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IPO 앞두고 앵커 투자자로 참여하는 방안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져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가 자신들이 전 세계 IT 업계 투자를 위해 조성한 비전펀드가 보유 중인 반도체 설계업체 Arm 지분 인수 협상을 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2017년 조성한 1000억 달러 규모의 '비전펀드1'(VF1)이 보유한 Arm 지분 25%를 인수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번 협상은 소프트뱅크가 다음 달 Arm을 600억∼700억 달러의 기업가치로 나스닥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뤄지는 것이다. 이 같은 지분 매입 배경은 VF1이 보유한 Arm의 지분 규모를 감안할 때 기업공개(IP0) 이후 매각하는데 최소 1∼2년이 걸리는 데다 IPO 이후 Arm 주가가 하락할 수 있는 점 등을 감안한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 협상이 성사되면 VF1에 투자해온 사우디아라비아의 국부펀드인 공공투자펀드(PIF)와 아랍에미리트(UAE) 무바달라 펀드 등이 즉각적으로 큰 수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펀드들은 사무실 공유업체 위워크, 중국 차량호출 기업 디디추싱의 자회사인 디디글로벌 등에 대한 VF1의 투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투자 부족이 오점으로 남아 누구보다 일찍 인공지능(AI) 부문 투자에 나섰던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정작 챗GPT가 촉발한 최근 AI 열풍에서 소외된 모습이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손 회장은 6년 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투자 펀드인 비전펀드를 출시하면서 "우리는 한 가지 테마에 집중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AI"라고 말했다. 이후 1400억 달러가 넘는 돈을 400개 이상의 스타트업에 투자했지만, 손 회장은 AI 열기가 뜨거운 현재 시장에서 여전히 흐름을 따라잡느라 애쓰는 모습이다. WSJ은 손 회장이 지난 2017년부터 작년 중반까지 분기별 또는 연례 실적 발표에서 AI를 무려 500번 이상 언급할 정도로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도 AI 투자 트렌드를 놓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라고 평했다. 주된 이유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투자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기업가치 10억 달러가 넘는 생성형 AI 스타트업 26개사 중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회사는 하나뿐이다. 미국의 음식배달 앱 도어대시와 한국의 쿠팡 등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기업의