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노버 글로벌 테크놀로지 코리아는 국내 주요 독립 소프트웨어 공급업체(Independent Software Vendor, ISV)들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며 한국 산업 전반의 인공지능(AI) 도입 가속화에 나섰다고 밝혔다. 레노버는 자사의 고성능 AI 인프라 역량과 국내 AI 소프트웨어 파트너들의 혁신 기술력을 결합해 즉시 배포 및 확장 가능한 산업 맞춤형 AI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운영 효율을 높이고 실질적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레노버의 글로벌 ‘AI 이노베이터 프로그램(AI Innovators Program)’은 전 세계 AI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약 1억 달러 규모로 운영되는 전략적 투자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산업별 특화된 AI 솔루션의 공동 개발부터 개념 검증(PoC) 테스트, 시장 출시까지 전 과정을 포괄하는 협력 모델로 설계됐다. 현재까지 레노버는 전 세계 60개 이상의 ISV 파트너와 협력해 165개 이상의 첨단 AI 솔루션을 선보였다. 한국에서도 레노버는 딥브레인AI, 메사쿠어컴퍼니, 세이지, 크랜베리, 솔트룩스 등 주요 AI 전문 기업들과 협력하며 산업
세이지 공동대표 홍영석이 포브스코리아가 발표한 ‘Y30s RISING AI LEADERS’에 선정됐다. ‘Y30s RISING AI LEADERS’는 한국의 AI 산업을 이끄는 30대 리더를 선정하는 포브스코리아의 공식 프로그램으로, 기술 혁신성, 산업 영향력,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이번 선정은 홍영석 대표가 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AI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 디지털 전환을 이끌어온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다. 홍영석 대표는 2017년 박종우 대표와 함께 세이지를 공동 창업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는 AI’라는 철학 아래 산업 특화 AI 비전 솔루션을 개발해왔다. 세이지의 대표 제품인 ‘SAIGE VISION’은 딥러닝 기반 머신비전 솔루션으로 기존 룰 기반 검사 방식의 한계를 넘어 제품 표면의 비정형 결함을 자동 검출한다. 특히 이차전지와 반도체(PCB) 분야에서 기술력이 두드러지며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주요 제조기업을 비롯해 전 세계 100여 개 공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세이지는 AI 기반 머신비전 솔루션 ‘SAIGE VISION’, 제조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SAIGE VIMS’,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SAI
산업 특화 비전 인공지능(AI) 기업 세이지(SAIGE, 공동대표 박종우·홍영석)가 지난 10월 28일 서울 본사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사절단을 초청해 자사 AI 기술을 시연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사우디 정부의 스타트업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으로, 사우디 투자부(MISA), 국부펀드(PIF), 데이터인공지능청(SDAIA) 등 주요 정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방문단에는 사우디 투자부의 Hesham Mohammad 이사, Abdulmajeed Alonezi 매니저, 국부펀드의 Abdullah Nasser Alrayes 투자 담당, 데이터인공지능청의 Fahad Hafeth Alrashed 이사 등 AI와 투자 분야의 핵심 인사들이 포함됐다. 세이지는 박종우 대표와 김승현 본부장이 직접 사절단을 맞이해 회사의 주요 시설을 소개하고, 산업 현장에 적용 중인 AI 기술의 실제 성과를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세이지는 제조 현장의 품질 검사, 공정 최적화, 산업 안전 모니터링 등 실제 적용 가능한 AI 솔루션을 중점적으로 시연해 사우디 측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특히 세이지는 글로벌 제조 대기업과의 협력 사례를 소개
세이지가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7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2025)’에 참가해 제조업 품질관리 자동화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을 선보인다. 한국경제신문과 한국산업단지공단 등이 주관하는 SMATEC 2025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행사다. 세이지는 이번 전시를 통해 AI 기반 머신비전 기술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산업 관계자들에게 실증적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세이지 비전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제품 표면의 비정형적 결함을 자동 검출하고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품질검사 자동화 시스템이다. 기존 룰 기반(rule-based) 검사 방식으로는 탐지하기 어려운 미세하고 복잡한 결함까지 높은 정확도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속도와 판정 안정성을 강화해 제조 현장의 품질관리와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를 지원한다. 세이지는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주요 제조기업에 솔루션을 공급하며 이차전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기술력을 입증받았다. 특히 세이지
