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시스템과 스캐터엑스가 LG AI 연구원의 파운데이션 모델 ‘엑사원(EXAONE)’을 기반으로 한 공공부문 전용 AI 어플라이언스를 공동 개발,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달 30일 LG 엑사원 기반의 고성능 공공 부문 AI 어플라이언스 출시 행사 및 시연회를 열고 세 가지 사양의 제품을 공개했다. ▲노트북에서 구동 가능한 온디바이스용 2.4B 모델 ▲GPU A100 1장을 사용하는 7.8B 모델 ▲H100 2장 기반의 32B 모델이 소개됐다. 특히 32B 모델은 폐쇄망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도 GPT-4o급 이상의 성능을 달성한 것이 특징이다. 망분리와 보안이 중요한 공공기관에서의 AI 활용을 염두에 둔 설계다. 이번 어플라이언스는 LG 엑사원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어 이해도와 정밀도를 크게 끌어올렸다. ▲문서 요약 ▲초안 작성 ▲데이터 분석 ▲서식 추천 ▲민원 응대 등 공무원 업무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양한 LLM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인프라 구조를 적용해 학습 없이도 고성능 모델을 바로 도입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제품은 지난 4월 양사가 발표한 ‘구축형·설비 구독형·SaaS형’ 생성형 AI 공동 비즈니스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가 지난 29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개최해 ‘생성형 BI’으로 AI·BI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로넨 나이슈타인 총괄 책임자는 AI·클라우드·애널리틱스 글로벌 영역 최신 동향과 마켓 트렌드 분석으로 첫 세션을 진행했다. 그는 마켓 트렌드 키워드로 ‘디지털라이제이션’,‘통합 툴을 활용한 도구 최적화’,‘AI 이노베이션’을 꼽았다. 디지털라이제이션이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수익과 가치 창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이어 여기저기 흩어진 툴을 통합해 투자 비용을 줄이면서 거버넌스를 최적화하는 트렌드가 반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발표 자료와 함께 AI 이노베이션 가치는 2032년까지 200억 달러까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이라 전망했다. 젠 AI 마켓 트렌드의 경우 로넨 총괄 책임자의 조사에 따르면 조직의 76%가 AI 도입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그중 68%가 젠 AI에 대한 높은 기대치로 ‘생산성·효율성 향상’,‘새로운 기능’,‘기술 개발’ 등을 꼽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실제 해결해야 할 장애물로 ‘AI 조직 환경’,‘데이터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