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해·공군 ‘첨단 제조로봇 실증사업’ 통과...협동로봇 솔루션 공급 신호탄 “군 안전과 작업 효율성 동시에 잡는다” 뉴로메카가 우리나라 육·해·공 3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첨단 제조로봇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를 통해 협동로봇(코봇) 기반 방산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도입했다. 뉴로메카는 실증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해군 제2함대 2수리창’ 파이프 절단·회전, 플라즈마 퓸(Fume) 배출 등 공정에 협동로봇 자동화 기술 공급을 시작했다. 이어 육군 군수사령부 종합정비창 내 접착제 도포(Dispenser), 비전검사, 적재·배출 공정 등에 기술을 적용했다. 공군 군수사령부 81항공정비창에는 세척 공정인 용제(Solvent) 분사 시스템에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했다. 뉴로메카는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된 협동로봇 기반 용접·방산 자동화 솔루션을 지속 고도화할 방침이다. 나아가 이른바 K-방산 기술을 글로벌 방위 시장 진출에 교두보로 삼을 계획이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이 같은 자동화 기술은 글로벌 조선업 슈퍼사이클 도래,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등 변수에 대응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는 “이번 실증사업에서
모든 제조 시설에서 작업자들의 건강과 안전, 친환경적인 요소들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전자 제조 산업에서 친환경, 안전 물질 사용은 성공적인 공정운영에 필수적이며, REACH와 RoHS 규제 준수는 이를 위한 기준이 될 것이다. 남아시아의 파나소닉은 최근 환경 문제와 비용 절감 해결 과정에서 세척 전문 업체인 제스트론사와 협력, 컨베이어 핑거와 웨이버 솔더링 장비를 세척하기 위한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공정을 찾는 데 성공했다. 파나소닉(Panasonic)은 남아시아, 베트남에 위치해 있는 OEM 제조 업체로서 휴대폰, 전화기, INFOX 터미널 등을 생산하고 있다. 제스트론(ZESTRON)과 파나소닉은 오랜 기간 성공적인 콜라보레이션을 실시해왔다. 그 중, 지난 프로젝트에서는 제스트론 프로세스 솔루션을 통해 스텐실 및 팔레트 세척 문제를 해결했다. 따라서 제스트론은 파나소닉의 컨베이어 핑거 세척 공정을 개선 및 평가 가능한 벤더로 다시 선정됐다. 현재 공정 분석 및 대안책 파나소닉은 총 7대의 솔더링 오븐장비를 가동하고 있으며, 각각의 오븐에는 10리터짜리 탱크가 장착되어 컨베이어 핑거 세척에 사용될 솔벤트가 저장된다. 12시간 작동 후 각 솔벤트 탱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