사는 2017년 매출액이 10만달러 이상, 2020년 매출액 100만달러 이상을 거둔 기업을 대상으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이커머스 확대와 유통업체 간 배송 속도 경쟁으로 물류센터 시장이 급성장 중이다. 경기도 고양∙용인∙광주∙이천∙안성과 인천 등에 들어선 물류센터는 유통∙물류업체들 임차 경쟁이 치열하고, 좋은 입지에 저온 설비를 갖춘 물류센터 매매가는 5년 전과 비교해 40%나 치솟았다. 과거 경부선과 가까워 서울과 수도권으로 이동하기 좋은 지역이 물류센터의 최적 입지였다면, 최근에는 신선식품 배송이 늘고, 땅값이 오르며 저온 설비와 창고 규모, 도심 근접 여부 등이 중요한 조건으로 떠올랐다. 당일, 즉시 배송이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땅값 비싼 서울에는 도심형 물류 거점인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MFC)' 가 잇따라 들어서는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유통∙물류 혁신이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물류 지도는 어떻게 바뀌고 있을까. 전국 물류센터는 약 1만3000개, 경기도 동남권에 30% 몰려 알스퀘어가 전국 전수조사로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물류센터는 1만1069개다. 현재 지어지고 있는 센터를 감안하면 1만3000개에 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3일 기준으로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에 등록된 전국 물류창고는 4705곳이다. 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