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무엇에 엑세스를 허용하는가…휴먼과 비휴먼을 모두 포함한 아이덴티티 관리 필요 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아이덴티티를 기업 보안의 핵심으로 두어야 세일포인트가 지난 19일 서울시 여의도에서 개최한 미디어 브리핑에서 조직 90%가 경험한 아이덴티티 유출과 관련해 보안의 중요성을 전하며 아이덴티티 시큐리티를 통한 보안 관리를 강조했다. 세일포인트 발표에 따르면 빠르게 변화하고 진화하는 IT 환경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사이버 위협에 따라 90%의 조직이 아이덴티티 관련 유출을 경험한 바 있다고 나타났다. 그중 가장 큰 사이버 위협은 계정 탈취(ATO)로 밝혀졌으며 작년 83%의 조직이 계정 탈취 공격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는 해커가 물리적인 진입뿐 아니라 직접 계정을 해킹해 로그인으로 계정 정보를 빼 오는 방식으로, 이 중 67.4%가 계정 탈취를 겪었다. 첸 위보이 세일포인트 아시아태평양 총괄 사장은 “이러한 방식은 해커가 일단 계정을 탈취만 할 수 있게 된다면 환경 내에서 모든 것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되고 모든 데이터를 알 수 있게 됨을 뜻하기 때문에 더욱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최근 사이버 보안 환경 내에서 애초에 어떻게 공격을 차단하느냐보다
세일포인트 테크놀로지가 세일포인트 아이덴티티 시큐리티 클라우드 내 제공되는 데이터 액세스 보안(Data Access Security, 이하 DAS) 및 비직원 리스크 관리(Non-employee Risk Management, 이하 NERM) 제품들에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추가되는 기능들은 고객들에게 다양한 유형의 아이덴티티와 그들이 액세스하는 중요 데이터에 대한 보안 및 가시성을 강화해 기업 단위에서 강력한 아이덴티티 보안 프로그램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세일포인트는 설명했다. 세일포인트 아틀라스(Atlas) 플랫폼 안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솔루션으로 설계된 DAS는 고객들이 텍스트 파일, 프레젠테이션, IoT 로그, PDF 등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가시성을 확보한다. 세일포인트는 고객 핵심 데이터에 대한 가시성을 개선하고 더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DAS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했다. 먼저 데이터 액세스 인증(Data Access Certification) 기능은 안전한 액세스를 선제적으로 관리할 뿐 아니라 조직이 오버프로비저닝 된 액세스를 쉽게 식별하고 복잡한 규정
세일포인트 테크놀로지가 새로운 인공지능(AI) 기반 애플리케이션 온보딩 기능(이하 앱 온보딩)을 출시했다. 앱 온보딩은 세일포인트 아이덴티티 시큐리티 클라우드(SailPoint Identity Security Cloud)에 추가돼 핵심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의 통합 과정을 단순화해 가치 실현 시간 단축과 강화된 보안성으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다. 조직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수백에서 수천 개를 넘어서며 이를 모두 아이덴티티 보안 솔루션에 온보딩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특히 보안 담당 인력이나 기술 전문성이 부족해 ERP나 HR 시스템과 같은 핵심 애플리케이션만 우선적으로 통합하고, 나머지는 관리하지 않아 보안 위협에 노출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세일포인트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온보딩 기능은 AI를 활용해 애플리케이션 온보딩 과정을 자동화해 해당 업무에 필요한 시간과 복잡성 줄여준다. 앱 온보딩은 자동으로 업무 네트워크 환경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탐지 하여 전반적인 가시성을 높인다. 관리자들은 탐지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백 가지의 연결 옵션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세일포인트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인사이트 및 모범 사례집에 기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