세이지(SAIGE)가 세계 최대 석유 기업 사우디 아람코와 직접 기술 검증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아람코의 핵심 생산 부서로부터 9개 현장 확장 도입을 위한 조건부 기술 검증 요청이 먼저 들어오면서 시작됐다. 특히 세이지 세이프티 도입을 논의 중인 국내 주요 정유회사의 소개를 통해 아람코 측에서 직접 세이지에 기술 제안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이지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방폭 카메라와 연동 가능한 AI 기반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를 중심으로 기술 제안을 진행한다. 세이지 세이프티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지능형 CCTV 성능 시험인증에서 배회, 침입, 쓰러짐, 방화 등 4개 분야에서 인증을 획득한 솔루션이다. 이 기술은 작업자의 안전모·안전대 착용 여부, 중장비 협착, 추락, 쓰러짐 등 안전 상태와 화재, 연기, 위험 설비 접근, 외부 침입 등을 실시간 감지해 사고 예방 기능을 제공한다. 김승현 세이지 본부장은 “세계 최대 에너지 기업으로부터 직접 기술 검증 요청을 받은 것은 우리 기술력에 대한 글로벌 인정을 의미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세이지가 9월 3일부터 5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리는 ‘국제 첨단 반도체 기판 및 패키징 산업전(KPCA Show 2025)’에 참가한다. KPCA Show는 국내 유일이자 최대 규모의 반도체 기판 및 패키징 전시회로, 올해는 LG이노텍, 삼성전기, 심텍 등 국내외 250여 개 기업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세이지는 이번 전시에서 자사의 AI 기반 머신 비전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을 중심으로 PCB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자동 검출하는 실시간 데모를 선보인다. 단순한 시연을 넘어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기술력과 실용성을 보여주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PCB 제작 결함 검사와 더불어 머신러닝 모델의 개발부터 배포, 운영, 모니터링까지 관리할 수 있는 ‘MLOps 플랫폼’을 함께 소개하며, 제조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최적화 가능한 AI 운영 환경을 제시할 예정이다. 세이지 비전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기존 룰 베이스 검사 방식이 놓치던 비정형적 결함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품 표면의 불규칙적 손상이나 미세한 결함을 인식해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이차전지와 PCB 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세이지는 KT클라우드와 전략적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KT클라우드의 AI Foundry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조업 및 산업안전 분야 AI 서비스를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제조업체들이 맞춤형 AI 서비스를 통해 공정 최적화와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을 실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세이지는 KT클라우드 AI Foundry 플랫폼의 강력한 인프라와 AI 개발 환경을 활용해, 제조업 핵심 영역에서의 AI 기술 적용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조 공정 최적화, 품질 관리 자동화, 예측 정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산업안전 분야에서도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작업장 내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안전사고를 예측하고 예방하는 기술, 작업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더 안전한 산업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KT클라우드의 AI Foundry는 기업들이 AI 서비스를 쉽게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통합 AI 플랫폼으로, 세이지는 이를 통해 자사의 제조 및 산업안전 AI
