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특화 비전 인공지능(AI) 기업 세이지(SAIGE, 공동대표 박종우·홍영석)가 지난 10월 28일 서울 본사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사절단을 초청해 자사 AI 기술을 시연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사우디 정부의 스타트업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으로, 사우디 투자부(MISA), 국부펀드(PIF), 데이터인공지능청(SDAIA) 등 주요 정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방문단에는 사우디 투자부의 Hesham Mohammad 이사, Abdulmajeed Alonezi 매니저, 국부펀드의 Abdullah Nasser Alrayes 투자 담당, 데이터인공지능청의 Fahad Hafeth Alrashed 이사 등 AI와 투자 분야의 핵심 인사들이 포함됐다. 세이지는 박종우 대표와 김승현 본부장이 직접 사절단을 맞이해 회사의 주요 시설을 소개하고, 산업 현장에 적용 중인 AI 기술의 실제 성과를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세이지는 제조 현장의 품질 검사, 공정 최적화, 산업 안전 모니터링 등 실제 적용 가능한 AI 솔루션을 중점적으로 시연해 사우디 측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특히 세이지는 글로벌 제조 대기업과의 협력 사례를 소개
NPU 기술과 상용화 경험 앞세워 프로그램의 주요 참여 기업으로 선정 네론이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기술 개발 프로그램 ‘리로케이트(RELOCATE)’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네론은 대규모 비지분형 보조금을 확보하며, 중동 시장에서 AI 기술 상용화 및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리로케이트는 사우디 정부의 중장기 기술 육성 프로젝트인 ‘비전 2030(Vision 2030)’ 전략의 일환으로, 반도체 설계 기업 50곳 유치와 AI 인재 2만 명 양성을 목표로 한다. 통신정보기술부(MCIT)가 주도하는 이 프로그램은 전 세계 딥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현지 진출을 지원하며, AI와 반도체 분야의 핵심 기술 기업을 선별해 전략적 투자와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네론은 재구성 가능한 뉴럴 프로세싱 유닛(NPU) 기술과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이 프로그램의 주요 참여 기업으로 선정됐다. 회사는 확보한 보조금을 활용해 사우디 내에 고성능 AI 칩 연구개발(R&D) 및 상용화를 위한 기술 거점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미 네론은 사우디 내 반도체 생태계 육성을 위해 설립된 ‘국가 반도체 허브(National Semiconductor Hub, NSH)’와 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 ‘반도체 비전 2030’을 선포하며, 새 시대를 열어갈 비즈니스 로드맵을 발표했다. 그 중심에는 시스템 반도체가 있었다. 메모리 반도체 강자로 군림해온 삼성전자는 ‘시스템 반도체 세계 1위’라는 새로운 목표를 바탕으로, 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과제를 하나 둘 완료하고 있다. ‘시스템 반도체 1위’ 겨눈 뉴 삼성 지난해 1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새해 첫 행보는 평택2공장 방문이었다. 이재용 부회장은 그곳에서 새로운 삼성으로의 도약 의지를 밝히며, “삼성과 협력사, 학계, 연구기관이 협력해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 시스템 반도체에서도 신화를 만들자”고 말했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를 앞세워 국내 반도체 산업과 국가 경제 성장을 주도해왔다. 현재까지 삼성전자는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에서 확고부동한 1위다. D램의 경우, 삼성의 점유율은 2020년 기준 41.7%에 달한다. 이뿐 아니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1년 3분기 기준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인텔을 제치고 매출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시스템 반도체에서는 입장이 다르다. 트렌드포스 조사에 따르면,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