실제 제품 시연으로 ‘세이지 세이프티’ 기능을 체험하는 기회 제공 세이지가 7일인 오늘부터 개최되는 ‘국제안전보건전시회(K-SAFETY 2025)’에 참가해 지능형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안전과 보건 분야의 최신 기술이 집결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행사로, 다양한 산업군의 관계자들과 실효성 높은 기술 교류가 이뤄질 전망이다. 세이지는 전시회 현장에서 실제 제품 시연을 통해 ‘세이지 세이프티’의 기능과 성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방문객들은 AI 기반의 실시간 감지 기능, 안전 관제 시스템, 그리고 산업 환경에 맞춘 맞춤형 안전 솔루션에 대한 설명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이지 세이프티’는 기존 CCTV 카메라를 활용해 작업 환경의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AI 기반 지능형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이다. 작업자의 안전모 미착용, 위험구역 침입, 중장비 접근, 작업자 쓰러짐 등 다양한 상황을 자동 인식하며, 화재 및 연기 감지, 방화 행위 탐지 기능도 포함돼 있어 중대재해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이 제품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레노버 글로벌 테크놀로지 코리아는 지난 1일 개최된 ‘인텔 AI 서밋 서울 2025’에 참가해 하이브리드 AI 인프라 전략을 소개하고 산업별 AI 솔루션 시연을 통해 기업 맞춤형 AI 구현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인텔이 주최한 AI 기술 행사로 다양한 기술 기업들이 최신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레노버 인프라스트럭처솔루션그룹(ISG) 아시아태평양 사장 수미르 바티아는 기조연설에서 ‘Smarter AI for All: The Future is Hybrid’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바티아 사장은 클라우드와 엣지, 온프레미스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AI의 유연성과 확장성, 그리고 AI 인프라 도입에 따른 전력 효율·지속가능성 문제를 언급하며 레노버의 수냉식 AI 인프라 기술인 넵튠(Neptune™)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레노버는 현장에서 ISV 파트너사인 크랜베리, 세이지와 공동 부스를 운영해 각사의 AI 솔루션을 레노버 씽크시스템 SR650 V4 서버 기반에서 구현한 시연을 진행했다. 지능형 물리보안 기업 크랜베리는 차량 충돌음, 유리 파손음 등 다양한 위기 상황의 소리와 CCTV 영상을 AI로 분석하는 멀티모달 엣지 Sound AI
세이지 비전, AI 도입 과정에서 겪는 복잡성 해소 및 투자 실효성 높여 세이지가 7월 1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Intel AI Summit Seoul 2025’에 참가해 자사의 핵심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을 공개했다. 세이지는 레노버와 공동 부스를 운영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완성도 높은 결합을 시연해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세이지 비전은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고해상도 이미지 및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잡한 공정 내 미세한 결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분석하는 AI 머신비전 솔루션이다. 특히 레노버의 최신 서버 ‘ThinkSystem SR650 V4’에서 구동된 실시간 데모는 제조업계 관계자로부터 높은 반응을 얻었다. 세이지 비전은 단순한 검사 기능을 넘어, AI 모델과 검사 장비를 통합한 디지털 품질관리(DX)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실시간 품질 모니터링, 예측적 결함 관리, 생산 최적화 등 제조공정 전반을 지능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기존 제조 설비와의 원활한 통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도입 부담도 낮다. 특히 수작업 검사나 기존 머신비전 시스템 대비 속도와 정확도가 향상돼 제조 효율
세이지(SAIGE)는 7월 1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된 ‘인텔 AI 서밋 서울 2025’에 참가해 제조업에 특화된 AI 머신비전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을 선보였다. 세이지는 이번 서밋에서 레노버와 함께 공동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의 실용성과 효과를 직접 시연했다. 특히 레노버의 씽크시스템 SR650 V4 서버에서 구동되는 세이지 비전의 실시간 데모는 참관객들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세이지 비전은 제조업 환경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에 최적화된 독자적인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이 솔루션은 기존의 육안 검사나 일반적인 머신비전 시스템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한 제품 품질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제조업체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특히 복잡한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결함이나 품질 이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분석해 불량품의 사전 차단과 전체적인 생산 효율성 증대를 동시에 실현한다. 이러한 기술력은 다양한 제조 환경에서의 광범위한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세이지 비전은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예측적 품질 관리, 생산 공정 최적화 등의 기능을 제공
레노버 글로벌 테크놀로지 코리아가 지난 1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진행된 ‘인텔 AI 서밋 서울 2025’에서 AI 인프라에 대한 최신 인사이트와 전략을 공유하고 주요 ISV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제공하는 첨단 솔루션을 소개했다. 인텔 AI 서밋 서울 2025는 인텔이 주최하는 행사로, 다양한 테크 기업들이 최신 AI 기술의 트렌드와 혁신적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다. 수미르 바티아 레노버 인프라스트럭처 솔루션 그룹 아시아태평양 사장은 이번 행사에서 기조연설자로 참가해 ‘Smarter AI for All: The Future is Hybrid’를 주제로 연설을 진행했다. 수미르 바티아 사장은 AI 인프라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기대하는 바와 직면하고 있는 과제를 설명했고, 이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이브리드 AI를 제시했다. 그는 클라우드의 대규모 연산 능력에 엣지와 온프레미스 컴퓨팅을 결합함으로써 빠르고 안전하며,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AI 구현이 가능해 진다고 말했다. 또한 AI로 인해 데이터센터의 냉각과 전력 소비 절감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레노버의 넵튠(Neptune) 수냉식
세이지 비전, 세이지 빔스, 세이지 세이프티 등 주요 솔루션 선보여 세이지가 오는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14회 스마트테크 코리아(STK 2025)’에 참가해 AI 기반 머신비전 솔루션을 대거 선보인다. 스마트테크 코리아는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기술 융합 전시회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IoT, 로봇, 사이버보안 등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최신 기술들이 대거 소개된다. 올해 전시회에는 전 세계 14개국, 약 400개 기업이 참여하며, 제조·유통·물류·보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총 1,500여 개 부스가 운영된다. 세이지는 이번 전시에서 AI 기술로 무장한 머신비전 솔루션 3종을 공개하며, 스마트 제조 현장에 최적화된 기술력을 집중 조명받을 계획이다. 주요 출품작은 외관 결함 검사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빔스(SAIGE VIMS)',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 등이다. 이들 제품은 각각 품질 관리, 생산 공정 최적화, 작업자 안전 확보 등 제조업 전반의 주요 과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세이지 비
세이지가 자사의 AI 기반 머신비전 솔루션 ‘세이지 비전’으로 비전 시스템즈 디자인(Vision Systems Design)의 ‘2025 이노베이터스 어워즈(Innovators Awards)’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상식은 미국 미디어 그룹 Endeavor가 주관하는 머신비전 업계 권위 있는 행사다. 매년 국제 컨퍼런스에서 머신비전 및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과 브랜드를 선정해 시상한다. 이노베이터스 어워즈는 독창성, 혁신성, 사용자 파급효과, 시장성, 생산력 향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상자를 결정한다. 세이지 마케팅 부문 이성우 이사는 “이번 수상은 세이지 비전의 기술적 우수성과 시장에서의 실질적 성과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고객들의 요구에 맞춰 더욱 정교하고 신뢰성 높은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세이지는 딥러닝 기반의 AI 머신비전 소프트웨어 세이지 비전을 개발해 육안에 의존하던 제조업 외관검사를 자동화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기존 룰 기반 알고리즘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웠던 스크래치, 찍힘, 얼룩 등 정성적 외관 결함을 고정밀 AI로 판별할 수 있다. 현재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공장의 미래상 담은 BUTECH 2025, 제조업 '퀀텀 점프' 시작점...여기서 '터졌다' ‘스마트 제조, 미래 혁신의 꿈’을 슬로건으로 한 ‘제12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BEXCO)에서 성황리에 진행됐다. 올해 BUTECH는 단순한 산업·공장 자동화(FA) 분야 전시 콘셉트를 넘어, 인공지능(AI)·로보틱스·디지털트윈(Digital Twin)·머신러닝·비전 등 제조업의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기술들이 총출동했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 전략과 경쟁력 확보 방안 등 국내 제조업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 현장이었다. 국내 제조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 이번 BUTECH 2025. 과연 각 분야 혁신·유망 참가업체는 어떤 기술·솔루션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사로잡았을까? 이번 <헬로즈업> 특별 기획에서는 대한민국 제조업 ‘퀀텀 점프(Quantum Jump)’의 핵심 기술을 자세히 조망한다. [AI·비전·XR] 오류는 없다! AI가 깨운 인지 혁명, 비전·예측·협업의 미래 이번 BUTECH 2025는 미래형 제조가 인간의 역할을 어떻게 재정의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